DOI QR코드

DOI QR Code

Monitoring and Preventive Preservation of Cultural Heritages to Maintain Original Wooden Architectural Cultural Heritage

목조건축문화재 원형유지를 위한 문화재돌봄 모니터링과 예방보존

  • CHUN Kyoungmee (Dept.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Yewon Arts University)
  • 전경미 (예원예술대학교 문화재보존학과)
  • Received : 2023.09.14
  • Accepted : 2023.10.31
  • Published : 2023.12.30

Abstract

Wooden architectural cultural heritages are one of the visible legacies that show the national's identity. Even when the concept of 'the original' of cultural heritages was not accurately understood, the emphasis of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cultural heritages was placed on 'preservation of the original form' or 'maintenance of the original form'. Moreover, these days, following the trend of international preservation principles, cultural heritages are considered important as "values as historical objects." This paper is the result of an attempt to determine the scope and content of what parts should be monitored to maintain the original form of wooden architectural cultural heritage. The first thing to be done in monitoring wooden architectural cultural heritage is to check the condition of the ground and foundation. The second is the column. This is because the instability of the column causes damage to the joint with each member and the fitting part, resulting in physical changes leading to damage to the wall. The third is monitor the roof tiles. If the leak continues into the building due to the separation or damage of the roof, the defect should be partially dismantled and repaired, so it should be monitored to maintain its original shape as much as possible. The monitoring range of the base, column, and roof serves as a reference point for identifying what damage is being done to the relevant cultural heritages. In other words, the data at the time when monitoring began becomes the 'original' for the year. Alternatives based on the analysis of monitoring for the preservation of original cultural heritages should be actively introduced. In addition, by sharing the current state and situation of cultural heritages as a result of monitoring with various related organizations, preventive preservation should be established rather than preservation of cultural heritages by "intervention."

