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지역기반 아동돌봄공동체 활동의 저해 및 활성화 요인 탐색 -전북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Exploring Factors That Inhibit and Activate Community-Based Child Care Community Activities -Focusing on Jeonbuk Area Cases-

  • 투고 : 2021.06.11
  • 심사 : 2021.08.02
  • 발행 : 2021.08.31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 대상의 지역기반 아동돌봄공동체 운영·이용 활동의 저해 및 활성화 요인을 파악하여 지역기반의 아동돌봄공동체를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전북지역 아동돌봄공동체 운영자와 돌봄공동체 이용자 대상 심층면접조사를 실시하였고 질적연구방법을 통해 세부주제, 하위범위와 상위범위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지역기반의 아동돌봄공동체 운영·이용 활동의 저해요인 상위범주로는 돌봄공동체의 기본적인 기반 환경 취약과 돌봄공동체의 동력 부족이 도출되었다. 반면, 지역기반 아동돌봄공동체 활동의 활성화 요인 상위범주로는 돌봄공동체 기반 환경 안정화와 돌봄공동체 내부 역량 강화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최근 코로나19의 장기화에 따른 아동돌봄 공백의 대안책으로 대두되고 있는 지역기반의 아동돌봄공동체의 안전 정착 및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로써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ways to revitalize the community-based child care community by identifying the factors that are hindering and activating the operation and use of this community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this end, an in-depth interview survey was conducted of operators of child care communities in Jeollabuk-do and users of caring communities. Detailed themes, sub-ranges and upper ranges were determined through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determined that the basic environmental weakness of the caring community and its lack of power are the things hindering the operation and use of rhe communities the most. On the other hand, the main activation factors for community-based child care community activities were the stabilization of the environment and the strengthening of the internal capacity of the care community. This study is meaningful as basic data for the safe establishment and activation of a community-based child care community, which is emerging as an alternative to the child care gap due to the prolonged effects of COVID-19.

