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nfluencing Mechanism of Manufacturing SMEs' Smart Factory Advancement Acceptance Inten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Systems Success Model

중소제조기업의 스마트팩토리 고도화수용의도 영향 메커니즘: 정보시스템 성공모형을 기반으로

  • 김윤재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영학과) ;
  • 정창근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경영학과) ;
  • 양성병 (경희대학교 경영학과)
  • Received : 2023.07.21
  • Accepted : 2023.08.10
  • Published : 2023.08.31

Abstract

Projects to deploy and diffuse smart factories in South Korea are aimed at enhancing national manufacturing competitiveness. However, a significant portion of deployed companies remain at the basic stage and struggle to utilize smart factories regularly. Existing studies have primarily focused on the technical aspects of smart factories, using data analytics and case studies, leading to a gap in empirical research on continuous use and upgrade intentions. This study identifies key factors influencing smart factory usage and user satisfaction, drawing on the Information Systems Success Model (ISSM) and previous research. It empirically examines the impact of these factors on continuous use intention, management performance, and advancement acceptance intention through smart factory usage and user satisfaction. A structural equation model is employed to validate the research hypotheses, using survey data from 287 small and medium-sized manufacturing enterprises (SMEs) that have adopted smart factories. Results demonstrate that system quality, information quality, service quality, and government support significantly affect smart factory usage, while service quality and government support influence user satisfaction. Furthermore, smart factory usage and user satisfaction have positive effects on management performance, continuous use intention, and subsequently advancement acceptance intention. This study provides novel insights by demonstrating the specific impact mechanisms of smart factory user satisfaction on the business and the intentions of manufacturing SMEs regarding continuous use and advancement acceptance, leveraging the ISSM.

국가경쟁력 제고와 제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한 스마트팩토리 보급 및 확산사업이 국가주도로 진행되고 있으나, 대부분의 구축기업이 기초 단계에 머무르고 있으며, 그 마저도 지속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스마트팩토리 관련 선행연구의 대다수는 도입사례 혹은 빅데이터 적용방안 등 기술적인 부분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스마트팩토리의 지속적 활용에 대한 실증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보시스템 성공모형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스마트팩토리 사용정도 및 사용자만족에 영향을 주는 주요 선행요인을 도출하고, 이 요인들이 사용정도 및 사용자만족을 거쳐 지속사용의도, 경영성과 및 고도화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였다. 스마트팩토리를 기 도입한 287개 중소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수집한 설문지를 바탕으로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주요 선행요인인 시스템품질과 정보품질, 서비스품질, 정부지원은 사용정도에 유의한 영향을, 서비스품질과 정부지원은 사용자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용정도와 사용자만족은 경영성과 및 지속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나아가 고도화수용의도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정보시스템 성공모형을 활용하여 중소제조기업의 스마트팩토리 사용자만족이 경영성과 및 지속사용의도, 나아가 고도화수용의도에 미치는 구체적인 영향 메커니즘을 최초로 실증한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2년 대한민국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NRF-2022K2A9A2A11097154).

