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atisfaction Survey Through Multicultural Literacy Program Development and Education for Busan Youth

부산 청년을 대상으로 다문화리터러시 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을 통한 만족도 조사

  • Kang, Hyun-Joo (Korea Institute for Cultural Diversity) ;
  • Jung, Se Ri (Korea Institute for Cultural Diversity) ;
  • Kim, Chee-Yong (Major of Game Animation Eng., School of ICT Eng., Dong-eui University)
  • Received : 2021.06.09
  • Accepted : 2021.11.02
  • Published : 2021.11.30

Abstract

This study describes a multicultural literacy program that can nurture multicultural people who can live in a multicultural society. A total of 10 20-hour programs were conducted for 22 youths in Busan. Through this, the current perception and acceptance of multiculturalism among young people in Busan was investigated, and a curriculum suitable for multicultural awareness,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multicultural competency enhancement was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the goal of strengthening the multicultural competency required for multicultural activists through education, learners can exchange opinions through the activity sheet, so that learners can know the difference between themselves and others. Students could learn about each other's culture and values through cultural exchange with others, and through teachers with diverse cultures, they could learn various perspectives and cultures about culture and values. Through the results of the multicultural literacy program, I would like to suggest three methods of multicultural literacy education to strengthen multicultural competence in a multicultural society. Therefore, efforts should be made to develop various multicultural education courses to strengthen the multicultural capabilities of Koreans.

Keywords

1. 서 론

최근 한국은 외국인들의 유입으로 빠르게 다문화사회로 접어들고 있다. 법무부 출입국 외국인정책 통계 월보(2020.10)에 따르면 체류외국인 수는 2, 077, 053 명으로 작년 2, 481, 565명보다 약 16%가 감소하였지만, 이것은 코로나 19와 같은 특수한 상황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체류외국인 수가 200만을 넘어섰고 한국은 저출산 고령화로 인구가 줄어들고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는 나라의 외국인 비율이 5%를 넘어가는 경우는 다문화사회로 보고 있다[1]. 한국은 저출산 고령화로 내국인의 인구는 감소하고 외국인의 인구는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그러므로 내국인들은 외국인들과 함께 살아갈 수 있도록 다문화사회를 맞이할 준비가 필요하다. 한국은 1988 년 올림픽을 시작으로 급속하게 글로벌화 되면서 외국인 노동자, 결혼이주민 등의 외국인들의 유입이 이루어졌으며 이들이 가정을 이루면서 국내에 다문화 집단들이 등장하기 시작하며 다문화 현상들이 나타났다. 1990년대 한국은 산업화로 인해 농촌의 총각들의 결혼상대자가 부족한 상태가 되었으며 농촌 총각들의 결혼과 경제활동을 위해서 동남아시아 국가 등에서 외국인들이 많이 한국에 입국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다문화가정이 급속도로 증가하였고 다문화 학생들도 증가하였다. 연도별 다문화가정 학생 현황은 아래의 Fig. 1과 같다.

MTMDCW_2021_v24n11_1567_f0001.png 이미지

Fig. 1. Current status of multicultural students in Korea.1)

다문화 학생이 증가하고 있으며 교육현장인 학교에서는 학령인구의 내국인 자녀들의 수가 감소하고 있는 것과 달리 매년 다문화가정 학생 수는 증가하고 있으며 국제결혼가정 중 국내 출생 학생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국제결혼가정의 국내 출생 학생들이 성장함에 따라 다문화사회로 변화되는 속도도 빠를 것으로 보인다. 다문화가정 학생들과 함께 교육을 받게 될 내국인 가정 학생 대상의 다문화 교육의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그러나 한국의 다문화 교육은 주로 다문화가정학생, 결혼이주여성, 외국인노동자들을 중심으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다문화교육은 모든 사람의 다양성을 인정하면서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참여하고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Banks, 1994)으로 개개인 모두가 자신이 포함되어 있는 문화를 바탕으로 하여 다른 사람의 문화에 대해서도 자신의 문화와 같은 가치를 가지고 있다고 인정하는 태도, 인식, 가치, 지식을 제공하는 교육이 되어야 한다[2,3]. 이와 같은 다문화교육은 단순한 다문화에 대한 지식뿐만 아니라 다문화 역량 즉 다양한 문화적 차이에 대해 이해하고 공감하는 능력을 키워야 한다. Holcomb-McCoy & Myers(1999)에 따르면 다문화역량에 가장 중요한 것은 다문화 인식으로 본다. 다문화에 대한 인식은 다른 문화를 경험할 기회를 통해 자신과 다른 문화에 대한 인식 변화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다른 문화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다문화교육은 현재 일어나고 있는 상황과의 접촉을 통해 끊임없이 변화되고 있는 사회·정보·문화를 읽을 수 있는 역량을 증진시키는 다문화 리터러시 교육이다[4,5].

