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침수흔적도/침수분석지도

Search Result 9,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ccuracy Improvement for Building Inundation Trace Map using Accurate DEM Data and Flood Damage Information (정밀지형자료와 과거 침수피해정보를 활용한 침수흔적도 구축 정확도 개선)

  • Goo, Sin-Hoi;Kim, Seong-Sam;Park, Young-Jin;Choi, Jae-W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9 no.4
    • /
    • pp.91-99
    • /
    • 2011
  • With increasing astronomically damage costs caused by frequent and large-sized flood, a hazard map containing comprehensive analysis results such as inundation trace investigation, flood possibility analysis, and evacuation plan establishment for flooded regions is a fundamental measure of non-structural flood prevention. Though an inundation trace map containing flood investigation results occurred by typhoon, rainfall and tsunami is a basic hazard map having close relationship with a flood possibility map as well as a hazard information map, it is often impossible to be produced because of financial deficiency, time delay of investigation, and the lack of maintenance for flood trace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the accuracy enhancement procedure of inundation trace map with flood damage information and three-dimensional Digital Elevation Model (DEM) for the past frequent flooded regions according to a guideline for inundation trace map of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NEMA).

Analysis of inundation tracing using advanced image (첨단영상기반 침수흔적 분석)

  • Kim, Soo Hyun;Kim, Dong K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66-66
    • /
    • 2019
  • 침수흔적도는 풍수해로 인한 침수기록(침수심, 침수위, 침수시간 등)을 조사하여 표시한 도면으로 자연재해 경감 및 신속한 대피를 위하여 작성하도록 자연재해대책법에 따라 규정되어있다. 이러한 침수흔적도는 국가 방재에 따른 기초자료로 사용되지만 광범위한 지역을 신속 정확하게 조사하기에는 예산 부족 및 관리 미흡으로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18년 10월초 경북 영덕군에서 발생한 태풍 콩레이 침수피해사상을 대상으로 위성영상기반 침수판별지도를 작성하였고, 이를 실제자료와 비교하여 침수흔적도 작성 시 첨단영상의 활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위성영상으로는 ESA의 Sentinel-1과 PlanetLab사(社)의 PlanetScope를 활용하였고, 검증에 활용한 자료는 CCTV를 영상자료를 활용하여 정확성을 평가하였다. 침수심과 침수규모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한 지형자료는 10m DEM자료와 드론영상자료를 통해 구축한 DSM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위성영상을 활용한 침수판별지도는 실제 CCTV영상자료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드론영상을 통해 지형자료를 구축한 경우 DEM에 비해 정확도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위성영상자료의 해상도가 높을수록 실제자료와 유사하게 침수규모를 판별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첨단영상을 활용한 침수흔적도 작성은 기존조사보다 신속하고 광범위하게 자료를 수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A Study on the Use of Geospatial Information-Based Simulation for Preemptive Response to Water Disasters in Agricultural Land (농경지 수재해 선제적 대응을 위한 공간정보기반 시뮬레이션 활용 연구)

  • Jung, Jae Ho;Kim, Seung Hyun;Kim, Dae Jin;Yang, Seung Weon
    • Smart Media Journal
    • /
    • v.11 no.7
    • /
    • pp.52-60
    • /
    • 2022
  • Due to global warming and changes in the natural environment, flood damage to agricultural land due to wind and flood damage continues. Although disaster prevention projects have been continuously carried out since the founding of the country, progress has been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sustained period, and huge costs are still being consum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se predictive simulation for pre-emptive response to inundation of farmland. In this paper, a case of immersion analysis simulation using a GIS(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based SWMM model was introduced, and the validity was confirmed through the error rate between our simulation result and the results of other models in the US and Korea. In addition, in the direction of using the simulation for agricultural land inundation, we presented various utilization methods to supplement the current agricultural land inundation-based information policy, such as the creation of flood traces. If simulation results from more regions are accumulated in the form of the flood analysis maps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they will be able to be utilized in various applications for preemptive response to and prevention of water disasters at the national level.

A Study on the Watershed Analysis of the Expected Flood Inundation Area in South Han River (남한강 유역의 침수예상지역에 대한 홍수범람분석에 관한 연구)

  • HONG, Sung-Soo;JUNG, Da-Som;HWANG, Eui-Ho;CHAE, Hyo-Su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9 no.1
    • /
    • pp.106-119
    • /
    • 2016
  • Flood risk map, flood damage map, disaster information map, inundation trace map are involved with the cartographic analysis of flood inundation based on prevention, preparation, restoration, response from natural disasters such as flood, flooding, etc. In this study, the analysis for channel and basin characteristics Chungju dam to Paldang dam of South han river after four river project. Flood scenario is selected to take advantage of design flood level of schematic design for river. Flood inundation of one dimensional non-uniform flow by using HEC-RAS with basin characteristics is accomplished and two dimensional unsteady flow was interpreted by using FLUMEN. Frequency analysis is carried out about each abundance of South han river for 100 year period, 200 year period and 500 year period. Flooding disaster area of 100 year period on 0.5m damage functions is 2378.8ha, 200 year period on 0.5m damage functions is 3155.2ha, 500 year period on 0.5m damage functions is 3995.3ha respectively. It will be significant data for decision making to establish inundation trace map for providing basic plan for river maintenance, land use plan, flood protection plan, application plan and getting information of flood expectation area.

