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역개발사업

Search Result 1,843,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 Study on Strategies for Local Development Projects by Types of Regional Cities (지방 도시 규모별 지역개발사업 추진방안 연구)

  • Bae, Min-Cheul;Ahn, Jung-Geun;Ahn, Woo-Sung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 /
    • v.39 no.2
    • /
    • pp.3-18
    • /
    • 2023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roblems with regional development projects by examining their actual conditions and to propose measures to promote such projects based on the size of local cities. To achieve this goal, problems associated with regional development projects were analyzed, and measures for their promotion were derived by dividing these projects into planning, strategy, policy, and institutional sectors according to the size of local cities. The problems identified with regional development projects include diversification leading to similar and overlapping projects, lack of participation by local experts, top-down government structure for designating and supporting regional development projects, and insufficient budget. In order to address these issues, local experts have suggested differential measures based on the size of local cities. Specifically, in the planning sector, it was proposed that economic, cultural, social, and welfare functions be expanded and reorganized primarily around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and that long-term strategies be established for regional large cities through various partnerships and step-by-step procedures. In the policy sector, it was suggested that the implementation of bottom-up development under the leadership of local governments should be focused o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and that the transition from a specific industry-oriented policy to a corporate growth policy needs to be established around large cities. Finally, in the institutional sector, it was recommended that a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for the use of financial resources and a system for expanding financial resources should be established primarily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A Study on Construction of Management System for Efficient Management and Application of Regional Development Project (지역개발사업의 효율적 관리 및 활용을 위한 관리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 Kim, Nam-Jung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7 no.1
    • /
    • pp.1-8
    • /
    • 2016
  • This research has its objective in searching for a management plan that is stronger than existing plan for the regional development project in time for the execution of "Regulations on Regional Development and Support". Accordingly, the following plans for improvement are suggested to make improvements in lack of regional development projects management awareness; absence of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nd lack of reliability in project management information. Firstly, the management of regional development project needs to be operated as a system for project evaluation management based on related legislations. Secondly, various information of regional development project should construct a database, which becomes an information system that can be utilized by the central government and regional governing organizations. Third, to promote efficiency in regional development project management and expertise,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project management system utilizing professional outsourcing organizations and such. Lastly,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work environment to enhance the expertise and the responsibilities of those government officials in charge of the project.

Alternatives for Activating Development Finance in the Regional Development Projects (지역개발사업을 위한 개발금융 활성화 방안)

  • 박원석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2 no.1_2
    • /
    • pp.63-81
    • /
    • 1999
  •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current states and problems of development finance in the regional development projects, and to examine new sources and techniques of development finance for activating regional development projects. Analyzing the current states of development finance in regional development project, the problems such as the poorness of development function, the low accessibility to formal financial market, especially capital market, and the dominant use of corporate financing can be seen. In these context, four alternatives are proposed in order to activate development finance. First alternative is to use the funds which invest the equity of real estate, such as REITs. The second is to activate project financing. The third is to use asset backed securities. The forth is using mezzanine capitals as the means of protecting investors.

  • PDF

A study on the Adequacy about the Establishment of the Planning Region in the Spatial Policy of Underdevelopment Regions (낙후지역개발사업의 공간단위 설정에 관한 연구)

  • 이정섭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4.05a
    • /
    • pp.63-63
    • /
    • 2004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낙후지역개발사업들에 있어 개발계획지역에 대한 공간단위 설정의 적합성과 계획공간단위와 실제 공간간의 불일치에 대한 연구이다. 지역개발에 있어 그 대상이 되는 지역은 개발의 목표 달성을 위해 그에 상응하는 적합한 공간단위로 설정될 필요가 있다. 현행의 여러 낙후지역개발사업들은 개발계획지역 공간단위 설정이 법률, 정책, 제도, 주체별로 다양한 범위와 편차를 보이고 있고, 그 적합성과 효율성에 대한 논의들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중략)

  • PDF

Peer, Consumers and Community Leaders Evaluation of the Koje Community Health Project

  • Johnson, Kit G.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v.5 no.1
    • /
    • pp.141-151
    • /
    • 1972
  • 거제(巨濟) 지역사회(地域社會) 개발(開發) 보건원(保健院)이 목적하는 바대로 사업이 진전되고 있는지, 바람직한 지역사회의학 사업을 수행하고 있는지를 평가하는 일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평가의 하나로서 프로젝트에 영향력을 줄 수 있는 세 그룹 즉 지역사회의 유지, 프로젝트를 이용하는 주민 그리고 의료문제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 중 프로젝트에 다녀간 일이 있는 사람에 대해서 그들이 이 사업에 대해 이해하고 있는 바 또는 태도 등을 알아 보았다. 거제 지역사회 개발 보건원에 대한 반응은 긍정적이었다. 즉 저렴한 수가로 농촌 보건사업을 하고 있고, 간단한 치료사업과 예방의학 사업을 하고 있으며, 한국에서 지역사회의학의 교육을 발전시키는 데 자극적인 역할을 하고 아울러 지역사회의 개발을 위한 자극을 주었다고 하였다. 문제점으로 지적된 것은 위치가 거제군 전체의 의료를 위해서는 적합하지 못하며, 국내 의료인이나 지역주민의 참여가 불충분하였고, 보건소 사업과의 협조가 덜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 등이었다. 한편 사업의 목적이나 계획 및 운영면이 약하지 않은가 하는 것도 우려하였다.