키워드

참고문헌

  1. 경기도(2020.12.24). 2021년 경기도형 아동돌봄공동체 조성사업 공모지침. http s://www.gg.go.kr/bbs/boardView.do?bsIdx=469&bIdx=15533657&menuId=1547에서 2021.03. 인출
  2. 고승희.성태규.최웅선.박춘섭.김진영.김용현.전지훈.이홍택.장창석.홍은일.신혜지.임다정.목소리(2019). 지역공동체를 활용한 충남형 돌봄체계 구축. 충남연구원.
  3. 권지성.정익중(2014). 가정위탁지원센터 실무자들의 실천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한국가족복지학, 43, 5-36.
  4. 김미란(2008). '육아공동체'에서 부모참여의 가능성과 한계: 가족에 의한 공동체의 형성과 경계들. 교육사회학연구, 18(3), 19-60. DOI : 10.32465/ksocio.2008.18.3.002.
  5. 김미정.백선정.남승연(2018). 마을 중심 보육.돌봄체계 운영에 관한 기초연구.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6. 김수연(2019). 경상북도 마을기반 방과후 돌봄서비스 효율성 제고 방안. 경북여성정책개발원.
  7. 김영천.정상원.조재성(2019). 질적연구 아틀라스: 열다섯가지 성공전략. 서울 : (주)아카데미프레스.
  8. 김유현(2021). 마을교육공동체 활성화 방안-전남 순천지역 학교시설 활용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김은정(2015). 사회적 돌봄체계 구축에서 공동체적 접근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연구, 46(2), 153-176.
  10. 김은정.장수정.정영모.오신휘(2019). 초등아동 대상의 공적 돌봄 서비스 공급 체계 분석과 정책 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1. 김위정.김성식.이은정(2016). 자유학기제와 마을교육 공동체 연계방안. 경기도교육연구원.
  12. 김인지.이세인.이숙현(2010). 취학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세대 간 양가감정에 관한 질적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8(5), 73-85. https://doi.org/10.6115/khea.2010.48.5.073
  13. 박윤혜.백일순(2021). 돌봄의 위기와 대안으로의 커먼즈. 협동조합형 아파트 공동체 위스테이 별내를 사례로. 공간과사회, 31(1), 208-245.
  14. 보건복지부(2021). 다함께 돌봄 사업안내 https://dadol.or.kr/biz/biz_intro에서 2021.05. 인출
  15. 손문금(2012). 서울시 돌봄사업 확대와 서울시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역할: 돌봄공동체 만들기 사업을 중심으로. 서울시여성가족재단.
  16. 송혜림(2016). 주부의 취업유무에 따른 출산태도와 돌봄지원정책 요구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0(3), 67-93.
  17. 여성가족부(2011). 가족품앗이 및 공동육아나눔터 성과발굴 및 운영모델개발 연구. 여성가족부.
  18. 여성가족부(2020). 2021년 돌봄공동체 지원사업 추진계획. 여성가족부.
  19. 여성가족부(2021). 2021년 가족사업안내(II). 여성가족부.
  20. 연합뉴스(2020.09.15). 코로나19 장기화로 자녀 돌봄 공백...맞벌이 부부 절반 퇴사 고려. https://www.yna.co.kr/view/AKR20200915057200063에서 2021.05. 인출
  21. 오범호(2009). 초등학교 방과후돌봄교실 정책효과분석. 교육과학기술부.
  22. 우민정.주봉관(2011).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이 품앗이육아공동체 참여과정에서 겪는 긍정적 경험과 어려움.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5(3), 147-168.
  23. 우삼제(2011). 방과후학교 돌봄교실 운영의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유해미.김문정(2013). 협동조합형 공동육아 현황 및 활성화 방안. 육아정책포럼, 37, 20-31.
  25. 이미영(2017). 광주지역 아동돌봄공동체 사례분석을 통한 활성화 방안 연구. 광주여성재단.
  26. 이아람(2015). 품앗이 육아에서 어머니들이 겪는 어려움과 극복과정.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 이연화(2017). 제주지역 아동돌봄 실태 및 지원방안 연구. 제주여성가족연구원.
  28. 이정빈(2018). 질적 연구방법과 상담심리학. 서울 : 학지사.
  29. 이종근(2021). 초등돌봄 운영실태 및 내실화 방안-대구광역시 도심지역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 익산시(2021). 우리마을 돌봄공동체 운영 가이드라인. https://www.iksan.go.kr/budget/board/view.iksan?boardId=BBS_BUDG_PUBL&menuCd=DOM_000000904001000000&startPage=1&dataSid=740417에서 2021.05. 인출
  31. 임혜정(2017). 패널순서형로짓모형을 이용한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방과후 돌봄 공백 영향 요인분석. 보건사회연구, 37(4), 510-534. DOI : 10.15709/hswr.2017.37.4.510.
  32. 장수정.송다영.백경흔(2019). 초등돌봄 정책에 대한 비판적 분석: 공동육아 방과후 참여자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비판사회정책, (62), 251-287. DOI : 10.47042/ACSW.2019.02.62.251.
  33. 전라북도교육청(2020.01.30). 교육자치와 일반자치가 함께 만들어가는 2020 마을교육생태계 활성화 기본계획(안). https://www.jbe.go.kr/board/view.jbe?menuCd=DOM_000000105001001000&boardId=BBS_0000205&dataSid= 356215에서 2021.03. 인출
  34. 전라남도교육청(2021.04.28). 2021 전남마을교육공동체 운영 기본계획(안). https://www.jne.go.kr/viledu/na/ntt/selectNttInfo.do?mi=734&nttSn=5017120에서 2021.05. 인출
  35. 전지훈(2020). 지역공동체 기반 돌봄활동의 요인구성과 정책방향: 노인과 아동의 돌봄공동체 사례를 중심으로. 도시연구, (18), 297-339. https://doi.org/10.34165/URBANR.2020..18.297
  36. 정영모(2019). 초등돌봄서비스의 현황과 개선방안. 월간복지동향, (252), 13-18.
  37. 정영태(2019). 대구지역 온종일 돌봄체계 구축방안 연구. 대구여성가족재단.
  38. 제주가족친화지원센터(2021.04). 수눌움공동체 사업안내. https://jffsc.kr:12443/pages.php?p=3_1_1_1에서 2021.05. 인출
  39. 조윤정.이병곤.김경미.목정연(2016). 마을교육공동체 실천사례 연구(시흥과 의정부를 중심으로). 경기도교육연구원.
  40. 진미정(2018.10.08). 가족과 공동체 돌봄의 의미에 대해서 https://www.kunews.ac.kr/news/articleView.html?idxno=25315에서 2021.03. 인출
  41. 차성란(2010).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육아품앗이 사업 실천 사례.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7(6), 189-201.
  42. 차성란(2014). 가족돌봄기능과 관련된 세대갈등 가능성에 대한 고찰.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8(4), 111-133.
  43. 차성란(2018). 제주 지역 공동육아나눔터 운영 실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2(2), 1-24.
  44. 한국교육개발원(2020). 2021 방과후학교 운영 길라잡이. 한국교육개발원.
  45. 한국여성정책연구원(2019). 주민주도형 돌봄공동체 우수 사례 워크숍. 여성가족부, 한국여성정책연구원.
  46. 한국은행(2018.03.18). 주요국의 여성 경제활동 참여 증가 배경 및 시사점. 한국은행 국제경제리뷰 2018-5호. https://www.bok.or.kr/portal/bbs/P0000528/view.do?nttId=236370&menuNo=200431에서 2021.05. 인출
  47. 홍세영(2011).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가 인식하는 노동 돌봄의 의미와 특성. 노인복지연구, 51.
  48. 홍순구.한세억.이현미(2014). 지역 공동체 문제해결을 위한 Co-creation 접근.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17(1), 1-24.
  49. Daly, M.(2002). Care as a Good for Social Policy. Journal of Social Policy, 31(2), 251-270. https://doi.org/10.1017/S0047279401006572
  50. McMillan, D. & Chavis, D.(1986). Sense of Community: A Definition and Theory.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14, 6-23. https://doi.org/10.1002/1520-6629(198601)14:1<6::AID-JCOP2290140103>3.0.CO;2-I
  51. Sipila, J. & Kroger, T.(2004). European families stretched between the demands of work and care. Editorial introduction. Social Policy & Administration, 38(6), 557-564. https://doi.org/10.1111/j.1467-9515.2004.00407.x
  52. Spencer, L. M. & Spencer, S. M.(1993). Competence at Work: Models for Superior Performance. Canada : John Wiley & Sons,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