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22669/krsa.2022.38.2.043

A Study on the Relevancy of Application of Land Suitability Assessment in Developed Urban Areas: the case of Seoul  

Lee, Sekwang (서울시립대학교국제도시과학대학원, 서울시 감사위원회)
Park, joon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 v.38, no.2, 2022 , pp. 43-57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Land Suitability Assessment is mandatory by National Land Planning and Utilization Act and the results are considered in the establishment of urban master plan and urban management plan. The study aims to examine whether the application of Land Suitability Assessment in developed urban areas is appropriate. A simulation analysis based on the Seoul's data of environmental ecological, physic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was conducted on urban green, the only applicable land for the assessment in Seoul. The results of the assessment shows that all pieces of lands in urban green is suitable for 'development'. This conflicts to the purpose of land use of urban green which needs to be conserved to protect the natural environment and landscape, animals and plants, environmental pollution, and urban sprawl. In the analysis applying optional indicators such as the distance from the area of Biotope Class 1 to prevent this conflict, the results shows little difference. This supports the necessity to review this regulation including an option to exclude developed urban areas such as Seoul in the assessment.
Keywords
Land Suitability Assessment; Evaluation indicators; Optional indicators; Urban master plan;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정종철.이상길, 2005, 토지적성평가 체계의 개선방안 연구, 환경영향평가, 14(2), pp.75-81.
2 차용호, 2009, "수도권 관리지역 세분화를 위한 토지적성평가 운용에 관한 연구", 경원대학교 산업환경대학원, 석사논문.
3 채미옥.김정훈, 2003, 토지적성평가제도의 개선방안 연구.
4 국토교통부, 2013, 「비시가화지역의 계획적 관리를 위한 토지적성평가 확대적용 연구」.
5 국토연구원, 2004, 「토지적성평가 제도의 개선방안연구」.
6 국토해양부, 2009, 「토지적성평가 제도의 실효성 제고방안에 관한 연구」.
7 김인현.오규식.양희범, 2009, "토지적성평가 지표의 개선 방안연구: 평가체계II 중심으로",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8 김준현.김재형, 2011, 토지적성평가의 적법훼손지 개선을 위한 모자이크 처리기법의 정확성 평가, 한국지적정보학회지, 13(1), pp.117-128.
9 노경식, 2009, "수도권 성장관리를 위한 성장예측과 토지적 성평가제도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안양대학교, 석사논문.
10 박석철, 2017, "비도시지역의 지속가능한 토지이용관리를 위한 환경생태계획 적용 기법: 인천광역시 강화도를 사례로", 서울시립대학교 박사논문.
11 서울특별시, 2015, 2015 도시생태현황도 정비.
12 여홍구.임종훈, 2004, 토지적성평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평가체계 II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39(2), pp.107-116.
13 이종용.이용범, 2004, 효율적인 토지적성평가를 위한 격자 평가단위 적용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39(7), pp.97-110.
14 이화은, 2010, "토지적성평가 지표의 민감도 분석", 한밭대학교 석사논문.
15 서울특별시, 2018, 도시계획 업무편람 제2권 도시관리계획 등 실무 이해.
16 한국토지주택공사, 2019, 「토지적성평가 제도개선 연구용역」.
17 이종용.이희연, 2005, 토지적성평가에 있어서 종합적성값 산정과 적성등급 부여방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대한지리학회지, 40(1), pp.27-46.
18 채미옥.오용준, 2003, 토지적성평가의 지표추출 및 지표별 가중치 분석방법 고찰, 대한지리학회지, 38(5), pp. 725-740.
19 채미옥.오용준, 2004, 국토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토지적성 평가 기법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39(1), pp.45-58.
20 채미옥.송하승.박미영.이난경, 2006, 토지적성평가의 적정성 제고를 위한 평가체계 II의 개선방안 연구, 국토계획, 41(7), pp.21-36.
21 https://www.seoul.go.kr/main/index.jsp(서울시청)
22 Sukopp, H. and Weiler, S., 1988. Biotope mapping and nature conservation strategies in urban areas of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15(1-2), pp.39-58.   DOI
23 http://data.seoul.go.kr/(서울 열린데이터 광장)
24 https://kosis.kr/index/index.do(국가통계포털)
25 http://upis.go.kr/upispweb/(도시계획정보서비스)
26 http://www.nsdi.go.kr/lxportal/?menuno=2679(국가공간정보포털)
27 https://www.law.go.kr/LSW/main.html(국가법령정보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