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ooding Simulation

검색결과 289건 처리시간 0.033초

A Study on Flooding·Sinking Simulation for Cause Analysis of No. 501 Oryong Sinking Accident

  • Lee, Jae-Seok;Oh, Jai-Ho;Lee, Sang-Gab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41-247
    • /
    • 2018
  • Deep-sea fishing vessel No. 501 Oryong was fully flooded through its openings and sunk to the bottom of the sea due to the very rough sea weather on the way of evasion after a fishing operation in the Bearing Sea. As a result, many crew members died and/or were missing. In this study, a full-scale ship flooding and sinking simulation was conducted, and the sinking process was analyzed for the precise and scientific investigation of the sinking accident using a highly advanced Modeling & Simulation (M&S) system of the Fluid-Structure Interaction (FSI) analysis technique. To objectively secure the weather and sea states during the sinking accident in the Bering Sea, time-based wind and wave simulation at the region of the sinking accident was conducted and analyzed, and the weather and sea states were realized by simulating the irregular strong wave and wind spectrums. Simulation scenarios were developed and full-scale ship and fluid (air & seawater) modeling was performed for the flooding sinking simulation, by investigating the hull form, structural arrangement & weight distribution, and exterior inflow openings and interior flooding paths through its drawings, and by estimating the main tank capacities and their loading status. It was confirmed that the flooding and sinking accident was slightly different from a general capsize and sinking accident according to the simple loss of stability.

  • PDF

도시 소유역 배수펌프장 운영개선 방안 연구 (2) - 침수범람모의에 의한 침수방지 방안 비교 연구 (Operational Improvement of Small Urban Storm Water Pumping Station (2) - Comparative Study to Reduce the Flooding Problems using Flood Simulation Model)

  • 길경익;한종옥;김구현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10-115
    • /
    • 2006
  • Flooding situation of Sutak basin was simulated and simulation seemed to be consistent with the real flooding situation in terms of high water levels and timings of flooding. The flood simulation model was used to evaluate alternatives to mitigate flooding problems in Sutak basin. From the evaluation of flood mitigation plans, it was found that combined operation of Sutak and Inchang pumping stations through partial diversion of inflow of Sutak pumping station to Inchang pumping station was the most effective one among the suggested mitigation plans. About 500 meter diversion channel will be needed to send 30% of Sutak pumping station inflow to Inchang pumping station. This will reduce overload of Sutak pumping station and the storage capacity of Inchang pumping station will be more efficiently utilized.

센서 네트워크에 적용 가능한 수정된 Flooding 알고리즘 개발 (Design of Modified Flooding Algorithm Applicable to Sensor Network)

  • 김성호;김시환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32-38
    • /
    • 2007
  • 무선 Ad-Hoc 망은 기존의 인프라 스트럭쳐의 지원 없이 이동 단말들 간의 통신만으로 동작하는 네트워크로 기존 유선망과는 다른 형태의 통신 프로토콜이 요구된다. 이중 많은 통신 프로토콜에서 Flooding 알고리즘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Flooding 알고리즘은 패킷 전송 노트의 수에 따른 에너지 소비등과 같은 문제점을 갖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Flooding 알고리즘을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제안된 알고리즘이 기존 Flooding 알고리즘에 비해 성능을 크게 향상시킴을 보인다.

빗물침투저류블록의 설치 최적지 선정을 위한 침수범람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의 개발 (Development of Inundation Flooding Simulation Program for Selecting Optimum Installation Site for Rainwater Infiltration Detention Block)

  • 김성표;이태규;류정림;박선미;최희용;최형길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3년도 가을학술발표대회논문집
    • /
    • pp.129-130
    • /
    • 2023
  • This study proposes rainwater infiltration retention blocks as a solution to the flooding problems caused by recent climate change and developed a flood prediction simulation program to select the optimal site for installing rainwater infiltration retention blocks that can minimize damage from floods. By applying the existing 2D flood analysis model G2D and adding a reservoir function, the volume of water before and after installation can be determined through simulation results.

