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침수예측 시뮬레이션

Search Result 20,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Development of a Environmental Facility Flood Damage Simulation System based on Spatial Information (공간정보기반 환경시설 침수피해 시뮬레이션 플랫폼 개발)

  • Yoon, Jung Hwan;Lee, Gyeng Bin;Lee, Min Ho;Lee, Chang 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15-215
    • /
    • 2020
  • 최근 집중호우로 인한 환경시설의 침수피해는 시설의 직접 피해 이외에 단수와 수질 불량 등 사회적 2차 피해를 발생시킬 위험이 높기 때문에 효율적인 대응체계 및 대응시스템 구축이 요구된다. 하지만 환경시설에 대한 침수피해 영향예측과 피해저감기술의 개발이 미흡하고, 국내 실정에 적합한 환경시설의 침수피해 해석을 위한 전문시스템이 부재하여 환경시설의 방재대책 수립시 피해예측의 정확성 확보에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환경시설의 침수피해에 대비하고 선제적 재해 예방 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국내 실정을 고려할 수 있는 공간정보기반의 환경시설 침수피해 시뮬레이션 플랫폼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공간정보 기반의 국내 환경시설에 대한 침수피해 인벤토리를 구축하고, 내수침수와 외수침수의 시뮬레이션 및 결과해석의 기능 지원하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한 시스템은 자연재해로부터 발생하는 환경시설 침수피해를 예측하고 피해를 저감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the Use of Geospatial Information-Based Simulation for Preemptive Response to Water Disasters in Agricultural Land (농경지 수재해 선제적 대응을 위한 공간정보기반 시뮬레이션 활용 연구)

  • Jung, Jae Ho;Kim, Seung Hyun;Kim, Dae Jin;Yang, Seung Weon
    • Smart Media Journal
    • /
    • v.11 no.7
    • /
    • pp.52-60
    • /
    • 2022
  • Due to global warming and changes in the natural environment, flood damage to agricultural land due to wind and flood damage continues. Although disaster prevention projects have been continuously carried out since the founding of the country, progress has been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sustained period, and huge costs are still being consum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se predictive simulation for pre-emptive response to inundation of farmland. In this paper, a case of immersion analysis simulation using a GIS(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based SWMM model was introduced, and the validity was confirmed through the error rate between our simulation result and the results of other models in the US and Korea. In addition, in the direction of using the simulation for agricultural land inundation, we presented various utilization methods to supplement the current agricultural land inundation-based information policy, such as the creation of flood traces. If simulation results from more regions are accumulated in the form of the flood analysis maps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they will be able to be utilized in various applications for preemptive response to and prevention of water disasters at the national level.

Development of Flooding and Overflow Simulation Technology for Rainwater Infiltration Storage Block Placement (빗물침투저류블록 설치 최적지 선정을 위한 침수범람 시뮬레이션 기술 개발)

  • Kim, Seongpyo;Ryu, Jungrim;Kim, Hojin;Choi, Heeyong;Lee, Taegyu;Choi, Hyeonggil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24 no.2
    • /
    • pp.227-238
    • /
    • 2024
  • This study addresses the escalating flood damages prompted by recent climate shifts characterized by extreme weather events and proposes rainwater infiltration blocks as a potential solution. Recognizing the limitations inherent in existing inundation simulation methods, we advocate for the integration of novel functionalities, particularly leveraging drone technology. Our research endeavors encompass experimental assessments of inundation and flooding simulation technologies. These evaluations are conducted within areas where rainwater infiltration storage blocks have been implemented, juxtaposed against existing programs utilizing Digital Elevation Models(DEM) and Digital Surface Models(DSM). Through this comparative analysis and a meticulous scrutiny of the adaptability of inundation and flooding simulation to real-world deployment scenarios, we ascertain the efficacy of the simulation program as a decision-making tool for identifying optimal sites for rainwater infiltration storage block installation.

Expectation Analysis of Inundation Using Distributed Model in NamgangDam Basin (분포형 모형을 적용한 남강댐 유역의 침수예측 분석)

