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Use of Geospatial Information-Based Simulation for Preemptive Response to Water Disasters in Agricultural Land

농경지 수재해 선제적 대응을 위한 공간정보기반 시뮬레이션 활용 연구

  • Received : 2022.07.21
  • Accepted : 2022.08.04
  • Published : 2022.08.31

Abstract

Due to global warming and changes in the natural environment, flood damage to agricultural land due to wind and flood damage continues. Although disaster prevention projects have been continuously carried out since the founding of the country, progress has been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sustained period, and huge costs are still being consum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se predictive simulation for pre-emptive response to inundation of farmland. In this paper, a case of immersion analysis simulation using a GIS(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based SWMM model was introduced, and the validity was confirmed through the error rate between our simulation result and the results of other models in the US and Korea. In addition, in the direction of using the simulation for agricultural land inundation, we presented various utilization methods to supplement the current agricultural land inundation-based information policy, such as the creation of flood traces. If simulation results from more regions are accumulated in the form of the flood analysis maps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they will be able to be utilized in various applications for preemptive response to and prevention of water disasters at the national level.

지구 온난화와 자연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풍수해로 인한 농경지 침수피해가 지속되고 있다. 건국 이래 지속적인 방재사업을 펼치고 있으나, 지속된 기간에 비해 진척은 미흡하고, 여전히 막대한 비용이 소비되고 있다. 따라서 농경지 침수에 선제적 대응을 위한 예측 시뮬레이션 등의 개발과 활용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GIS(공간정보)기반 SWMM 모델을 활용한 침수분석 시뮬레이션 사례를 소개하고, 해당 시뮬레이션 결과와 미국과 국내의 타 모델의 결과 간의 오차율을 통해 타당성을 확인했다. 또한 해당 시뮬레이션을 농경지 침수에 활용하기 위한 방향으로 침수흔적도 작성 등 현행 농경지 침수 대비 기반 정보 정책을 보완할 다양한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향후 보다 많은 지역의 시뮬레이션 결과가 침수분석도 형태로 축적되면 범국가 차원의 수재해에 대한 선제적 대응, 나아가서는 예방을 위한 각종 응용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한국국토정보공사 공간정보연구원 산학협력R&D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과제명:전북지역 농경지 침수피해의 선제적 대응을 위한 공간정보 기반 과학적 분석에 의한 침수분석 및 활용 방안 연구, 과제번호: 2021-0206)

References

  1.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Disaster annual report in 2015", MPSS, Oct. 2016.
  2. 최천규 외 3인, "피해조사 자료를 활용한 단독주택 홍수피해 영향인자 평가,"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제18권, 제7호, 535-543쪽, 2018년 12월
  3. 이정재, "농업생산기반시설 통합관리 시스템 개발", 농림수산식품부, 2014년 9월
  4. 황석환 외3, "전국도시.산지.소하천 돌발홍수예측 시스템 개발 및 정확도 평가," 한국수자원학회지, 제53권, 제3호, 225-236쪽, 2020년 3월
  5. 김양수 외2, "최근 우리나라 홍수 특성 분석," 한국수자원학회지, 제47권, 제5호, 35-40쪽, 2014년 5월
  6. 박승우, "배수개선 농경지의 침수피해 모의시스템 개발", 농림부, 2003년 8월
  7. 전성민 외2명, "농경지 침수모의 모델 개선방향," 한국수자원학회지, 제54권, 제11호, 62-68쪽, 2021년 11월
  8. 국민재난안전포털(2022), https://www.safekorea.go.kr/idsiSFK/neo/sfk/cs/sfc/map/disasterMapMain.jsp?menuSeq=714, (accessed Jul. 25, 2022)
  9. 국립해양조사원, 연안재해 취약성 평가체계 CDAS(2022), http://www.khoa.go.kr/cdas/cdasweb/CDAS/page/pageService.do?id=sub_04_02, (accessed. Jul. 20, 2022)
  10. 농림부, "농업 생산 기반 정비사업계획 설계기준", 농림부, 2006년 12월
  11. 농림축산식품부 배수개선사업 정의(2022), https://www.mafra.go.kr/mafra/412/subview.do, (accessed Jul. 20, 2022)
  12. 국립농업과학원, "기상이변.기후변화 대응 농경지침수예측 서비스체계 구축", 농촌진흥청, 2017년 2월
  13. 행정안전부, "2020 재해연보", 행정안전부, 2020년 12월
  14. 한양희 외 1, "SWMM 모델을 이용한 지속 가능한 도시 소하천 관리를 위한 LID 기법의 적용 방 안 연구," 한국환경공학학회지, 제36권, 제10호, 691-697쪽, 2014년
  15. 우원희외 4, "SWAT-SWMM 연계모델을 이용한 LID적용에 따른 경안천 유역의 유량 및 수질 개선 효과 분석,"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539-539쪽, 2012년 9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