  • PDF

제501 오룡호 침몰사고 원인분석을 위한 침수·침몰 시뮬레이션 연구 (A Study on Flooding·Sinking Simulation for Cause Analysis of No. 501 Oryong Sinking Accident)

  • 이재석;정현섭;오재호;이상갑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451-466
    • /
    • 2017
  • 원양어선 제501 오룡호는 황천 중인 베링해에서 조업 후 피항하던 중 개구부를 통한 침수로 인하여 침몰하였으며 많은 선원들이 사망하고 실종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유체-구조 연성(Fluid-Structure Interaction, FSI) 해석기법의 고도 정밀 M&S(highly advanced Modeling & Simulation) 시스템을 사용하여 실선 침수 침몰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침몰사고의 과정을 정확하고 과학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베링해 침몰사고 시의 기상 및 해상상태를 객관적으로 확보하기 위하여 침몰사고 지역의 시간대별 기상 및 해상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침몰사고 당시 파랑과 강풍 등을 분석하고, 불규칙 파랑과 강풍 스펙트럼을 사용하여 구현하였다. 사고선박의 선체 도면 등을 통하여 선박의 선형, 배치 및 중량 분포와 외부 해수 침수 개구부 및 선내 침수 경로를 분석하고 주요 탱크들의 용적과 그들의 중량 분포를 추정하여 침수 침몰 시뮬레이션을 위한 시나리오를 작성하고, 사고선박의 전선과 유체(공기 및 해수)를 상세 모델링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침수 침몰사고는 단순한 복원성의 부족으로 인한 일반적인 전복 침몰사고와는 다소 차이가 있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DWDM기반의 차세대 광인터넷에서 QoS 기반의 제한적 플러딩 RWA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QoS-Aware Bounded Flooding RWA Algorithm in the Next Generation Optical Internet based on DWDM Networks)

  • 김용성;이재동;황진호;우종호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3권8호
    • /
    • pp.1-14
    • /
    • 2006
  • 실시간 멀티미디어 서비스들을 전송하는 DWDM(Dense-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기반의 차세대 인터넷에서는 DWDM 망의 다양한 QoS(Quality of Service) 파라미터들을 복합적으로 고려하는 QoS RWA(Routing and Wavelength Assignment) 방식으로의 접근이 요구되어진다. 본 논문은 flooding 방법을 기반으로 하고, 다중제약조건을 만족하는 새로운 QoS 라우팅 알고리즘인 Bounded Flooding Routing (BFR)을 제안한다. BFR 알고리즘의 주요 목적은 network overhead, blocking probability 그리고 wavelength utilization의 성능 분석 파라메터의 향상에 있다. 더욱이,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개념인 ripple count 개념을 제안하여, 링크 상태정보 및 계산량을 줄임으로써 라우팅의 성능을 높인다. 또한, 제안된 알고리즘의 광범위한 분석을 위해서, DWDM을 기반으로 하는 망에서 중요한 요소인 제한된 파장 변환기를 적용한다. 제안된 BFR 알고리즘의 성능분석 결과는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방법이 network overhead, blocking Probability 그리고 wavelength utilization 측면의 성능 평가를 통해 제안된 알고리즘들의 효율성을 검증하였다.

선박 침수사고를 대비한 비상용 배수시스템 용량추정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Estimation Process for the Capacity of Emergency Drainage System on a Ship after Flooding Accident)

  • 박병수;김성수;이순섭;강동훈;조현국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8권6호
    • /
    • pp.1739-1750
    • /
    • 2016
  • This paper proposed a process for estimating the required capacity of emergency drainage system on a ship when the ship encounters a flooding accident. The process was established by selecting target vessel, making a scenario of flooding accident, considering static behavior of flooding water and the effect of ship motion due to ocean condition. In order to obtain the object of the research, MATLAB codes were developed for analyzing of static behavior of flooding water. Additionally, Ansys AQWA-NAUT was used to analyze the motion of the ship under an ocean condition and then the effect of ship motion was considered when the static behavior of flooding water was studied. The research exploited a trawler as a target vessel, and estimate the necessary capacity of the trawler's emergency drainage system by simulating a flooding water in the vessel.

