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아버지의 미취학자녀 돌봄시간 변화 추이 분석(2004-2019)

Trend in Paternal Childcare Time for Preschool Children in Korea from 2004 to 2019

  • 이정은 (을지대학교 유아교육학과) ;
  • 서지원 (방송통신대학교 생활과학부)
  • Lee, Jung-eun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Eulji University) ;
  • Seo, Jiwon (Dept. Division of Human Ecology,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 투고 : 2021.06.15
  • 심사 : 2021.08.17
  • 발행 : 2021.08.31

초록

본 연구는 맞벌이와 외벌이 아버지의 미취학자녀 돌봄시간의 변화를 파악하고 아버지의 자녀돌봄 활동의 특성 변화를 규명하기 위하여 돌봄의 하위활동영역을 각각 필수돌봄, 발달돌봄, 기타돌봄으로 분류하였다. 이를 위해 통계청 생활시간조사자료 중 2004, 2009, 2014, 2019년의 4개 연도 15년간의 자료를 사용하여 평일(근무일)의 아버지 자녀돌봄시간과 참여율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가 미취학자녀를 돌보는 시간은 증가 추이를 나타냈다. 특히, 맞벌이 아버지는 2004년과 비교하여 2019년에 자녀돌봄시간이 24분 증가하여 15년 동안 2배 가량의 증가를 보였다. 둘째, 아버지의 돌봄유형을 분석한 결과, 2004년에는 생존과 직결되지 않고 간헐적 참여가 가능한 발달돌봄 참여율이 자녀의 생존과 건강유지를 위한 필수돌봄에 참여율보다 적었으나, 2019년에는 외벌이 아버지는 필수돌봄과 발달돌봄 참여율이 유사하였고, 맞벌이 아버지는 필수돌봄 참여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아버지의 자녀돌봄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에는 아버지의 연령, 교육수준, 성평등의식, 시장노동시간, 출퇴근시간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특히, 시장노동시간은 모든 조사시기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였으며, 성평등의식은 외벌이 아버지 집단에서 최근까지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맞벌이 아버지와 외벌이 아버지 모두 자녀돌봄시간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특히 발달돌봄뿐아니라 필수돌봄에 사용하는 시간이 늘어났다는 점에서 부모의 공동양육 책임이 실현되는 방향으로의 긍정적 변화를 시사한다. 또한, 이는 지난 15년간의 아버지 자녀돌봄 행태의 변화에 대한 이해를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으며, 향후 가족친화 정책의 구체적 과제를 제안하고 지역사회 등에서 아버지 대상 자녀돌봄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근거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Recently, the importance of the fathers role in the care of young children has been emphasized in Korea for the balance of childcare responsibilities between mothers and father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trends in paternal childcare in Korea over the last 15 years. Childcare is divided into primary and developmental care and fathers's Childcare time and participation rates are inverstigated for dual- and single-income households. Data are collected from the four waves of the five-yearly Statistics of Korea Life Time Surveys between 2004(t1) and 2019(t4) including the workday time diaries of fathers with preschool children(n1=2,264, n2=1,242, n3=959, n4=952). Three major results are identified. First, paternal childcare time and participation rates have increased with dual-income fathers spending 24 more minutes a day with their young child(ren) in 2019 than in 2004, which is nearly double. Second, in the analysis of fathers' childcare time use and participation rates comparing primary and developmental care, primary care is found to have increased more than developmental care, especially among dual income fathers: this further exhibits a reversed relation between primary and developmental care over time. Third, the determinants of paternal childcare time are fathers' age, market labor time, commuting tim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nd education. In particular, market labor time was significant in all four waves, whil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is only significant for single-income fathers. Based on these results, a specific agenda is provided for family-friendly policies to improve the balance of childcare roles between fathers and mothers, especially encouraging increased(significant and sufficient) participation of fathers in primary care activitie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봉국.강헌구(2013). 파더십, 북클라우드.
  2. 강학중.유계숙(2005). 맞벌이 부부의 가사 및 자녀양육 분담에 관한 연구: 억제 및 촉진 요인을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17(3), 187-219.
  3. 권인수(2013). 아동간호학에서의 아버지 자녀양육에 대한 연구 경향과 전망. 아동간호학회, 19(2), 69-75.
