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방임 및 보호 아동·청소년 원가정 회복지원 시범사업의 현황과 과제

Recovery Support Service for Neglected Children and Their Families of Origin: Status and Suggestions

  • 정지영 (여주대학교 사회복지상담학과) ;
  • 안진경 (광운대학교 교육대학원 평생다문화교육전공) ;
  • 김은혜 (수원대학교 아동가족복지학과)
  • Jeong, Jeeyoung (Dept. of Social Welfare and Counseling, Yeojoo Institute of Technology) ;
  • Anh, Jinkyung (Lifelong-multicultural Education Course, Kwangwoon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
  • Kim, Eunhye (Dept. of Child Family Welfare, Suwon University)
  • 투고 : 2021.06.15
  • 심사 : 2021.08.06
  • 발행 : 2021.08.31

초록

정부의 아동학대 대응체계가 전면 개편되고 있으나 최근에도 아동·청소년 대상의 학대와 방임은 계속 증가하고 있다. 학대 행위자의 75%가 부모라는 점은 재발 위험이 높을 가능성을 나타내며, 따라서 가해 부모에 대한 교육과 치료를 통한 가족 관계 및 양육환경의 개선 및 가족기능회복이 시급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방임 및 보호 아동·청소년과 부모의 지속적인 관계 개선을 통해 원가정의 건강성 회복을 도모하는 시범사업의 현황 및 실태 분석을 통해 지역사회 기반의 원가정 기능회복지원 사업의 확대 및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이루어졌다. 시범사업은 2020년 6월부터 11월까지 진행되었으며, 지역에 따라 코로나-19의 확산 및 사업운영 인력의 개인역량, 타 가족사업과의 협력, 지역 자원 활용 정도 등에 따라 서비스 제공 정도에 차이가 있었다. 그럼에도 원가정 회복지원 서비스 제공과정이 보다 체계화 되었고, 학대 재발 방지를 위한 지역사회 네트워크 기반이 형성되었다. 이에 원가정 회복지원 사업이 보다 확대되기 위해서 첫째, 기존 아동 학대 보호 기관과의 서비스 제공을 위한 범정부적 협업 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하며, 둘째, 원가정 대상자 발굴을 위한 지역별 사례 발굴 경로가 다양하게 구축되어야 한다. 셋째, 시범사업 운영기관의 노하우를 타 지역 센터와 공유함으로써 동반성장 체계를 마련하여 안정적인 사업운영 체제가 조성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지역 내 기존 보호 아동 기관과의 서비스 중복을 피하기 위해 예방이나 재발 방지 차원에서 '원가정 보호' 및 모니터링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토대로 지역별 특색을 살리며 서비스 표준화를 모색할 수 있는 운영지침과 성과평가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Child abuse and neglect are recently increasing in Korea, and although the government has actively improved the child protection system, the number of abused children and the rate of cases judged as abuse have continuously risen. Given that 75% of child abusers are parents, child abuse and neglect are expected to recur. To prevent such a recurrence, various intervention programs for abused children and their parents are requi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design a recovery support service process and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pilot program for families of origin, including neglected(protected) children, to improve the system by which these programs are operated, and formulate policy alternatives that reinforce "family preservation" principles. The pilot program was implemented from June to November 2020 in 4-local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The number of program participants and the frequency of participation in each other differed, because of the difference in number of confirmed coronavirus cases in each region and the requirement for social distancing. Through the program, a community-based service process was developed for neglected(protected) children and their parents, and cooperative networks between related facilities and institutions were established. The study formulated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First, a cooperation system among government departments mandated to provide different services to neglected(protected) children is needed. Second, wider and various channels through which abused children can avail of protective services should be developed within communities. Third, more stable environments for program operation should be cultivated, and cooperative partnerships should be sought for knowledge sharing among relevant government departments. Another necessary measure is for a center to develop its own business model, in which the duplication of services provided by involved organizations is avoided. Finally, clear guidelines, administrative standards, and specific plans for program operation should be arranged. Also regional characteristics are maintained, but services should be standardized.