  • PDF

A design and implementation about the region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franchise business (프랜차이즈 사업을 위한 지역 정보 관리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박남섭;이윤정;김정범;김태윤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499-501
    • /
    • 2001
  • 프랜차이즈 사업에 있어서 지역 정보 관리 시스템은 고객의 편의 제공 및 프랜차이즈의 수익 구조에 큰 영향을 준다. 프랜차이즈 사업에 있어서 중요한 점은 다양하게 존재하는 지역 정보들을 효과적으로 이용하는데 있다고 할 것이다. 현재 국내 사이트에서 구축되어 있는 지역 정보 관리 시스템은 분리된 해당 지역 정보만 제공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통합된 체계의 정보 서비스가 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의 부 프로세스에서는 지역 사업을 하는 데 있어 필요로 하는 다양한 지역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화하고 그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의 UI(User Interface)를 제공하고, 또한 상점에서 사용하는 사용자 프로그램의 개발과 상점의 특성을 파악하여 그에 맞는 컨텐츠를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부 프로세스의 개발의 기반 구조가 되는 관리자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한다. 즉, 지역 사업을 함에 있어 초기 데이터 구축 및 사업권 영역의 확장 및 관리라는 측면을 고려할 때 각 지역을 관리하게 될 MF(Master Franchise)와 F(Franchise)가 협력하여 현지의 현실감 있는 정보를 즉 시적으로 반영하며 구축해 나갈 수 있는 관리자 시스템을 개발한다.

  • PDF

지역사회복지관 이제야 지역주민 위한 화합의 공간으로

  • Park, Yong-Deuk
    • Social Workers
    • /
    • no.8 s.52
    • /
    • pp.24-26
    • /
    • 2006
  • 1821년 국내 최초로 태화기도교사회복지관이 우리나라에 설립된지 벌써 85년이 흘렀다 그간 사회복지관들은 지역 주민들의 복지증진을 위한 여러 가지 사업개발과 저소득 계층을 위해 지원해 왔으며 후원 및 자원봉사자들을 개발 발굴하여, 지역사회 운동 등의 다양한 활동을 전개해 오고 있다. 2007년 현재 전국에 395개의 지역사회복지관이 다양한 전문 복지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하고 있으며, 이러한 지역사회복지관에 대한 지역 주민들의 관심은 나날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과거 지역사회복지관이라는 단어는 경제적으로 어려운 저소득 소외계층을 위한 기관으로 빈민 구제등의 사업을 실시해왔으나 현재는 지역주민들의 욕구가 다양화 되면서 지역주민들을 위한 다양한 사업들을 전개해오고 있다.

  • PDF

Impact Analysis of Road Improvement Project on Rural Development : A Case of Korea (도로개선사업의 지역개발 효과분석)

  • 전경수;조중래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0 no.3
    • /
    • pp.123-140
    • /
    • 1992
  • 지방도로의 포장 및 확장사업으로 인한 지역개발효과를 분석하였다. 효과발생시 시기적 특성을 기준으로 할 때, 도로개선사업의 지역개발효과는 직접효과, 유발효과 및 간접효과 등 세가지의 유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들 각 유형의 효과가 각각 어떻게 발생되는가를 파악하기 위하여 본연구에서는 교통부문, 농업부문, 공업부문, 공공 서비스 부문, 주거부문 및 인문사회부문 등 6개부문에 대한 도로개선 사업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은 ADB 5차사업으로서 1983년에 공사를 시작하여 1985년에 사업이 완료된 밀양 및 하동지구를 그 대상으로 하였다. 도로개선사업의 효과가 사업종료 후 어느 시점에서부터 발생되는가를 관찰하기 위하여 효과분석을 위한 자료수집의 시점을 사업전 (1983년), 사업완료 직후(1986년) 그리고 사업완료 5년후(1992) 등 크게 세가지로 구분하였다. 1983년 및 1986년의 자료로는 건설부에서 조사한 자료들을 이용하였으며, 1992년의 자료는 현장조사와 해당군의 통계에서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였다. 도로사업으로 인한 순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각 대상지역을 사업지구(Project Area)와 대조지구(Control Area) 로 구분하고 이들 각 지구에 대한 시점별 분석들 실시하였다.

  • PDF

A Study on Improvement of Less Prosperous Index by Development Promotion Zone Projects (개발촉진지구사업을 통한 지역개발사업의 낙후도 개선효과에 관한 연구)

  • Lee, Hyeon-Joo;Ahn, Jae-Seong;Kim, Mi-Suk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1 no.1
    • /
    • pp.83-90
    • /
    • 2010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improvement in less prosperous index as a result of development promotion zone project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projects to develop the less prosperous regions in Korea since 1994. Comparing two less prosperous indices between 1995 and 2008, we performed cluster analysis using change values of ranks. Then, we analysed spatial pattern of clusters. The result showed that the extent of improvement of the less prosperous index was higher in Jeollan-do and Chungcheong-do, and slightly lower in Gangwon-do and northern part of Gyeongsanbuk-do.

Effect of Resident Participation Intention on Project Performance in Rural Development Consulting (농어촌개발 컨설팅에서 주민참여의도가 사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Kim, Eunjeong;You, Yen Yoo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20 no.4
    • /
    • pp.261-268
    • /
    • 2022
  • This study is about the effect of the intention of residents to participate in the regional capacity building project on the project performance. For the method, 238 samples were collected from villagers in Jeollanam-do, and the hypothesis was verified through SPSS22.0 and PROCESS macro 3.5 Model 4. The results showed, first,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level of awareness of participation intention. Second, participation intention showed a positive (+) effect on performance.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the regional capacity building project was confirmed. The limitation of the study was that it was limited to the Jeonnam region. Quantitative measurement was not performed in parallel with the performance. In the future, an activation plan through actual citizen participation and performance verification should be prepa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