  4. 김나영(2017). 맞벌이 부부의 자녀돌봄시간 결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 노동정책연구, 17(4), 31-54. https://doi.org/10.22914/JLP.2017.17.4.002
  5. 김나현.이은주.곽수영.박미라(2013). 어린 아동을 둔 취업모의 양육부담감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9(3), 188-200. https://doi.org/10.4069/kjwhn.2013.19.3.188
  6. 김상림.박창현(2016). 아버지 양육참여와 사회적 지지가 영아기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 심리 특성의 매개효과.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7(3), 451-464. https://doi.org/10.7856/kjcls.2016.27.3.451
  7. 김상희.김지신.박응임.이사라.한세영.이주연.박선영.박민선.송승민(2018). 영유아발달, 파워북.
  8. 김소영.진미정(2016). 영.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아버지 되어가기'.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2(3), 129-158.
  9. 김순구(2002). 양육행동 개념 분석. 아동간호학회지, 8(4), 414-421.
  10. 김영두.이대균(2011). 초보 아버지들의 양육특성과 아버지됨의 변화과정.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2(1), 353-380.
  11. 김은수(2019). 부모공동양육과 유아 리더십 간의 관계에서 아버지 역할 신념의 매개효과.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김은화(2011). 아버지와 영유아의 주말 놀이 공유 실태. 한국유아체육학회지, 12(2), 73-87.
  13. 김주경.윤지웅.이중근(2012). 우리나라 기능직공무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요인 및 영향 분석. 사회과학연구, 38(1), 71-98. https://doi.org/10.15820/KHJSS.2012.38.1.004
  14. 김진욱.권진(2017). 한국 기혼남성의 무급노동 시간에 대한 연구: 생활시간조사 1999-2014년 데이터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55, 181-215.
  15. 김혜력(2013).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와 부모효능감이 유아의 놀이성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김희화(2005). 아버지의 양육참여 실태 및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대한 아버지 양육참여의 영향. 아동학회지, 26(5), 311-330.
  17. 도금혜(2008). 청소년의 불안에 영향일 미치는 변인. 인간발달연구, 15(3), 131-147.
  18. 박선주.강민주(2017). 맞벌이 가정 아버지의 성역할태도와 어머니 문지기 역할이 아버지의 양육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육아정책연구, 11(3), 87-111. https://doi.org/10.5718/KCEP.2017.11.3.87
  19. 박성혜(2013). 아버지의 양육행동과 유아 성별에 따른 리더십유형의 관계.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7(4), 29-50.
  20. 박연주(2001). 피학대 경험이 아동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배호중(2015). 맞벌이 가구 남편의 가사노동시간. 사회과학연구, 31(4), 151-181.
  22. 손문금(2005). 맞벌이 부부의 무급노동분담에 대한 실증적 연구. 페머니즘 연구, (5), 239-287.
  23. 송유진(2011). 한국인의 일상생활 시간변화: 부모의 교육 수준에 따른 자녀양육시간. 한국인구학, 34(2), 45-64.
  24. 송혜림.고선강.박정윤.권혜진.김유경.진미정(2010). 가족친화환경 측면에서 본 남성의 아버지역할 수행 실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4(4), 341-361.
  25. 신명희.강소연.김은경.김정민.노원경.서은희.송수지.원영실.임호용(2018). 영유아발달. 학지사:서울.
  26. 안수미.이기영.이승미(2013).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와 자녀양육시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2), 93-119.
  27. 양진희(2015).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을 적용한 종단연구: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자녀가치, 양육스트레스 간의 관계. 한국교육문제연구, 33(4), 303-327.
  28. 연은모.최효식(2020). 아버지 양육참여 변화 유형에 따른 자녀의 문제행동 및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 차이 비교: 잠재계층성장모형 적용을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1(1), 468-476. https://doi.org/10.5762/KAIS.2020.21.1.468
  29. 오수진(2017).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아동학대에 미치는 영향: 부부갈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 오정윤(2016). 빈곤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보육서비스 질 만족도와 양육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1. 유지영(2017). 책임성을 중심으로 본 남성들의 자녀양육 참여. 디지털융복합연구, 15(1), 45-61. https://doi.org/10.14400/JDC.2017.15.1.45
  32. 이경숙.엄혜련.정영윤(2004). 잠재된 비행청소년의 애착유형 (AAI)에 따른 아동기 양육경험과 문제행동.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6(3), 511-532.
  33. 이아름(2021).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와 유아 문제행동의 관계에서 어머니 우울과 자아존중감의 종단적 매개효과.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4. 이영환(2008). 아버지의 자녀양육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부모 공동양육의 관점에서. 아동과 권리, 12(2), 189-210.