References

  1. 간형식,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국내제조업의 대응전략: 독일 제조업과 비교분석", 상품학 연구, 제36권, 제3호, 2018, pp. 55-56. 
  2. 경기지방중소벤처기업청, "중소기업 육성 종합계획(2023~2025) 발표", 2023.07.11, Available at https://www.mss.go.kr/site/gyeonggi/ex/bbs/View.do?cbIdx=166&bcIdx=1043039&parentSeq=1043039. 
  3. 권세인, 양종곤, "중소 제조기업의 스마트공장 기술결정요인, 제조운영 및 성과 간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21권, 제11호, 2020, pp. 650-661.  https://doi.org/10.5762/KAIS.2020.21.11.650
  4. 김상문, 유연우, "기업역량이 스마트팩토리 수용의도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 융복합연구, 제18권, 제9호, 2020, pp. 125-133. 
  5. 김상현, 송영미,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확산에 영향을 주는 조직필요성 및 기술필요성 요인과 정부지원의 조절효과에 대한 실증연구", 경영정보학연구, 제12권, 제3호, 2010, pp. 89-116. 
  6. 김선녀, 병원정보시스템 품질요인이 사용자 만족과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동명대학교, 2018.
  7. 김익성, "4차 산업혁명의 핵심 연구 대상인 독일 자동화공장의 성공사례연구와 한국 내 도입방안: 한국 스마트공장건립을 위한 정책 및 전략제안", 유라시아연구, 제17권, 제3호, 2020, pp. 189-213.  https://doi.org/10.31203/AEPA.2020.17.3.008
  8. 김정래, "중소기업의 스마트팩토리 도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정부지원 기대와 과업기술적합도를 포함하여", 벤처혁신연구, 제3권, 제2호, 2020, pp. 41-76.  https://doi.org/10.22788/3.2.3
  9. 김현규, "스마트 팩토리의 지속사용 의도와 전환의도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제24권, 제2호, 2019, pp. 65-80.  https://doi.org/10.9723/JKSIIS.2019.24.2.065
  10. 김호, 김병근, "정부보조금의 민간연구개발투자에 대한 효과분석", 기술혁신학회지, 제15권, 제3호, 2012, pp. 649-674. 
  11. 박경아, 이정호, 김영석, 한승우, "사용자 만족도 및 중요도를 고려한 건설 정보화 시스템 평가모형 개발",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제9권, 제5호, 2008, pp. 137-148. 
  12. 박병준, 수준진단제를 활용한 한국형 중소기업 스마트팩토리 구축 모델 및 실증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2020. 
  13. 박제선, 스마트 팩토리 구축 의지와 실행에 관한 관계 분석: 정부 지원금과 기업 부담금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문), 부산대학교, 2019. 
  14. 배병축, 스마트 공장의 기술적 요인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공장 지원사업 수혜 기업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2017. 
  15. 변대호, "스마트공장 동향과 모델공장 사례", e-비즈니스연구, 제17권, 제4호, 2016, pp. 211-228.  https://doi.org/10.15719/GEBA.17.4.201608.211
  16. 서다영, 정부R&D의 민간부담금과 혁신 성과 간의 관계: 신재생에너지 핵심기술개발 사업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2021. 
  17. 서판종, 김동희, 문태수, "국내 중소기업의 스마트공장 구축을 위한 조직역량과 조직성과에 관한 연구", 정보시스템연구, 제31권, 제1호, 2022, pp. 197-218. 
  18. 송원철, 기업의 핵심역량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2021. 
  19.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스마트공장 소개, 2023, Available at https://www.smart-factory.kr/usr/pr/sf/ma/smrtFctryIntrcn. 
  20. 양재송, 고일상, 장희영, 조준기, "컴퓨터 협업 환경에서 관계특성요인들이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제12권, 제3호, 2013, pp. 7-21. 
  21. 오주환, "스마트팩토리의 전략적 활용 연구: 구축 목적 및 내용이 지속적 활용에 미치는 영향", 중소기업연구, 제41권, 제4호, 2019, pp. 1-36.  https://doi.org/10.36491/APJSB.41.4.1
  22. 오창규, "정보시스템 성공 모형을 적용한 e-Book 성공 모형의 평가", 정보관리학회지, 제29권, 제4호, 2012, pp. 61-82.  https://doi.org/10.3743/KOSIM.2012.29.4.061
  23. 우기훈, 김민서, "성과형 스마트팩토리 모델과 경쟁우위에 대한 연구: 경남지역 최적모델을 중심으로", 한국기술혁신학회지, 제25권, 제4호, 2022, pp. 737-761.  https://doi.org/10.35978/jktis.2022.8.25.4.737
  24. 이록, 김채수, "중소벤처기업의 스마트팩토리 기술적용이 품질과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벤처창업연구, 제15권, 제3호, 2020, pp. 59-71.  https://doi.org/10.16972/APJBVE.15.3.202006.59
  25. 이병민, 우리나라 스마트공장 구축 및 운영 동향 연구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2022. 
  26. 이재성, 김성수, 김희웅, "국내 중소기업의 스마트 팩토리 구축방안 연구", 연세경영연구, 제59권, 제2호, 2022, pp. 101-126.  https://doi.org/10.55125/YBR.2022.12.59.2.101