빗물침투저류블록 설치 최적지 선정을 위한 침수범람 시뮬레이션 기술 개발 (Development of Flooding and Overflow Simulation Technology for Rainwater Infiltration Storage Block Placement)

  • 김성표;류정림;김호진;최희용;이태규;최형길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27-238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최근 이상기후로 인해 양극화된 기후 패턴으로 인한 침수 피해가 증가하고 있으며, 그 해결책이 빗물 침투저류블록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또한, 기존 프로그램의 한계점으로 드론 기술과 결합된 새로운 기능이 필요함을 제안하며, 저류조 기능을 가진 빗물침투저류블록의 최적 설치 장소 선정을 목표로 하는 침수·범람 시뮬레이션 기술 개발에 대한 실험 및 평가를 진행한다. 실제 빗물침투저류블록이 실시공된 지역을 대상으로 평가를 진행하였으며, DEM과 DSM을 통한 기존 프로그램과의 비교, 침수·범람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의 실현장 적용성 검토의 2개 항목을 통해 평가를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침수·범람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의 실무에 적용함으로써 빗물침투저류블록의 설치 시 최적지 선정을 위한 의사결정 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위성강우와 글로벌 지형 자료를 이용한 미계측 지역 홍수터 침수모의 : 두만강 도문/남양 지역을 중심으로 (Inundation Analysis on the Flood Plain in Ungauged Area Using Satellite Rainfall and Global Geographic Data: In the case of Tumen/Namyang Area in Duman-gang(Riv.))

  • 최윤석;김주훈;김지성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51-64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위성강우와 글로벌 지형자료를 이용하여 미계측 지역에 있는 홍수터에서의 홍수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두만강의 도문/남양 지역 홍수터에 대한 범람을 모의하고 대상 지역의 침수 상황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강우는 위성영상으로부터 유도된 강우 자료인 IMERG 자료를 이용하였다. 유출모의는 GRM 모델을 적용하였으며, 도문/남양 지역의 범람해석은 G2D 모델을 이용하였다. 홍수사상은 2016년 8월 태풍 라이언록으로 인해 발생된 홍수를 대상으로 하였다. 유출모의 결과의 검증은 도문/남양 지역의 첨두유량 기록을 사용하였으며, 범람해석 결과의 검증은 현지답사를 통해 수집된 홍수상황과 홍수 전후의 위성영상 자료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유출모의 첨두유량은 7,639㎥/s로 기록된 첨두유량 7,630㎥/s와 약 0.1%의 상대오차를 나타내었다. 범람모의에서는 홍수발생 당시에 대한 상황 조사 자료 및 위성영상에서 확인된 침수 범위와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도문/남양 지역의 홍수터에서 침수심의 변화와 침수시간을 평가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방법과 연구결과는 향후 미계측 지역에서의 홍수를 정량적으로 평가할 때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POM의 하천 흐름 해석에의 적용 (Application of POM to the River Flow)

  • 천제호;안경모;윤종태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1-37
    • /
    • 2010
  • During typhoon periods, coastal regions are often directly flooded by typhoon-surges. There are also many cases where coastal regions are inundated by river inundations or dam breaks. However, most studies on coastal flooding by typhoons have been restricted to cases involving the sea. Flooding by river inundation has been excluded in those studies. Usually ocean numerical models are not applied to river flow because the governing equations for ocean flow and river flow are not the same. For a coastal flooding simulation with river inundation, POM, the three-dimensional numerical ocean model, was applied to the popular river flow problems, dam-break problem, and flows over a spillway. The simulated results showed good agreement with other numerical simulations and measured data, suggesting the possibility of using POM in coastal flooding simulations involving direct coastal surges and river inund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