A Study on Construction and Application of Interpolation Technique Module for Damage Prediction from storm and flood use (풍수해 피해예상도 활용을 위한 보간기법 모듈 구축 및 적용에 대한 연구)

  • Lim, So Mang;Seo, Jung Ho;Yu, Wan Sik;Hwang, Eui 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374-374
    • /
    • 2019
  •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기상이변으로 인한 피해가 증가하여 이를 예방하기 위해 풍수해 피해 예측의 필요성이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관련 기관 및 지자체별로 각자 다른 필요성과 목적에 ?라 다양한 형태의 풍수해 관련 피해예상도가 작성되어 왔다. 풍수해 피해예상도 작성을 위해서는 시간적, 경제적 비용이 많이 소모되며, 일반적으로 정해진 빈도에 의해서만 작성되기 때문에 다양한 빈도의 작성은 불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빈도별 홍수량과 빈도별 피해예상도를 활용하여 피해예상도를 작성하기 위해 보간기법을 마련하여 적용하고자 한다. 풍수해 피해예상도는 과거의 침수흔적과 홍수범람해석을 통하여 침수가 예상되는 지역을 미리예측한 지도로 방재대책 수립 및 재해정보지도 작성을 위한 기본 자료로 활용하는데 목적이 있다. 데이터의 보간은 불연속적으로 주어진 데이터 점들을 이용하여 그 점들 사이의 값을 추정하는 방법의 한 종류로 활용하는 데이터에 따라 보간기법이 달라진다. 보간법은 선형보간, 라그랑제 다항식 보간, 네빌레의 반복 보간, 뉴튼 다항식에 의한 보간법 등이 존재한다. 각 보간법의 내용과 특성, 활용법을 분석 비교하여 피해예상도 보간기법 모듈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빈도별 홍수량과 빈도별 피해예상도를 활용하여 보간 기법을 적용하기 매우 제한적이며 여러 보법 중 특성을 파악했을 때 선형보간법이 가장 적합한 방법이라 판단된다. 또한, 선형보간을 위한 변수로 확률빈도보다는 홍수량 자료를 사용하는 것이 정확도를 더 향상시킬 수 있으며 침수흔적도와 DEM을 사용하여 침수용량을 파악하고 피해예상도를 선형보간하여 작성한다. 침수용량을 파악하여 선형보간하여 침수용량에 대한 임의의 홍수량을 산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피해예상도를 홍수량과 침수용량에 대한 관계를 정리하였으며 피해예상도를 선형보간하여 작성할 수 있다. 선형보간하여 작성된 피해예상도는 빈도별 강우와 실시간 지속 강우를 기반으로 해당 지역에 대한 침수 피해 예상에 활용 할 수 있다.

  • PDF

Metadata Design Based on Vector Type Geospatial Information Standard for the Collection and Management of Inundation Map (침수지도 수집 및 관리를 위한 벡터형 공간정보 표준 기반의 메타데이터 설계)

  • Sim, Gyu-Seo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7 no.5
    • /
    • pp.42-48
    • /
    • 2016
  • Inundation Maps are used to predict potential areas of flooding through the signs of past flooding and flood inundation analysis for flooding expected in the future, and this has led to the development of various forms of disaster-related services by governments. However, each institution has its own individual scenarios for making maps for spatial expression. Therefore, the type of spatial information is not standardized and has many forms and structures.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design the metadata that would allow Inundation Map information to be shared and used in various fields. The international standard, ISO 19115, and the domestic standards, KS X ISO 19115, TTAS.IS - 19115 and TTAS.KO - 10.0139/R1 of TTA, were used in the design to derive an appropriate standard for comparative analysis by dividing into maintenance, constraints, metadata, spatial reference system, identification, and distribution. It is expected that inundation maps will be easier to utilize and distribute among institutions and private companies by systematically collecting and managing them through the metadata design based vector space information standard developed in this study.

Development of a Raster-based Two-dimensional Flood Inundation Model (래스터 기반의 2차원 홍수범람 모형의 개발)

  • Lee, Gi-Ha;Lee, Seung-Soo;Jung, Kwan-Su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10 no.6
    • /
    • pp.155-163
    • /
    • 2010
  • The past researches on flood inundation simulation mainly focused on development of numerical models based on unstructured mesh networks to improve model performances. However, despite the accurate simulation results, such models are not suitable for real-time flood inundation forecasting due to a huge computational burden in terms of geographic data processing. In addition, even though various types of vector and raster data are available to be compatible with flood inundation models for post-processes such as flood hazard mapping and flood inundation risk analysis, the unstructured mesh-based models are not effective to fully use such information due to data incommensurabilit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raster-based two-dimensional inundation model; it guarantees computational efficiency because of direct application of DEM for flood inundation modeling and also has a good compatibility with various types of raster data, compared to a commercial model such as FLUMEN. We applied the model to simulate the BaekSan levee break in the Nam river during a flood period from August 10 to 13, 2002. The simulation results showed a good agreement with the field-surveyed inundation area and were also very similar with results from the FLUMEN. Moreover, the model provided physically-acceptable velocity vectors with respect to inundating and returning flows due to the difference of water level between channel and lowland.