  35. 이영환(2012). 아버지와 어머니의 자녀양육 참여시간 비교. 아동과 권리, 16(3), 471-495.
  36. 이학옥(1998). 아버지의 자녀양육 행동과 청소년기 자녀의 성역할정체감 및 자아존중감의 형성.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7. 이현정(2004). 아버지의 양육태도 및 양육참여도가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서울신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8. 장미나.한경혜(2011). 어린자녀를 둔 맞벌이부부들의 일상생활경험: 경험표집법(ESM)으로 살펴본 남녀의 일상시간 구성과 정서경험 비교. 가족과 문화, 23(1), 1-39.
  39. 장보성.남영준.이준기(2014).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자원봉사자의 직무만족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5(1), 217-237. https://doi.org/10.14699/kbiblia.2014.25.1.217
  40. 장영은(2016). 어머니 자기효능감, 우울 및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문제행동간의 관계. 가족과 문화, 28(4), 1-29.
  41. 장혜경.홍승아.이상원.김영란.강은화.김고은(2006). 가족 내 돌봄노동 실태조사. 서울:한국여성개발원.
  42. 정송희.전효정(2016). 어머니의 부정적 심리적 특성 및 양육 특성이 자녀의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12-213.
  43. 조성호.김지민(2018). 일.생활 균형을 위한 부부의 시간 배분과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44. 주은선.김사현.김민성(2014). 한국 부모의 미취학아동 돌봄시간에 관한 연구. 보건사회연구, 30(2), 367-400.
  45. 차기주.김민정.정미라(2016). 영아기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영아발달 간의 관계: 어머니의 부모역할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99, 111-138.
  46. 채화영.이기영(2013). 육아기 맞벌이 남성의 일, 가정 양립 경험.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1(5), 497-511. https://doi.org/10.6115/fer.2013.51.5.497
  47. 최경순(1992). 아버지의 양육행동 및 참여도와 아동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8. 최세실(2016). 유아의 기질과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9. 최지은.김현경(2019).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아버지의 신체적.정신적 적응: 생활시간조사와 한국아동패널을 이용한 시대, 연령, 코호트 간 차이 분석. 한국사회학, 53(3), 1-41.
  50. 한준아.조윤주.김지현(2014). 유아의 외현적 공격성 및 관계적 공격성에 대한 유아의 성, 기질, 정서조절능력,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의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23(4), 525-544.
  51. 황순영.정영숙.우수경(2005). 사회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와 역할만족도 및 유아의 사회적 능력. 한국생활과학학회지, 14(4), 521-529.
  52. 허은 (2014). 아버지의 아동권리 인식이 양육참여에 미치는 영향과 양육태도의 매개효과.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3. Ahn, S. M., Lee, K. Y. & Lee, S. M.(2013). Fa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and time.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17(2), 93-119.
  54. Allen, S. & Daly, K.(2007). Effects of father involvement: An updated research summary of the evidence. Centre for Families. Word & Well-Being. University of Guelph, Ontario, Canada.
  55. Altintas, E.(2015). Educational differences in fathers' time with children in two parent families: Time diary evidence from the United States. Family Science, 6(1), 1-9. https://doi.org/10.1080/19424620.2015.1082340
  56. Benzies, K. M., Harrison, M. J. & Magill-Evans, J.(2004). Parenting stress, marital quality,and child behavior problems at age 7 years. Public Health Nursing, 21(2), 111-121. https://doi.org/10.1111/j.0737-1209.2004.021204.x
  57. Bonke, J. & Esping-Andersen, G.(2009). Parental Investments in Children: How Educational Homogamy and Bargaining Affect Time Allocation. European Sociology Review 10 (20),1-13.
  58. Brachfeld-Child, S.(1986). Parents as teachers: Comparisons of mothers' and fathers' instructional interactions with infants. Infant Behavior and Development, 9(2):127-131. https://doi.org/10.1016/0163-6383(86)90024-X
  59. Bulanda, R. E.(2004). Paternal Involvement with Children: The Influence of Gender Ideologie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66(1), 40-45. https://doi.org/10.1111/j.0022-2455.2004.00003.x
  60. Craig, L.(2006). Parental education, time in work and time with children An Australian time-diary analysis. British Journal of Sociology, 57(4), 553-575. https://doi.org/10.1111/j.1468-4446.2006.00125.x
  61. Eisenberg, N., Fabes, R. A. & Spinrad, T. L.(2006).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New York: Wiley.