  • Park, Mi Ri;Park, Sung Je;Lee, Young Kun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584-584
    • /
    • 2015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국지성 집중호우와 태풍 등으로 홍수피해가 급증하고 있음에 따라 침수지역에 대한 공간적인 분석과 사전 예측으로 피해를 최소화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유역 별 평균화된 매개변수로 홍수량을 산정하는 집중형 모형이 아닌 분포형 모형을 적용하여 남강댐 유역의 유출량 산정 및 침수예측을 분석하였다. 분포형 모형은 격자체계를 기반으로 유역에 각 격자별 공간적 특성이 반영된 매개변수를 적용하므로 유역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반영하므로 집중형 모형보다 정확한 해석이 가능하다. DEM, 토양도, 토지피복도 등의 격자크기 $240{\times}240$의 지형공간 자료를 ArcGIS를 이용하여 남강댐유역의 Flow direction, 경사도, 하도경사, 불투수율, 유효공극률, 조도계수, 토양심도, 수리전도도, 토양흡인수두 등의 수문매개변수를 추출하였다. 강우 자료의 경우 티센(Thiessen)법에 의해 선정된 남강댐유역 주변의 장수, 거창, 진주, 합천, 산청, 남원 강우관측소의 100년빈도 확률강우량 산정하여 24시간 확률강우를 3분위 Huff 분포시킨 후 강우의 공간적 통계특성을 반영하는 크리깅(Kriging)기법으로 적용하여 강우보간을 실시하였다. 침수예측을 위해 $Vflo^{TM}$모형을 이용해 48시간의 강우모의시간 홍수수문곡선 유도 및 홍수량 산정하였으며, 시간에 따른 침수 시뮬레이션하여 침수예측도를 작성하였다. 작성 시 침수심의 정도에 따라 5개의 구간으로 분류해 침수위험지역을 확인 할 수 있도록 도식화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남강댐유역의 침수위험지역을 개략적으로 예측할 수 있었으며, 추후 연구에서는 보다 조밀한 격자크기와 강우를 이용하여 분석한다면 향후 피난 정보 제공과 홍수재해지도 작성, 홍수방지 시설물 건설 또는 홍수보험계획 등에 응용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alysis of the Vulnerable Area about Inundation on the Upriver Basin of Dam by Flood Simulation Using GIS (GIS 홍수 시뮬레이션에 의한 댐 상류 유역의 침수 취약지역 분석)

  • Um, Dae-Yong;Kim, Ji-Hy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7 no.6
    • /
    • pp.723-731
    • /
    • 2009
  • Recently, it has been strangely increasing rainfall and rainfall meter by global warming. so flood damage is being increase. It has happened there are so many damaged by influence by backwater of dam. However, the alleviative solutions of flood damages are focused on the lower river basin where the density of population is higher than upper river basin. This research proceeds based on design and build 3D topography model and reflects the topographical factors of upper river basin. It also simulated the circumstances of flooding by investigation of factors of outflow, hence, as a result, we would find out the vulnerable area for flooding and scale of damages effectively. This research suggests the solution and method of flooding for vulnerable area of the flooding to reduce the damages by predicting flooding. Thus, the suggestion may support to make a decision efficiently to prevent the damage of flooding.

Prediction of Overflow Hazard Area in Urban Watershed by Applying Data-Driven Model (자료지향형 모형을 이용한 도시유역에서의 월류 위험지역 예측)

  • Kim, Hyun Il;Keum, Ho Jun;Lee, Jae Yeong;Kim, Beom Jin;Han, Kun Y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6-6
    • /
    • 2018
  • 최근 집중 호우로 인한 내수침수 피해가 도시화와 기후변화로 늘어나고 있다. 내수침수 피해로 인한 복구비용과 시간이 증가하고 있으며 향후에는 이보다 더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충분한 선행시간을 가지고 내수 침수 구역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기존의 물리적 모델은 정확하고 정교한 결과를 제공하지만, 시뮬레이션을 준비하고 마치는 데에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그 이유로서는 강우량, 지형적 특성, 배수관망 시스템, 수문학적 매개변수 등의 다양한 데이터도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는 도시유역에 대한 내수침수의 실시간 예측이 어렵게 되었으며, 충분한 선행시간을 확보하지 못하는 원인이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 결정론적 방법과 확률론적 방법을 자료지향형 모형으로 결합하여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하며, 특정 강우 조건하에 도시유역에서의 내수침수에 영향을 미치는 맨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위와 같은 과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입력자료 조합에 대한 비선형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로 특정 강우 조건에 대하여 각 맨홀에 대한 누적월류량을 예측할 수 있는 비선형 인공신경망을 구축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방법론은 국내의 강남 배수분구에 대하여 적용이 되었으며, 내수침수 예측결과와 2차원 해석결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위 과정을 통하여 1차원 도시유출해석을 위한 입력 자료를 준비하는 시간을 절약하고, 다양한 강우 조건과 내수침수지도 사이의 연관성을 학습하는 예측 모형을 이용하여 도시유역의 내수침수에 대한 충분한 선행시간을 확보하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의 결과는 도시유역에 대한 비구조적 대책 수립에 도움을 줄 것으로 확인이 되며 도시 유역 내에 맨홀 위치들을 고려한 위험지구를 파악하는 데에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Urban Inundation Analysis by Applying with GIS (GIS를 이용한 도시지역 침수해석)

  • Lee, Chang-Hee;Han, Kun-Yeun;Kim, Ji-Su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9 no.2
    • /
    • pp.115-126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urban inundation model using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The model is combining a storm sewer system model and a overland-flow model for the estimation inundation depth in urban area caused by the surcharge of storm sewers. SWMM(storm water management model) was employed to resolve the storm sewer flow and to provide the overflow hydrographs caused by the failure of a drainage system due to the shortage of drainage capacity. The level-pool overland-flow model and DEM based overland-flow model were used to calculate the detail inundation zones and depths due to the surcharge on overland surface. The simulation results can help the decision preventing flood damages by redesigning and enlarging the capacities of storm sewer systems in the inundation-prone areas. The model can also be applied to make the potential inundation area map and establish flood-mitigation measures as a part of the decision support system for flood control authority.

