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산업연관표를 이용한 골재 및 석재부문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연구

A Study on Induced effect of Aggregate and Stone Sector with Input-Output Table

  • 김지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북방지질자원전략센터)
  • Kim, Ji Whan (Center for Northern Geoscience,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투고 : 2021.10.12
  • 심사 : 2021.10.22
  • 발행 : 2021.10.29

초록

본 연구는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골재 및 석재부문의 유발효과를 분석하였다. 먼저 골재 및 석재부문의 부가가치에 관해 정리하였으며, 이어 중간투입구조와 유발효과를 분석하였다. 부가가치구조 측면에서 골재 및 석재는 제조업에 비해 높은 피용자보수율을 보였으며, 영업잉여에 대해서도 그 외 광업에 비해 높은 비율을 보였다. 중간투입구조는 골재 및 석재 생산품을 중간투입물로 이용하는 부문과 그 투입비율을 정리하였는데, 골재 및 석재의 배분구조와 산업부문에서 골재 및 석재를 투입하는 구조를 정리하였으며, 레미콘, 콘크리트 제품 등 주요 수요자의 중간요소 투입구조 중 비중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골재 및 석재의 최대 수요자인 레미콘의 주요 투입부문에 대해서도 정리하였다. 골재 및 석재의 생산유발효과는 2015년 기준으로 0.774의 값을 보인 감응도계수에 비해 0.984의 값을 보인 영향력계수가 전체 산업에서 높은 순위를 보여 상대적으로 후방연쇄효과를 크게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산업연관표를 재구성하여 생산유발 효과를 검토하였는데, 한국은행의 기본부문분류에 따른 도출결과와 유사하게 영향력계수 측면에서 상대적 우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d the induced effects of the aggregate and stone sectors using the industry association table. First, the added value of the aggregate and stone sectors was summarized, and then the intermediate input structure and induced effect were analyzed. In terms of value-added structure, aggregate and stone showed a higher employee remuneration rate compared to the manufacturing industry, and a higher rate of operating surplus compared to other mining industries. The intermediate input structure summarizes the sector using aggregate and stone products as intermediate inputs and their input ratio. The proportion of the intermediate element input structure was confirmed. In addition, the main input sectors of ready-mixed concrete, the largest consumer of aggregate and stone, are also summarized. The production-inducing effect of aggregate and stone showed a higher influence coefficient than the sensitivity coefficient, confirming that they had a relatively large rear chain effect. The production inducement effect was reviewed by reconstructing the industry association table, and it was found to show a relative superiority in the influence coefficient, similar to the results derived according to the provisional classification of the Bank of Korea.

키워드

과제정보

이 연구는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 수행하고 있는 국토교통부 "2021년 골재자원조사 및 관리사업(IP2021-006)"의 지원으로 수행되었습니다. 또한 논문에 대한 세심한 검토와 제안을 해주신 심사위원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참고문헌

  1. Bank of Korea (2019) 2015 Input-Output Statistics, BOK webpage, http://ecos.bok.or.kr/
  2. Choi, J.H. and Kim, J.W. (2021) Estimation of Economic Inducement Effect of Urban Mining Upon Applying Laser Induced Breakdown Spectroscopy Technology. Jour. Korean Soc. Miner. Energy Resour. Eng., v.58, p.300-306. doi: 10.32390/ksmer.2021.58.4.300
  3. Hong, S.S. and Lee, J.Y. (2021) Analysis of Domestic Aggregate Production of Korea in 2019 (II) - by Local Governments. Econ. Environ. Geol., v.54, p.427-439. doi: 10.9719/EEG.2021.54.4.427
  4. Kim, J.W., Lee, K.H. and Kim. Y.K. (2014) A Study on Estimation of Economic Effects on Mining Products Import Substitution Using Macroeconometric Input-Output Model. Econ. Environ. Geol., v.47, p.237-246. doi: 10.9719/EEG.2014.47.3.237
  5. Kim, J.W, and Kim. Y.K. (2021) Induced Effects of Environmentally Friendly Generations in Korea. Sustainability, v.13, 4404. doi: 10.3390/su13084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