  27. 이정련, 이창원, "스마트팩토리의 핵심성공요인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로고스경영연구, 제20권, 제2호, 2022, pp. 93-108. 
  28. 이호준, PLM기반 조선소 스마트 공장 구축 사례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국해양대학교, 2022. 
  29. 장세권, 홍아름, "스마트공장 제조데이터의 운영이 중소기업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학회 융합학술대회 논문집, 2022, pp. 7-30. 
  30. 정기준, 스마트공장 구축을 위한 데이터 수집에 관한 연구: 자동차 1차사 사례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 2020. 
  31. 정병주, 스마트공장의 도입이 기업성과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국내 기업의 스마트공장 도입 사례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2017. 
  32. 정상일, 박현숙, "중소기업의 스마트팩토리 고도화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디지털 융복합연구, 제19권, 제6호, 2021, pp. 199-211. 
  33. 정종준, 신건권, 김효정, "모바일러닝시스템의 품질과 개인요인이 기업체 직원의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 사용기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Korea Business Education Review, 제31권, 제4호, 2016, pp. 469-493.  https://doi.org/10.23839/kabe.2016.31.6.469
  34. 정한열, 장명복, "정보 품질이 ERP시스템 활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제12권, 제6호, 2007. pp. 279-286. 
  35. 정호진, 국내 중소 제조기업의 스마트공장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2022. 
  36. 조용주,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국내 스마트팩토리 추진전략", 정보과학회지, 제35권, 제6호, 2017, pp. 40-48. 
  37. 중소벤처기업부, "중소벤처기업부, 2023년 지능형(스마트)제조혁신 위해 1,462억 원 지원", 2023.01.09, Available at https://www.mss.go.kr/site/smba/ex/bbs/View.do?cbIdx=86&bcIdx=1038442. 
  38. 진성옥, 서영욱, "Smart Factory 구축과 성과에 대한 연구: A社의 사례를 중심으로", 예술인문 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제8권, 제4호, 2018, pp. 161-170. 
  39. 최영환, 최상현, "스마트공장 시스템 구축이 중소기업 경쟁력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경영정보학연구, 제19권, 제2호, 2017, pp. 95-113.  https://doi.org/10.14329/isr.2017.19.2.095
  40. 최종학, 호텔 종사원 가치의제 (Employee Value Proposition)가 고객지향성 및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2011. 
  41. 한상인, 장석주, "자동차 산업에서의 사용자만족과 지속사용의도에 관한 연구: 기대일치모형을 중심으로", 벤처창업연구, 제16권, 제5호, 2021, pp. 189-203.  https://doi.org/10.16972/APJBVE.16.5.202110.189
  42. 한정선, 강명희, "대학 e-포트폴리오 활용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시스템 사용효능감과 시스템 품질 인식에 대한 구조관계 규명", 교육공학 연구, 제32권, 제4호, 2016, pp. 925-954.  https://doi.org/10.17232/KSET.32.4.925
  43. 한철희, 윤석철, "사회복지시설정보시스템 활용정도가 사회복지기관 업무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회계와정책연구, 제19권, 제5호, 2014, pp. 37-72. 
  44. 허진, 이애리, "스마트팩토리의 주요 보안요인 연구: AHP를 활용한 우선순위 분석을 중심으로", 경영정보학연구, 제22권, 제4호, 2020, pp. 185-203.  https://doi.org/10.14329/isr.2020.22.4.185
  45. Bagozzi, R. P., Y. Yi, and L. W. Phillips, "Assessing construct validity in organizational research",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Vol.36, No.3, 1991, pp. 421-458.  https://doi.org/10.2307/2393203
  46. Buchi, G., M. Cugno, and R. Castagnoli, "Smart factory performance and Industry 4.0", Technological Forecasting and Social Change, Vol.150, 2020, p. 119790. 
  47. DeLone, W. H. and E. R. McLean, "The DeLone and McLean model of information systems success: A ten-year update", Journal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Vol.19, No.4, 2003, pp. 9-30.  https://doi.org/10.1080/07421222.2003.11045748
  48. Fornell, C. and D. F. Larcker,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18, No.3, 1981, pp. 382-388.  https://doi.org/10.1177/002224378101800313
