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을 위한 교내 푸시의 활용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School Push Used for Learner-instructor Interaction

  • 최미양 ( 숭실대학교 베어드교양대)
  • 투고 : 2023.02.15
  • 심사 : 2023.04.07
  • 발행 : 2023.04.30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비대면 영어 수업에서 교내 푸시를 활용한 후 푸시의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 효과를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학기말에 실시한 설문조사를 토대로 이루어졌으며 연구 대상은 교양영어 두 교과목의 수강생 144명 중 설문 응답자 127명이다. 연구를 위하여 듣기 녹화강의에서 푸시를 활용한 한 문장 받아쓰기를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학생들은 푸시를 잘 활용하였으며 푸시를 통하여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이 원활해지는 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본 논문은 푸시가 더 효과적인 상호작용 도구가 되기 위하여 교수자들은 학생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할 의지와 MIM과 조직기반 앱으로서 푸시의 장점에 대한 확신이 있어야 하며, 학생들에게 푸시 이용방법에 대한 충분한 안내가 필요하다는 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is a case study on investigating the possibility of the school push as a tool of learner-instructor interaction in untact education environment. To this end, one-sentence dictation using the push was implemented and one survey was conducted on a total of 144 students from two different English courses, 127 of whom responded the survey.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push is effective for instructors to communicate with students in that it has high accessibility as MIM and school-based app. However, making the push be a more useful tool requires for instructors to be committed to communication with their students, to be well informed about the strengths of the push for its promotion, and to provide comprehensive introduction on how to use the push and check if students use it well.

키워드

참고문헌

  1. 김한나, 감성원,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동영상 수업의 강의만족도가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과 자아효능감의 매개 효과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1권, 제1호, 363-387쪽, 2021년 
  2. 백종남, "코로나 바이러스(COVID-19) 사태로 인한 대체방법으로서의 실시간 온라인 수업 참여에 대한 대학생의 효능감,"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8권, 제11호, 539-545쪽, 2020년 11월  https://doi.org/10.14400/JDC.2020.18.11.539
  3. 서정아,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온라인 교양영어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연구," 인문사회 21, 제12권, 제4호, 3041-3054쪽, 2021년  https://doi.org/10.22143/HSS21.12.4.216
  4. 강연화, "사이버 강의 효과 및 만족도에 대한 연구-일본문화 관련 강의 사례를 중심으로," 일본어문학, 제1권, 제84호, 3-20쪽, 2020년  https://doi.org/10.18704/kjjll.2020.03.84.3
  5. 강정화, "스마트러닝 활성화를 위한 SNS 활용 방안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제9권, 제5호, 265-274쪽, 2011년  https://doi.org/10.14400/JDPM.2011.9.5.265
  6. 김희진, "스마트 러닝을 혼합한 이러닝 영어 교육의 성취도 및 실재감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8권, 8호, 755-779쪽, 2018년 
  7. 김희진, 허광, "카카오톡.구글플러스 행아웃을 활용한 이러닝 영어회화 과목의 교수.학습 방안," 어학연구, 제49권, 제3호, 489-525, 2013 
  8. 주영주, 하영자, 김은경, 유지원, "사이버대학에서 교수실재감, 인지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과 학습성과와의 구조적 관계 규명," 정보교육학회논문지, 제14권, 제2호, 175-187쪽, 2010년 6월 
  9. 최은진, 최명숙, "이러닝 환경에서의 상호작용이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메타분석," 교육공학연구, 제32권, 제1호, 139-164쪽, 2016  https://doi.org/10.17232/KSET.32.1.139
  10. M. Rabeb and Z. Ferid, "The examination of factors affecting e-learning effectiveness," International Journal of Innovation and Applied Studies, vol. 2, no. 4, pp. 423-435, Apr. 2013. 
  11. 이준희, "e-Learning에서 상호작용 촉진을 위한 학습 설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5권, 제4호, 197-203쪽, 2005 
  12. 조수근, "온라인 영어독해 수업의 상호작용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영어영문학21, 제24권, 제4호, 289-314쪽, 2011년  https://doi.org/10.35771/ENGDOI.2011.24.4.013
  13. 허균, "대학생의 이러닝 학습효과 영향요인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형 연구,"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제15권, 제6호, 77-84쪽, 2014년 12월  https://doi.org/10.7472/JKSII.2014.15.6.77
  14. 김주혜, "영어교육 이러닝 콘텐츠의 설계 및 개발 전략," 영어학, 제11권, 제4호, 863-891쪽, 2011년 12월  https://doi.org/10.15738/KJELL.11.4.201112.863
  15. 김규동, 고유정, 최고은, 박인우, "이러닝에서 교수실재감, 학습참여도, 학습자-교수자 간의 상호작용 및 학업성취도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교육학연구, 제18권, 제1호, 169-188쪽, 2012년 
  16. 전영미, 조진숙, "대학 이러닝에서 상호작용 유형에 따른 수업만족도 및 인지된 학업성취도 분석,"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제18권, 제1호, 131-141쪽, 2017년 2월  https://doi.org/10.7472/JKSII.2017.18.1.131
  17. 한가영, 한진희, "온라인 수업에서 학습자와 교수자 간 상호작용이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교수 실재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문화와 융합, 제43권, 제10호, 259-282쪽, 2021년 10월 
  18. 김상현, "이러닝 특성과 사용자의 전반적 만족 및 재이용 의향과의 관계", 경기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5년 12월 
  19. 정숙경, "대학생들의 어학 도구로서의 스마트폰에 대한 인식과 사용 현황에 대한 연구," Multimedia Assisted Language Learning, 제15권, 제3호, 165-185쪽, 2012년  https://doi.org/10.15702/mall.2012.15.3.165
  20. 이의길, 김윤정, "온라인대학에서 교수자의 사회적 촉진활동에 따른 교수자 사회적 실재감의 차이 및 이들의 관계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제18권, 제3호, 69-78쪽, 2015년 5월 
  21. 정수미, "e-learning에서 학습동기유발 수단이 학습참여도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Mobile SMS(Short Message Service)와 E-mail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4년 6월 
  22. 최미양, "학생들의 능동적 수업참여를 위한 ICT 활용 연구 - 대학 영어 읽기 수업을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5권, 제10호, 419-428쪽, 2017년 10월 https://doi.org/10.14400/JDC.2017.15.10.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