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zing Tasks in the Statistics Area of Korean and Singaporean Textbooks from the Perspective of Mathematical Modeling: Focusing on 7th Grade

수학적 모델링 관점에 따른 한국과 싱가포르의 통계영역 과제 분석: 중학교 1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21.09.02
  • Accepted : 2021.09.25
  • Published : 2021.09.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statistical tasks in Korean and Singaporean textbooks with the mathematical modeling perspective and compare the learning contents and experiences of students from both countries. I analyzed mathematical modeling tasks in the textbooks based on five aspects: (1) the mathematical modeling process, (2) the data type, (3) the expression type, (4) the context, and (5) the mathematical activ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Korean and Singaporean textbooks provide the highest percentage of the "working-with-mathematics" task, the highest percentage of the "matching task," and the highest percentage of the "picture" task. The real-world context and mathematical activities used in Korean and Singaporean textbooks differed in percentage.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extbook tasks to support future mathematical modeling activities. This includes providing a balanced experience in mathematical modeling processes and presenting tasks in various forms of expression to raise students' cognitive level and expand the opportunity to experience meaningful mathematizing.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esent a contextually realistic task for students' interest in mathematical modeling activities or motivation for learning.

본 연구는 한국과 싱가포르의 중학교 1학년 교과서의 통계영역에 제시된 과제를 수학적 모델링 관점에서 비교·분석함으로써 두 나라의 학생들이 각각 접할 학습 내용과 학습 경험의 기회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통계영역의 교과서 개발 및 보완 측면에서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교과서 과제는 수학적 모델링 과정 반영, 데이터 제공 유형, 표현 형식, 문제 상황 맥락, 수학적 활동의 5가지 측면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과 싱가포르 교과서 모두 수학적 결론을 구하는 과제와 과제 해결에 필요한 데이터만 제공되는 과제, 표나 그림으로 표현되는 과제의 비중이 가장 높았다. 한국과 싱가포르 교과서에 반영된 실세계 맥락과 수학적 활동의 경우는 서로 비중에 차이가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수학적 모델링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교과서 과제 개발에 대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수학적 모델링 과정의 균형 있는 경험 제공과 다양한 표현 형식의 과제를 제시함으로써 학생들의 인지적 수준을 높이며, 의미 있는 수학화 과정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의 확대가 필요하다. 또한, 수학적 모델링 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 또는 학습동기를 위해 맥락적 현실성이 높은 과제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옥기. (2007). 수학과 학습지도와 평가론. 서울: 경문사.
  2. 교육부. (2015).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제2015-71호 [별책8].
  3. 교육부, 한국과학창의재단. (2015).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II(연구보고서 BD15110002). 한국과학창의재단.
  4. 권오남, 이경원, 이아란, 한 채린. (2019). 한.일 수학과 교육과정의 외.내적 체재 비교 분석: 직전 교육과정과의 변화를 중심으로. 수학교육, 58(2), 187-223.
  5. 김민경, 홍지연, 김은경. (2009). 수학적 모델링 사례 분석을 통한 초등 수학에서의 지도 방안 연구. 수학교육, 48(4), 365-385.
  6. 김민경. (2010). 수학적 모델링: 초등수학 중심으로. 서울: 교우사.
  7. 김선희. (2005). 문제 중심 학습의 방법으로서 수학적 모델링에 대한 고찰. 학교수학, 7(3), 303-318.
  8. 김소민. (2019). 중학교 통계영역의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외국 교육과정의 탐색: 한국, 미국, 싱가포르, 일본의 학습 요소 중심으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2(4), 501-520.
  9. 박선영, 한선영. (2018). 수학적 모델링 과정을 반영한 교과서 문제 재구성 예시 및 적용. 수학교육, 57(3), 289-309.
  10. 박진형. (2017). 수학적 모델링 활동에 의한 창의적 사고 촉진 사례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7(1), 69-88.
  11. 서동엽. (2016). 우리나라와 싱가포르의 중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비교. 수학교육학연구, 26(3), 443-465.
  12. 손태권, 황성환, 여승현. (2020). 2015개정교육과정 분수의 덧셈과 뺄셈에 관한 수학 교과서 및 익힘책분석. 학교수학, 22(3), 489-508.
  13. 심지은. (2012). 수학적 모델링 학습법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강원도.
  14. 양은영. (2016). 수학적 모델링 통계 수업이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문제 해결력과 수학적 성향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 논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15. 양지수. (2021). 수학적 모델링 관점에서 교과서 분석: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3학년 '이차함수'와 '삼각비' 단원 중심으로. 석사학위 논문.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광주.
  16. 이지현. (2012). 초등학교 수학교과서 각도단원 분석: 학습자 활동 및 과제를 중심으로. 열린교육연구, 20(1), 89-115.
  17. 장혜원, 최혜령, 강윤지, 김은혜. (2019). 초등학교 저학년을 위한 수학적 모델링 과제 개발 및 적용 가능성 탐색.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3(1), 93-117.
  18. 정승요, 박만구. (2016). 수학과 교육과정의 변화에 따른 초등학교 3, 4학년 교과서의 수학적 모델링 관련 제시 방법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9(1), 103-122.
  19. 정혜윤, 정진호, 이경화. (2020). 수학적 모델링 관점에 따른 한국과 미국의 중학교 1학년 교과서 기하영역에 제시된 과제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3(2), 179-201.
