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지방 도시 규모별 지역개발사업 추진방안 연구

A Study on Strategies for Local Development Projects by Types of Regional Cities

  • 배민철 (경상국립대학교.도시공학과 ) ;
  • 안정근 (경상국립대학교.도시공학과 ) ;
  • 안우성 (경상국립대학교.도시공학과 )
  • 투고 : 2023.05.01
  • 심사 : 2023.06.05
  • 발행 : 2023.06.30

초록

본 연구는 지역개발사업의 실태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분석하고 지방 도시 규모에 따른 지역개발사업 추진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지방 도시 규모에 따른 지역개발사업 추진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지역개발사업 실태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분석하고 지방 도시 규모에 따른 지역개발사업 추진방안을 계획, 전략, 정책, 제도부문으로 구분하여 도출하였다. 지역개발사업의 문제는 지역개발사업을 추진하는 조직이 다기화로 인한 유사·중복된 사업추진, 지역전문가 참여 부재, 지역개발사업을 정부에 의해 지정 및 지원하는 하향식 구조로 추진, 예산 부족 등의 문제가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역전문가들은 지방 도시 규모에 따라 차별적인 추진방안을 제시하였다. 계획부문에서 경제·문화·사회·복지기능 확충은 대도시 중심으로 계획 및 세부실천 방안을 마련하고 지역개발사업 유형은 중소도시를 중심으로 확대 및 개편해 나가야 하며, 전략부문에서 다양한 파트너십 형성과 지역개발사업의 단계적 절차를 통해 장기적으로 추진은 대도시 지역을 중심으로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고 제시하였다. 정책부문에서 지자체 주도하에 상향식 개발 시행은 중소도시를 중심으로 추진하여야 하고, 특정 산업 중심의 정책에서 기업 성장 정책으로 전환은 대도시를 중심으로 정책 수립이 필요하며, 제도부문에서 재원사용에 대한 성과평가시스템 구축과 재원확충 제도는 중소도시를 중심으로 제도마련이 필요하다고 제시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roblems with regional development projects by examining their actual conditions and to propose measures to promote such projects based on the size of local cities. To achieve this goal, problems associated with regional development projects were analyzed, and measures for their promotion were derived by dividing these projects into planning, strategy, policy, and institutional sectors according to the size of local cities. The problems identified with regional development projects include diversification leading to similar and overlapping projects, lack of participation by local experts, top-down government structure for designating and supporting regional development projects, and insufficient budget. In order to address these issues, local experts have suggested differential measures based on the size of local cities. Specifically, in the planning sector, it was proposed that economic, cultural, social, and welfare functions be expanded and reorganized primarily around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and that long-term strategies be established for regional large cities through various partnerships and step-by-step procedures. In the policy sector, it was suggested that the implementation of bottom-up development under the leadership of local governments should be focused o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and that the transition from a specific industry-oriented policy to a corporate growth policy needs to be established around large cities. Finally, in the institutional sector, it was recommended that a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for the use of financial resources and a system for expanding financial resources should be established primarily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광익, 2000, "지역개발제도 개선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연구보고서.
  2. 김민재, 2008, "낙후지역 개발사업의 문제점과 개선과제", 「국회예산정책처」, 연구보고서.
  3. 김태운, 2022, "지방자치단체 지역산업정책의 특성과 발전방향 -대구광역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31(3), 359-392.
  4. 김현호.한표환, 2005, "낙후지역개발사업의 조정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연구보고서.
  5. 마상열.김다영, 2020, "2단계 경상남도 지역균형발전사업 활성화 방안", 「경남연구원」, 연구보고서.
  6. 엄대호.이영일.김채수.정병호, 2004, "농촌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지역개발 실행 방향", 「한국관개배수」, 11(1), 143-147.
  7. 우윤석, 2004, "낙후지역 개발을 위한 신활력사업의 바람직한 추진전략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 43, 21-36.
  8. 이병우.김남정.이명구, 2012, "낙후지역 개발정책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지역개발담당 공무원의 인식도를 중심으로", 「LHI」, 3(4), 307-314.
  9. 이상준.이제이.유예나, 2018, "서산시 지역균형발전사업 추진을 위한 정책방향 검토 연구", 「충남연구원」, 연구보고서.
  10. 이웅호, 2019, "우리나라 지역 특화산업의 발전방안", 「산업경제연구」, 32(1), 249-269.
  11. Hasan Bulent Kantarci, 2010, The Contribution of the Regional Development Agencies to the Improvement in Underdeveloped Areas,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Economic Development 1(1), 40-52.
  12. Regional Development Program of Georgia(2018-2021), 2018, Ministry of Regional Development and Infrastructure of Georgia.
  13. Yushkova, N. G., 2014, Improvement of tool support of the spatial approach to regional planning: problems, specifics, trends. Economic and Social Changes: Facts, Trends, Forecast, (6), 225-242.
  14. 국가균형발전위원회, https://www.nabis.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