  49. Friederich, J., D. P. Francis, S. Lazarova-Molnar, and N. Mohamed, "A framework for data-driven digital twins of smart manufacturing systems", Computers in Industry, Vol. 136, 2022, p. 103586. 
  50. Fukuzawa, M., R. Sugie, Y. Park, and J. Shi, "An exploratory case study on the metrics and performance of IoT investment in Japanese manufacturing firms", Sustainability, Vol.14, No.5, 2022, p. 2708. 
  51. Goodhue, D. L., "Understanding user evaluations of information systems", Management Science, Vol. 41, No. 12, 1995, pp. 1827-1844.  https://doi.org/10.1287/mnsc.41.12.1827
  52. Hawkins, M., "Cyber-physical production networks, internet of things-enabled sustainability, and smart factory performance in Industry 4.0-based manufacturing systems", Economics, Management and Financial Markets, Vol.16, No.2, 2021, pp. 73-83.  https://doi.org/10.22381/emfm16220214
  53. Jerman, A., M. Pejic Bach, and A. Aleksic, "Transformation towards smart factory system: Examining new job profiles and competencies", System Research and Behavioral Science, Vol.37, No.2, 2020, pp. 388-402.  https://doi.org/10.1002/sres.2657
  54. Kovacova, M. and E. Lewis, "Smart factory performance, cognitive automation, and industrial big data analytics in sustainable manufacturing Internet of Things", Journal of Self-Governance and Management Economics, Vol.9, No.3, 2021, pp. 9-21.  https://doi.org/10.22381/jsme9320211
  55. Pitt, L. F., R. T. Watson, and C. B. Kavan, "Service quality: A measure of information systems effectiveness", MIS Quarterly, Vol.19, No.2, 1995, pp. 173-187.  https://doi.org/10.2307/249687
  56. Powers, R. F. and G. W. Dickson, "MIS project management: Myths, opinions and reality", California Management Review, Vol.15, No.3, 1973, pp. 147-156.  https://doi.org/10.2307/41164448
  57. Radziwon, A., A. Bilberg, M. Bogers, and E. S. Madsen, "The smart factory: Exploring adaptive and flexible manufacturing solutions", Procedia Engineering, Vol.69, 2014, pp. 1184-1190.  https://doi.org/10.1016/j.proeng.2014.03.108
  58. Seddon, P. B., "A respecification and extension of the DeLone and McLean model of IS success", Information System Research, Vol.8, No.3, 1997, pp. 240-253.  https://doi.org/10.1287/isre.8.3.240
  59. Seiger, R., L. Malburg, B. Weber, and R. Bergmann, "Integrating process management and event processing in smart factories: A systems architecture and use cases", Journal of Manufacturing Systems, Vol.63, 2022, pp. 575-592.  https://doi.org/10.1016/j.jmsy.2022.05.012
  60. Sjodin, D. R., V. Prida, M. Leksell, and A. Petrovic, "Smart factory implementation and process innovation: A preliminary maturity model for leveraging digitalization in manufacturing", Research-Technology Management, Vol. 61, No. 5, 2018. pp. 22-31.  https://doi.org/10.1080/08956308.2018.1471277
  61. Venkatesh, V., J. Y. L. Thong, F. K. Y. Chan, P. J. H. Hu, and S. A. Brown, "Extending the two-stage information system continuance model: Incorporating UTAUT predictors and the role of context", Information Systems Journal, Vol.21, No.6, 2011, pp. 527-555.  https://doi.org/10.1111/j.1365-2575.2011.00373.x
  62. Wei, K. S., A. C. Y. Loong, Y. M. Leong, and K. B. Ooi, "Measuring ERP system success: A respecification of the DeLone And McLean's IS success model", In Symposium on Progress in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2009, pp. 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