키워드

참고문헌

  1. 고려대학교 부설 행동과학연구소(2000). 심리척도 핸드북1. 서울: 학지사.
  2. 김애경(2002). 지각된 부모 양육 태도 및 사회적 지원과 초기 청소년의 우울 및 외현적 문제와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16(3), 31-50.
  3. 김주현(2012). 보호 아동의 친가정 복귀 과정에서의 친부모의 경험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64(1), 273-297. https://doi.org/10.20970/KASW.2012.64.1.012
  4. 김진숙.강형주(2016). 일반가정위탁아동의 가정복귀 경험 과정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10 (2), 249-272. https://doi.org/10.22867/KAQSW.2016.10.2.249
  5. 남순현.임소영(2006). 부모의 언어 학대와 양육 태도가 청소년기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5(4), 953-967.
  6. 박미석.김지은(2013). 저소득 가정의 부모자원 및 양육스트레스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1), 179-198.
  7. 배미란(2017). 아동의 권리와 아동학대의 예방 : 주로 친부모에 의한 아동학대와 관련하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학술대회, 2017(11), 289.
  8. 보건복지부(2020a). 2019 아동학대 주요통계. 보건복지부 아동학대대응과.
  9. 보건복지부(2020b). 학대 피해 아동보호 현황. 통계정보보고서.
  10. 보건복지부(2020.01.16). 가정복귀 한 학대 피해아동의 안전을 확인한다. http://www.mohw.go.kr/rea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352396에서 2021.03. 인출
  11. 안지영(2001). 2-3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신념, 효능감 및 스트레스가 양육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2. 유성경.박승리.황매향(2010). 한국 초.중.고등학생용 부모 애착 척도의 타당화 연구. 초등상담연구, 9(1), 21-39.
  13. 윤혜미(2017). 우리나라의 보호 대상 아동 보호조치 정책에 대한 UN 대안 양육지침 준수 여부 점검. 한국아동복지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집 '가정 외 보호와 새 정부 아동복지 정책 방향', 9-47.
  14. 이현숙(2005). 위탁가정의 가족 기능이 아동의 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5. 장윤영.노혜련(2012). 일반위탁 아동보호 과정에서 친부모 경험 연구: 아동의 위탁 보호를 자발적으로 요청한 친부모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43(4), 309-341.
  16. 정선욱(2002). 시설보호 청소년의 원가족 관계 경험이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복지학, 14, 145-168.
  17. 정영순(2000). 시설보호 아동의 가족 재결합 촉구방안. 한국아동복지학, 9, 247-262.
  18. 정익중(2009). 가정위탁 내 친가정 복귀의 현황과 과제, 제3회 가정위탁정책세미나 자료집: 가정위탁보호제도의 과제와 발전방안. 보건복지부.
  19. 정지영.박정윤.고선강.이희윤(2015). 위기가족지원 서비스 운영 실태에 관한 연구-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가족역량강화사업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9(3), 101-119.
  20. 정지영.박정윤.장진이(2015). 가족 사례관리 모델 개발 연구 연구보고서. 한국건강가정진흥원.
  21. 정지영.안진경.김은혜(2020). 방임(보호) 아동.청소년원가정 회복지원사업 매뉴얼 개발 연구. 한국건강가정진흥원.
  22. 조선일보(2021.01.31). 학대 아동 84% 다시 집으로...아동 학대 통계의 경고. http://m.weekly.chosun.com/client/news/viw.asp?ctcd=C02&nNewsNumb=002644100008에서 2021.03. 인출
  23. 중앙가정위탁지원센터(2019). 가정위탁 보호 현황보고서. 중앙가정위탁지원센터.
  24.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2006). 아동방임 개입 설명서. 보건복지부.
  25. 허남순(1993). 아동학대의 실태 및 대책. 한국아동복지학, 1, 23-45.
  26. 허남순(2003). 효과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한 가정위탁지원센터의 기능과 역할. 가정위탁지원센터 개소 1주년 기념 학술세미나 자료집. 한국복지재단.
  27. 허남순.오정수.홍순혜.김혜란.박은미.정익중(2005). 빈곤 아동과 삶의 질. 서울: 학지사.
  28. August, G. J., Realmuto, G, M., Joyce, T. & Hektner, J. M.(1999). Persistence and desistance of oppositional defiant disorder in a community sample of children with ADHD.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38(10), 1262-1270. https://doi.org/10.1097/00004583-199910000-00015
  29. Belsky, J. & Vondra, J.(1989). Lessons from child abuse: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In D. Cicchetti & V. Carlson(Eds.), Child maltreatment: Theory and research on the causes and consequences of child abuse and neglect.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3-202.
  30. Children's Bureau(2003). Child welfare outcomes 2003: Annual report. U. 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http://www.acf.hhs.gov/archive/cb/resource/cwo-에서 2021.03. 인출
  31. Children's Bureau(2019). Child welfare outcomes 2012-2016: Report to congress. U. S. Departmen 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http://www.acf.hhs.gov/cb/resource/cwo-2016에서 2021.03. 인출
  32. Courtney, M. E.(1994). Factors associated with the reunification of foster children with their families. Social service review, 68(1), 81-108. https://doi.org/10.1086/604034
  33. Crittenden, P. M.(1984). Sibling interaction: Evidence of a generational effect in maltreating infants. Child abuse & neglect, 8(4), 433-438. https://doi.org/10.1016/0145-2134(84)90024-3
  34. Dwairy, M. A.(2008). Parental inconsistency versus parental authoritarianism: Associations with symptoms of psychological disorders.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37(5), 616-626. https://doi.org/10.1007/s10964-007-9169-3
  35. Jones, L.(1998). The social and family correlates of successful reunification of children in foster care.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20(4), 305-323. https://doi.org/10.1016/S0190-7409(98)00009-7
  36. Lawrence, C. R. & Carlson, E. A.(2006). The impact of foster care on development.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18(1), 57-76. https://doi.org/10.1017/S0954579406060044
  37. McCartney, K., Dearing, E., Taylor, B. A. & Bub, K. L.(2007). Quality child care supports the achievement of low-income children: Direct and indirect pathways through caregiving and the home environment.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28, 411-426. https://doi.org/10.1016/j.appdev.2007.06.010
  38. Miller, K. A., P. A. Fisher, B. Fetrow & K. Jordan(2006). Trouble on the Journey home: Reunificati on failures in forster care.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28(3), 260-274. https://doi.org/10.1016/j.childyouth.2005.03.010
  39. World Health Organization(1999). Report of the consultation on child abuse prevention. 29-31 March 1999. WHO, Geneva(No. WHO/HSC/PVI/99.1). World Health Organization.
  40. Wulczyn, F.(2004). Family reunification. The future of children, 14(1), 94-113. https://doi.org/10.2307/1602756
  41. Yampolskaya, S., Armstrong, M. I. & King-Mille r, T.(2011). Contextual and individual-level predictors of abused children's reentry into out-of-home care: A multilevel mixture survival analysis. Child Abuse & Neglect, 35(9), 670-679. https://doi.org/10.1016/j.chiabu.2011.05.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