목조건축문화재는 그 나라의 정체성을 보여주는 가시적인 유물 가운데 하나이다. 문화재의 원형에 대한 개념이 정확하게 이해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문화재는 '원형보존' 또는 '원형유지'를 보존관리의 원칙으로 삼았다. 더구나 요즈음은 국제적인 보존원칙의 흐름을 따라 문화재를 '역사적 대상물로의 가치'로서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 이 논문은 목조건축문화재의 원형유지를 위해 어떤 부분을 모니터링 해야 하는가의 범위와 내용을 정해 보기 위한 시도의 결과이다. 목조건축문화재의 모니터링에 있어서 첫 번째로 해야 할 부분은 지면과 기단의 상태를 점검하는 일이다. 지면과 기단은 목조건축문화재가 오랫동안 서 있을 수 있도록 모든 힘을 받아 주는 곳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단부와 낙수의 관계, 기단부의 침하 유무, 배수로의 유무와 구배 상태 확인 등을 모니터링 하였다. 두 번째는 기둥 부분이다. 기둥 기울음의 유무, 귀솟음과 안쏠림의 기법의 유무, 기둥 치수의 변화 유무, 기둥과 초석의 변위 발생 등을 확인하는 일이다. 기둥의 불안정성은 각 부재와의 이음과 맞춤 부분의 파손을 발생시키고 이로써 벽체의 손상까지로 이어지는 물리적 변화를 초래하기 때문이다. 세 번째는 지붕의 번와 유무, 번와에 따른 신·구 기와의 점유상태, 그에 따른 편심하중의 유무, 강우·강설에 의한 기와 사이의 이격 발생, 누수의 유무를 점검하였다. 지붕은 기와의 이격이나 파손에 의해 건물 내부로 누수가 지속되면 창방 이상을 부분 해체보수 해야 하기 때문에 가급적 원형유지를 위해서 모니터링 해야 한다. 시기적으로, 상태적으로 기준이 모호한 '원형보존'이나 '원형유지'를 문화재보존의 기본으로 하였어도 당시의 모든 현상은 문화재의 '원형'으로 보아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문화재돌봄에 있어서 기단부, 기둥, 지붕의 모니터링 범위는 당해 문화재에 어떠한 훼손이 일어나고 있는가를 확인하는 기준점이 된다. 다시 말하면 모니터링을 시작한 그 시점의 자료는 당해 연도의 '원형'이 된다. 지금에라도 현상에 대한 기록을 남기고 그것이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지, 훼손되고 있는지의 사진, 측정값, 도면 등의 여러 자료를 남겨두어야 후대가 필요로 하는 문화재의 '원형'에 대한 정보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 문화재 원형보존을 위한 모니터링의 분석에 따른 대안을 적극 도입하여야 한다. 그리고 문화재 모니터링의 결과물인 문화재의 현재 상태 및 상황을 여러 관련 기관과 공유하여서, 문화재의 '개입'에 의한 보존보다 예방보존을 구축해 나아가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문화재연구소, 2012, 「일본 우스키마애불의 과학적 보존」, 한일문화재보존환경공동연구.
  2. 국립문화재연구소, 2021, 「건축문화유산 보존과 수리」.
  3. 문화재청.전라남도, 2014, 「문화재돌봄 고도화 방안 연구 보고서」.
  4. 문화재청, 2015, 「국가지정문화재 정기조사 제도개선 방안 연구」.
  5. 문화재청, 2022, 「문화유산 가치보존을 위한 한국원칙」.
  6. 문화재청, 2022, 「문화재보존원칙 정립 심화연구」.
  7. (재)문화재아웃리치연구소, 2018, 「문화재돌봄사업보고서 II」.
  8. 도이시겐조(登石健三) 외 3인, 전경미 옮김, 2004, 「문화재 보존과학의 원리」, 한언.
  9. 유승흠, 2008, 「예방의학의 개념 및 역할」, 「예방의학」, 계축문화사.
  10. Alejandro Martinez de Arbulo, 2019, 「木造建築遺産保存論」, 中央公論美術出版.
  11. 강경환, 2012, 「기후변화적응 문화유산 보호를 위한 전략적 접근」, 「2012 문화유산방재 국제심포지엄(문화유산과 기후변화)」 발표집, (사)한국문화재정책학회.
  12. 강영환, 1995, 「지방 건축문화재의 보존과 변형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건축역사연구」 41(7), 건축역사학회.
  13. 강현, 2016, 「건축문화재 원형(원형)개념과 보존의 관계」, 한국목조건축문화재 수리역사의 비판적 검토를 중심으로, 「문화재」 49(1), 국립문화재연구소.
  14. 곽창록, 1988, 「조선시대 서원에 있어서의 조경수목 이용과 그 배경」, 청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김은중, 1994, 「전통목조건축 기둥의 축조 및 보존방법에 관한 연구」, 「건축역사연구」 3(1), 건축역사학회.
  16. 배병선, 2006, 「문화재 안전점검 및 진단의 현황과 과제」, 「건조물문화재 과학적 안전관리 방안 워크숍」, 국립문화재연구소.
  17. 백종오, 2005, 「고구려 기와 연구」,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8. 윤장섭, 1985, 「건조물 유형문화재 보존에 관하여」, 「문화재」 18, 문화재관리국.
  19. 이명섭, 1992, 「폭설에 의한 파괴구조물의 원인 분석과 대책에 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이영진, 2010, 「풍속의 표준화와 풍파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 동해안지역을 중심으로」, 관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이상현, 2016, 「이중어사전과 개념사 그리고 한국어문학」, 「泮橋語文硏究」 42, 반교어문학회.
  22. 이수정, 2011, 「문화유산보존원칙 수립을 위한 가치의 정의 및 방법론에 대한 시론적 연구」, 「문화재」, 44(4), 국립문화재연구소.
  23. 이수정, 2016, 「한국의 문화재 보존.관리에 있어서 원형개념의 유입과 원형유지원칙의 성립, 그리고 발달과정」, 「문화재」 49(1), 국립문화재연구소.
  24. 이희봉, 2014, 「사례를 통해 본 문화재 엉터리 보수 복원」, 「한국건축역사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한국건축역사학회.
  25. 전경미, 2018, 「문화재관리에 있어서 예방보존 방법론」, 「강좌미술사」 50, 한국미술사연구소.
  26. 전성현.장헌덕, 2020, 「사찰 목조건축물 기둥의 안쏠림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역사학회 춘계학술발표 대회 논문집.
  27. 전성현, 2021, 「사찰목조건축물 귀솟음.안쏠림기법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8. 정재훈, 1984, 「문화재보존의 기본방향」, 「문화재」 17, 문화재관리국.
  29. 한소라, 2006, 「한국전통목조건축 기둥.창방 접합부의 형태에 따른 성는 평가」,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 허지현, 2018, 「평기와의 제작방식 변화가 문화재보존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