리터러시(literacy)는 기록물 등을 활용하여 정보와 지식을 습득하고 이해하는 능력으로 정의 내리고 있다. 리터러시는 개인이 사회구성원으로 활동하기 위해 의사소통 기본 능력이라는 의미였지만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사회구성원으로서 필요하여 요구되는 능력으로 확장되었다[6,7]. Banks(2003)는 다문화 리터러시는 사회를 읽어내는 힘과 개선시키는 능력과 관계있다고 말하고 있다. 사회를 읽어내는 힘은 다양한 교육으로 지식을 습득하는 것이며, 사회를 개선시키는 능력은 습득한 지식을 사회를 위한 실천과 도구로 활용해야 한다. 다문화 교육에서 다문화 리터러시 교육은 학습자들에게 자신의 집단에서 나와 다른 문화와 시각, 지식을 가진 타인이 있다는 것, 차이를 인식하게 한다. 문화와 지식 차이의 갭을 수용하여 사회에서 지식으로만 인식하는 것이 아닌 행동, 실천하여 사회구성원들과의 통합을 이루는 것이다 [8,9].

현재 한국의 다문화 교육은 증가하는 다문 화가정학생들로 인해 교육부는 다문화 2006년 다문화 교육지원계획 사업을 시작하여 학생, 학부모, 교원, 지역사회 등 학교와 연계된 구성원들이 다문화 교육을 통해 참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교육부에서는 학생들이 다문화에 대해서 어렸을 때부터 순차적으로 거부감 없이 학습하고 느낄 수 있도록 교육과정에 다문화 교육을 포함했다. 7차 교육과정에서는 다문화 교육이 포함된 모든 교과목을 재량활동에서 지도하는 것에 한정하였고 차츰 다문화 교육을 확대하였다.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다문화 교육을 35개의 모든 교과의 학습 주제 중 하나로 선정하여 초·중등학교 교육과정에 포함하며 학교 교육에 통합적으로 지도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다문화 학생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다문화 교육은 발전하였으며, 2008년 제정된 다문화가족 지원법에 따라 여성가족부에서는 제 1차, 2 차 다문화가족지원정책을 통해 다문화가족의 다양한 배경과 특수성을 고려하여 다문화 가족지원센터 교육을 시행하였다. 최근 2020년의 다문화 교육은 여성가족부(2020)의 제 3차 기본계획 수립 추진 계획의 인권존중 및 다양성이 존중되는 사회 환경을 위해 다문화 이해교육 활성화를 통해 상호존중에 기반으로 다양한 문화와 배경의 학생들이 함께 어울려 살아가는 교육 환경 조성을 목표로 시행하고 있다. 교육목표가 현장에 접목될 수 있도록 교원을 대상으로 한 다문화 교육은 물론 예비 교원의 다문화역량 증진을 위하여 다문화교육 관련 내용을 교직과목에 포함하여 교육하고 있다[10,28].