  20. 정혜윤, 이경화, 정진호. (2020). 수학적 모델링 관점에 따른 초등학교 6학년 교과서의 실세계 맥락 과제 분석: 2011과 2015 개정 교육과정 시기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8), 1313-1340.
  21. 조수현, 김구연. (2021). 수학 교사의 교과서 이해 및 활용 의도 탐색. 수학교육, 60(1), 111-131.
  22. 조정길. (2006). 수학적 모델링 활용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울산.
  23. 최인용, 송민호, 김화경, 정인우. (2021). 싱가포르 2020 수학과 교육과정 분석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1), 219-232.
  24. Blomhoj, M., & Kjeldsen, T. H. (2013). Students' mathematical learning in modelling activities. In G. A. Stillman, G. Kaiser, W. Blum, & J. P. Brown (Eds.). Teaching mathematical modelling: Connecting to research and practice (pp. 141-152). Dordrecht: Springer.
  25. Blum, W., & Leib, D. (2007). How do students and teachers deal with modeling problems? In Mathematical modeling(ICTMA 12): Education, Engineering and Economics (pp. 222-231). Woodhead Publishing.
  26. Charalambous, C. Y., Delaney, S., Hsu, H. Y., & Mesa, V. (2010).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addition and subtraction of fractions in textbooks from three countries. Mathematical Thinking and Learning, 12(2), 117-151. https://doi.org/10.1080/10986060903460070
  27. Curriculum Planning and Development Division. (2019). Mathematics Syllabus Secondary One to Four, Express Course, Normal (Academic) Course. Ministry of Education, Singapore.
  28. Doerr, H. M., & English, L. D. (2003). A modeling perspective on students' mathematical reasoning about data.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4(2), 110-136. https://doi.org/10.2307/30034902
  29. Doyle, W. (1983). Academic Work.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3(2), 159-199. https://doi.org/10.3102/00346543053002159
  30. English, L. D. (2006). Mathematical modeling in the primary school.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63, 303-323. https://doi.org/10.1007/s10649-005-9013-1
  31. Franke, M. (2003). Didaktik des Sachrechnens in der Grundschule. Heidelberg/Berlin: Spektrum/Akademischer Verlag
  32. Glasnovic Gracin, D. (2018). Requirements in mathematics textbooks: A five-dimensional analysis of textbook exercises and examples. International J ournal of Mathematical Educ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49(7), 1003-1024. https://doi.org/10.1080/0020739X.2018.1431849
  33. Greer, B. (1997). Modelling reality in mathematics classrooms: The case of word problems. Learning and Instruction, 7, 293-397. https://doi.org/10.1016/S0959-4752(97)00006-6
  34. Heng, C. B., Seng, T. K., Fong, W. L., Lee, S., & Hong, O. C. (2020). Think! Mathematics: New syllabus mathematics, secondary 1B (8th Edition). Shinglee Publisheres Pte Ltd. Singapore.
  35. Kaiser, G. (2017).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mathematical modeling. Compendium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pp. 267-291). Reston, VA: NCTM.
  36. Lesh, R., & Doerr, H. M. (2000). Symbolizing, communicating, and mathematizing: Key components of models and modeling. In P. Cobb et al. (Eds), Symbolizing, communicating in mathematics classroom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pp. 361-383.
  37. Maass, K. (2010). Classification Scheme for Modelling Tasks. Journal Fur Mathematik-Didaktik, 31(2), 285-311. https://doi.org/10.1007/s13138-010-0010-2
  38.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1991). Mathematical modeling in the secondary school curriculum. Reston, VA: NCTM.
  39.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NCTM.
  40.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14). Principles to actions: Ensuring mathematical success for all. Reston, VA: NCTM.
  41. Niss, M. (1989). Aims and scope of application and modeling in mathematics curriclum. In Blum, W., Berry, J. S. et al. (Eds.), Applications and modeling in learning and teaching mathematics. Chichester, UK: Ellis Horwood Limited. pp. 22-31.
  42. Niss, M. (1992). Applications and modelling in school mathematics-directions for future development. Roskilde: IMFUFA Roskilde Universitetscenter.
  43. OECD. (2003). The P ISA 2003 assessment framework: Mathematics, reading, science and problem solving knowledge and skills.
  44. Palm, T. (2008). Impact of authenticity on sense making in word problem solving.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67, 37-58. https://doi.org/10.1007/s10649-007-9083-3
  45. Simon, M. A. & Tzur, R.(2004). Explicating the Role of Mathematical Tasks in Conceptual Learning: An Elaboration of the Hypothetical Learning Trajectory. Mathematical Thinking and Learning, 6(2), 81-104. https://doi.org/10.1207/s15327833mtl0602_1
  46. Stein, M. K., Grover, B. W., & Henningsen, M. (1996). Building student capacity for mathematical thinking and reasoning. An analysis of mathematical used in reform classroom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33, 455-488.
  47. Swetz, F. (1991). Incorporating mathematical modeling into the curriculum. Mathematics Teacher, 82(9), 722-726. https://doi.org/10.5951/MT.82.9.0722
  48. Trethewey, A. R. (1976). Introducing Comparative Education. Rushcutters Bay, Australia: Pergamon Press.
  49. Verschaffel, L., De Corte, E., Lasure, S., Van Vaerenbergh, G., Bogaerts, H., & Ratinckx, E. (1999). Learning to solve matheamtical application problems: A design experiment with fifth graders. Mathematical Thinking and Learning, 1(3), 195-229. https://doi.org/10.1207/s15327833mtl0103_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