  • PDF

Probabilistic External Flood Hazard Assessment at Major National Facilities (국가주요시설물에 대한 확률론적 외부 침수 재해도 평가)

  • Kim, Beom Jin;Kim, Byunghyun;Han, Kun Y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87-387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LIP에 의한 극한강우로부터 발생되는 극한홍수량을 산정한다. Huff 형 강우시간 분포를 기후변화 시나리오별로 적용하고, 원전주변지역에서의 상세한 토지이용조건의 변화를 고려하여 빈도별 홍수량을 산정한다. 외부침수해석의 정교화를 위한 상세 지형자료를 구축하고, 원자력발전소 부지의 상세 DEM 자료를 생성한다. 이를 위해서 원자력발전소 부지에서 건물, 연석, 도로 등의 영향을 분석하고 토지이용상황에 따른 조도계수를 산정한다. 또한 원전지역에서의 외부침수재해도 분석을 위해서 국립해양조사원에서 검토한 기후변화를 고려한 조위분석 자료를 외부경계조건으로 설정한 후 부지에 대한 2차원 수리분석을 실시한다. 침수심, 침수유속, 침수시간, 침수동압력 분석 등 2차원 침수해석결과를 바탕으로 발생빈도별 침수심, 침수강도 등의 정량적인 분석을 통해서 빈도별 재해도 곡선을 개발한다. 그리고 원전지역에서의 외부 침수에 대한 대표적인 재해도 곡선을 산정하기 위하여 재현기간별 지속시간에 따른 침수심을 분석하고 정리한다. 재현기간별 침수심에 대해 확률 분포형을 적용하기 위해서 AIC검증을 통한 분포형의 적합성을 분석을 실시한다. 또한 재현기간별 지속시간에 따른 침수심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분포형에 적용한다. 적용된 분포형을 몬테칼로 시뮬레이션을 통한 대표적인 확률론적 외부 침수 재해도 곡선을 산정한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원전 부지 및 그 부속 시설물(SSC)의 홍수방지 기능과 홍수 대비 시설물에 대한 적용 절차의 신뢰성, 홍수 저감 및 대응 전략에 대한 정량화가 가능하여 원전 홍수 위험에 대한 정량적인 평가 지원이 가능하겠다. 고려할 외부 홍수와 관련된 원전 내부시설 및 장비에 대한 상세한 모델링 절차, 특정 시나리오에 대한 홍수 방지 및 예방과 관련한 SSC의 정량화, 홍수저감 활동과 관련된 통제실 외부 시설물에 대한 수동 조작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겠다.

  • PDF

A Study on Flooding Prevention Scheme due to Sea Level Rise at Young-do Coast in Busan (부산 영도 해안의 해수면 상승에 따른 침수대책 연구)

  • Hong, Sung-Ki;Kang, Yong-Hoon;Lee, Han-Seok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7 no.4
    • /
    • pp.409-418
    • /
    • 2013
  • On the assumption of the rise of sea level, the inundation vulnerabilities on coastal areas of Korea are evaluated in different ways. The pro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influences of sea level rise caused by global warming at Young-do coastal area, and to suggest the prevention schemes against the flooding damage caused by the sea level rise. The potential rates of sea level rise are assumed and with these rates the inundation vulnerabilities are simulated using CAD program. With the virtual maps, as the results of the previous CAD simulation, this study attempts to suggest the flood prevention schemes for each sector of damage-expected coastal area.

Analysis of Flooded Areas for Cadastral Information-Based Rainfall Frequencies (지적정보 기반의 강우빈도별 침수지역 분석)

  • Min, Kwan-Sik;Lee, Hyung-Seo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3 no.4
    • /
    • pp.101-110
    • /
    • 2010
  • The increased occurrence of flooding due to typhoons and local rainfall has necessitated damage prevention through the systematic construction of damage history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flood prediction data. In this study, we constructed a disaster information map for practical use by combining digital images and continuous cadastral maps of damaged areas using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to provide basic data and attribute information. In addition, we predicted the areas at risk of flash floods by calculating the flood capacity of the study area for different rainfall frequencies through flood inundation simulation, which was used to obtain comprehensive disaster information. Further, we calculated the extent of the flooded area and the damage rate for different rainfall frequencies using cadastral information. Flood inundation simulation in the case of heavy rainfall was found to help improve the ability to react to a flood and enhance the efficiency of rescue work by supporting decision-making for disaster 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