  62. Esping-Andersen, G.(2009). Incomplete Revolution: Adapting Welfare States to Women's New Roles. Cambridge: Polity.
  63. Feinberg, M. E.(2003). The Internal Structure and Ecological Context of Coparenting: A Framework for Research and intervention. Parenting-Mahwah-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3(2), 95-131. https://doi.org/10.1207/S15327922PAR0302_01
  64. Gershuny, J.(2000) Changing times: Work and leisure in postindustrial society.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65. Gimenez-Nadal, J. & Molina, I.(2013). Parents' education as a determinant of educational child care time. Journal of Population Economics, 26(2), 719-749. https://doi.org/10.1007/s00148-012-0443-7
  66. Guryan, J., Hurst, E. & Kearney, M.(2008). Parental Education and Parental Time with Children. Journal of Economic Perspectives, 22(3), 23-46. https://doi.org/10.1257/jep.22.3.23
  67. Hooper, S. R. & Umansky, W.(2004).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4th ed.).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Merrill Prentice Hall.
  68. Jackson, A. P., Brooks-Gunn, J., Huang, C. & Glassman, M.(2000). Single mothers in low-wage jobs: Financial strain, parenting, and preschoolers' outcomes. Child development, 71(5), 1409-1423. https://doi.org/10.1111/1467-8624.00236
  69. Kalil, A., Ryan, R. & Corey, M.(2012). Diverging Destinies Maternal Education and the Developmental Gradient in Time With Children. Demography, 49(4), 1361-1383. https://doi.org/10.1007/s13524-012-0129-5
  70. Kim, P., Rigo, P., Mayes, L. C., Feldman, R., Leckman, J. F. & Swain, J. E.(2014). Neural plasticity in fathers of human infants. Social Neuroscience, 9(5), 522-535. https://doi.org/10.1080/17470919.2014.933713
  71. Lamb, M.E.(1981). The Role of Father in Child Development. 김광웅.박성연 역(1995), 아버지역할과 아동발달,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72. Lamb, M.E., Pleck, J. H., Charnov, E. L. & Levine, J.A. (1987). A biosocial perspective on parental behavior and involvement. Parenting across the life span: Biosocial dimensions, 111-142.
  73. Lamb, M.E.(2000). "The History of Research on Father Involvement: An Overview." Marriage & Family Review, 29(2-3): 23-42. https://doi.org/10.1300/J002v29n02_03
  74. Mangelsdorf, S. C., Laxman, D. J. & Jessee, A.(2011). Coparenting in two-parent nuclear families.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y Association.
  75. Margolin, G., Gordis, E. B. & John, R. S.(2001). Coparenting: A Link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Parenting in Two-Parent Families.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15(1), 3-21. https://doi.org/10.1037//0893-3200.15.1.3
  76. Mauer, T.W., Pleck, J.H. & Rane, T.R.(2001). Parental identity and reflected-appraisals: Measurement and gender dynamic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63(2), 309-321. https://doi.org/10.1111/j.1741-3737.2001.00309.x
  77. Parke, R.D. & Brott, A.A.(1999). Throwaway Dads: the myths and barriers that keep men from being the fathers they want to be. 박형신.이진희 역(2010), 나쁜 아빠, 이학사.
  78. Sayer, L. C. (2005). Gender, time and inequality: Trends in women's and men's paid work, unpaid work and free time. Social Forces, 84(1), 285-303. https://doi.org/10.1353/sof.2005.0126
  79. Sayer, Liana C., Bianchi, Suzanne M. & Robinson, John P. (2004). Are parents investing less in children Trends in mothers' and fathers' time with children. The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110(1), 1-43. https://doi.org/10.1086/386270
  80. Schoppe-Sullivan, S.J., Brown, G.L., Cannon, E.A., Mangelsdorf, S. C. & Sokolowski, M.W.(2008). Maternal gatekeeping, coparenting quality, and fathering behavior in families within fants.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22(3), 389-398. https://doi.org/10.1037/0893-3200.22.3.389
  81. Van Egeren, L.A. & Hawkins, D.P.(2004). Coming to terms with coparenting: Implications of definition and measurement. Journal of Adult Development, 11(3), 165-179. https://doi.org/10.1023/B:JADE.0000035625.74672.0b
  82. Zick, Bryant & Osterbacka.(2001). Mothers' Employment, Parental Involvement, and the Implications for Intermediate Child Outcomes. Social Science Research, 30(1), 25-49. https://doi.org/10.1006/ssre.2000.06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