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Relevancy of Application of Land Suitability Assessment in Developed Urban Areas: the case of Seoul

도시지역 토지적성평가의 적정성에 관한 연구 - 서울시를 중심으로 -

  • 이세광 (서울시립대학교국제도시과학대학원, 서울시 감사위원회) ;
  • 박준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 Received : 2022.01.15
  • Accepted : 2022.04.26
  • Published : 2022.06.30

Abstract

The Land Suitability Assessment is mandatory by National Land Planning and Utilization Act and the results are considered in the establishment of urban master plan and urban management plan. The study aims to examine whether the application of Land Suitability Assessment in developed urban areas is appropriate. A simulation analysis based on the Seoul's data of environmental ecological, physic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was conducted on urban green, the only applicable land for the assessment in Seoul. The results of the assessment shows that all pieces of lands in urban green is suitable for 'development'. This conflicts to the purpose of land use of urban green which needs to be conserved to protect the natural environment and landscape, animals and plants, environmental pollution, and urban sprawl. In the analysis applying optional indicators such as the distance from the area of Biotope Class 1 to prevent this conflict, the results shows little difference. This supports the necessity to review this regulation including an option to exclude developed urban areas such as Seoul in the assessment.

이 연구의 목적은 토지적성평가를 기개발된 도시지역에 적용하는 것이 평가의 근본 목적에 부합하는지를 검토하여 제도 개선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서울시 환경 생태적·물리적·공간적 특성을 정리하여 입지현황, 수립현황 등의 내용적 특성을 검토한 후 선택지표를 적용한 토지적성평가 시뮬레이션 분석을 수행했다. 서울시 내 토지적성평가의 적용대상인 녹지지역에 대한 토지적성평가 시뮬레이션 분석 결과 모든 토지에서 개발성향 결과가 나왔다. 또한 도시지역에 적용할 경우 지역적합성이 반영되는 선택지표와 별도보전지역 지정에 따라 정성적 평가를 추가할 수 있는 장치가 있지만 이러한 선택지표 및 정성평가를 추가한 시뮬레이션 분석에서도 대부분의 녹지지역이 개발성향으로 분류되었다. 이는 서울시에서 도시계획적 차원에서 보전지역으로 관리하고 있는 녹지지역의 성격과 배치되는 결과이며, 그 이유는 전체 평가대상 토지의 적성값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표준정규분포곡선상의 표준화값으로 변환하는 방식의 토지적성평가에서 적성등급의 비율이 가지고 있는 구조 때문이다. 따라서 기개발된 도시지역은 토지적성평가 수립에서 제외하는 등 관련 규정의 재정비가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교통부, 2013, 「비시가화지역의 계획적 관리를 위한 토지적성평가 확대적용 연구」.
  2. 국토연구원, 2004, 「토지적성평가 제도의 개선방안연구」.
  3. 국토해양부, 2009, 「토지적성평가 제도의 실효성 제고방안에 관한 연구」.
  4. 김인현.오규식.양희범, 2009, "토지적성평가 지표의 개선 방안연구: 평가체계II 중심으로",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5. 김준현.김재형, 2011, 토지적성평가의 적법훼손지 개선을 위한 모자이크 처리기법의 정확성 평가, 한국지적정보학회지, 13(1), pp.117-128.
  6. 노경식, 2009, "수도권 성장관리를 위한 성장예측과 토지적 성평가제도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안양대학교, 석사논문.
  7. 박석철, 2017, "비도시지역의 지속가능한 토지이용관리를 위한 환경생태계획 적용 기법: 인천광역시 강화도를 사례로", 서울시립대학교 박사논문.
  8. 서울특별시, 2015, 2015 도시생태현황도 정비.
  9. 서울특별시, 2018, 도시계획 업무편람 제2권 도시관리계획 등 실무 이해.
  10. 여홍구.임종훈, 2004, 토지적성평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평가체계 II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39(2), pp.107-116.
  11. 이종용.이용범, 2004, 효율적인 토지적성평가를 위한 격자 평가단위 적용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39(7), pp.97-110.
  12. 이종용.이희연, 2005, 토지적성평가에 있어서 종합적성값 산정과 적성등급 부여방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대한지리학회지, 40(1), pp.27-46.
  13. 이화은, 2010, "토지적성평가 지표의 민감도 분석", 한밭대학교 석사논문.
  14. 정종철.이상길, 2005, 토지적성평가 체계의 개선방안 연구, 환경영향평가, 14(2), pp.75-81.
  15. 차용호, 2009, "수도권 관리지역 세분화를 위한 토지적성평가 운용에 관한 연구", 경원대학교 산업환경대학원, 석사논문.
  16. 채미옥.김정훈, 2003, 토지적성평가제도의 개선방안 연구.
  17. 채미옥.송하승.박미영.이난경, 2006, 토지적성평가의 적정성 제고를 위한 평가체계 II의 개선방안 연구, 국토계획, 41(7), pp.21-36.
  18. 채미옥.오용준, 2003, 토지적성평가의 지표추출 및 지표별 가중치 분석방법 고찰, 대한지리학회지, 38(5), pp. 725-740.
  19. 채미옥.오용준, 2004, 국토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토지적성 평가 기법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39(1), pp.45-58.
  20. 한국토지주택공사, 2019, 「토지적성평가 제도개선 연구용역」.
  21. Sukopp, H. and Weiler, S., 1988. Biotope mapping and nature conservation strategies in urban areas of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15(1-2), pp.39-58. https://doi.org/10.1016/0169-2046(88)90015-1
  22. http://data.seoul.go.kr/(서울 열린데이터 광장)
  23. https://kosis.kr/index/index.do(국가통계포털)
  24. http://upis.go.kr/upispweb/(도시계획정보서비스)
  25. http://www.nsdi.go.kr/lxportal/?menuno=2679(국가공간정보포털)
  26. https://www.seoul.go.kr/main/index.jsp(서울시청)
  27. https://www.law.go.kr/LSW/main.html(국가법령정보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