An Automated OpenGIS-based Tool Development for Flood Inundation Mapping and its Applications in Jeju Hancheon (OpenGIS 기반 홍수범람지도 작성 자동화 툴 개발 및 제주 한천 적용 연구)

  • Kim, Kyungdong;Kim, Taeeun;Kim, Dongsu;Yang, Sungkee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9 no.6
    • /
    • pp.691-702
    • /
    • 2019
  • Flood inundation map has various important roles in terms of municipal planning, timely dam operation, economic levee design, and building flood forecasting systems. Considering that the riparian areas adjacent to national rivers with high potential flood vulnerability conventionally imposed special cares to justify applications of recently available two- or three-dimensional flood inundation numerical models on top of digital elevation models of dense spatial resolution such as LiDAR irrespective of their high costs. On the contrary, local streams usually could not have benefits from recent technological advances, instead they inevitably have relied upon time-consuming manual drawings or have accepted DEMs with poor resolutions or inaccurate 1D numerical models for producing inundation maps due mainly to limited budgets and suitable techniques. In order to efficiently and cost-effectively provide a series of flood inundation maps dedicatedly for the local streams, this study proposed an OpenGIS-based flood mapping tool named Open Flood Mapper (OFM). The spatial accuracy of flood inundation map derived from the OFM was validated throughout comparison with an inundation trace map acquired after typhoon Nari in Hancheon basin located in Jeju Island. Also, a series of inundation maps from the OFM were comprehensively investigated to track the burst of flood in the extreme flood events.

An Automated Flood Risk Mapping Algorithm using GIS-based Techniques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Jeju streams (제주하천 특성 고려 GIS 기반 홍수범람위험도 자동화 알로리즘)

  • Kim, Dongsu;Kim, Taeeun;Son, Geunsoo;You, Ho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634-634
    • /
    • 2015
  • 최근 국지성 호우와 잦은 태풍으로 인한 돌발홍수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도심지에서의 호안유실과 범람으로 많은 외수침수의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기후변화에 따른 강우량의 증가와 집중호우로 인한 홍수 피해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대하천 유역을 중심으로 홍수범람예측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대하천을 제외한 지방 중소하천의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방 중소하천 중 태풍과 집중호우의 영향이 많은 제주지역의 주요 하천 중의 하나인 한천 유역을 테스트베드로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한천은 강우 시에만 유출이 발생하는 건천으로, 집중호우 시 암반하상 조건, 복개, 교각 등으로 수위가 국부적으로 급격히 상승하는 경우가 있었다. 그리고 한천 하류부에는 도심이 위치하고 있어 돌발홍수 발생 시 막대한 피해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홍수 피해를 줄이기 위한 제도화, 정책결정 등의 구조적 해결방안과 홍수 피해의 규모와 원인을 분석하는 비구조적 해결방안에 대한 연구가 시급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홍수범람 등으로 인한 홍수 피해규모를 산정하여 각 정부부처 및 유관기관, 지자체에서 빠른 정책결정을 내릴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는 목적으로 제주도의 특성을 고려한 홍수범람위험도 산정 알고리즘을 개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 한천유역의 단면 자료와 빈도별 홍수량 자료를 이용하여 HEC-RAS 모형으로 수리학적 흐름특성 모의를 실사하였다. 모의된 결과를 바탕으로 ArcGIS 소프트웨어인 ESRI사의 ArcMap을 이용하여 빈도별 홍수위 자료와 제주지역 수치표고모형 자료를 활용한 빈도별 홍수범람지도를 산정하고, 좌안과 우안의 제방고로부터 위험도를 산정하여 홍수범람위험도를 각각 구축하였다. 구축된 결과를 이용하여 분석하고자하는 해당 빈도의 홍수위와 홍수량이 발생할 때의 피해지역을 예측하였으며, 예측된 지역과 제주시의 공시지가 자료를 중첩하여 피해지역에 대한 피해액을 산정하였다. 본 연구의 알고리즘을 적용한 2007년 태풍 '나리' 사상의 경우와 비교한 결과, '나리' 사상의 침수 흔적도와 유사한 홍수범람지도를 획득 할 수 있었으며, 모의된 유역의 하천 복개구간을 중심으로 홍수범람이 발생한다는 점과 우안보다 좌안에서의 홍수범람위험도와 피해액이 더 크게 나타난 점 등의 홍수범람 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기법을 이용할 경우, 홍수에 의한 취약지에 대한 제방 설계 강화, 하천의 보수 정비 등 정책적 결정에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실시간 자료제공, 재해정보시스템 등에 적용하여 홍수범람 피해를 줄일 수 있는 기반기술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