따라서 본 논문에서 다문화 리터러시 교육은 내국인들이 개개인의 문화를 바탕으로 하여 다양한 문화와 가치를 존중하는 법과 타인의 문화를 받아들여 같은 사회 구성원으로 인식하기 위한 다문화역량 증진 교육인 청년다문화리터러시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프로그램에 참여한 청년들의 다문화 인식과 수용적 태도를 살펴보고 내국인과 다문화인들을 아우르는 상호문화교육방식의 다문화리터러시 교육방안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2. 연구방법

2.1 연구대상

현재 국내는 지속적인 외국인 증가 추세로 인해 급격하게 다문화 사회로 변하고 있으며 다문화로 인한 갈등, 혐오 문제에 대한 예방과 대처로 다문화인의 한국생활적응 및 인식개선 교육이 주요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 다문화리터러시교육은 글로벌 시대의 맞는 미래교육중심의 한 부분인 다문화역량을 강화하여 진로활동 또는 진학활동을 희망하는 부산 청년들을 대상으로 총 10주 동안 진행되었으며 1 회기당 2시간 수업으로, 청년들은 총 22명이 신청했으며 4명의 중도탈락 후 최종적으로 각 4명씩 4팀 16명이 팀별 활동을 하였다. Table 1 다문화 리터러시 프로그램 운영개요는 다음과 같다.

Table 1. Overview of Multicultural Literacy Program Operation.

MTMDCW_2021_v24n11_1567_t0001.png 이미지

다문화리터러시 프로그램을 학습하는 학습자들은 대학(원)생, 취준생, 직장인, 유치원 선생님, 한국어 강사, 기타 등 다양하게 모집하였다. 다음 Table 2와 같다.

Table 2. Composition of multicultural literacy participants.

MTMDCW_2021_v24n11_1567_t0002.png 이미지

Table 2의 참여자들은 만 18세 이상 34세 이하의 청년을 대상으로 모집하였으므로 다양한 직업군의 학습자들로 구성되었다.

다음 Table 3은 다문화리터러시 프로그램(즐거운 다 多. 다多. 다多.시간 )은 총 10회 20시간으로 커리큘럼을 구성하였고 다문화리터러시 프로그램의 교육을 통해 다문화 활동가로 필요한 다문화역량 증진이라는 목표에 따라 다양한 문화권을 가진 교사를 통해 학습자들이 문화와 가치관에 대해 다양한 시점과 문화를 학습할 수 있도록 하였다. 교육커리큘럼은 나와 타인의 시각의 차이를 인식할 수 있고 문화적 다양성을 수용할 수 있는 능력, 사회 구성원들을 위해 비판할 수 있는 실천적 영역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최종적으로 현장을 직접 경험할 기회를 제공하였다 [11].

Table 3. Curriculum for Multicultural Literacy Program.

MTMDCW_2021_v24n11_1567_t0003.png 이미지

학습자들 대부분 다문화에 대한 경험이 없는 사람이었으며 22명 중 4명은 대학 및 기관에서 유치원 선생님 및 한국어강사 등 교사로 활동하고 있는 학습자들이었다. 다문화 리터러시 프로그램은 교사의 자격 또는 교사를 희망하는 학습자들에게 다문화 리터러시 프로그램 참여도가 높게 나타났다. 다양한 문화를 가진 학습자들이 자신의 시각에서 자유롭게 의견을 제시하고 타인의 시각을 수용하고 차이를 인정할 수 있는 능력을 증진할 수 있도록 다문화리터러시 프로그램 커리큘럼을 구성하였다. 다음 Table 3과 같다.

Table 3의 다문화리터러시 프로그램 커리큘럼은 청년들의 다문화 인식개선을 목표로 하여 설정하였다. 다문화 분야에 대한 지식 습득을 위한 이론 및 다양한 사회구성원과의 조화를 위해 다문화에 대한

비판적인 태도와 문화 간 소통을 위한 실질적 이슈에 대한 이해를 학습하고 다문화의 정책 및 다문화 현상 등 갈등과 오해를 학습하여 사회현상을 보는 시각을 넓히고자 부산광역시 청년 22명을 대상으로 다문화 리터러시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2.2 프로그램 목표 및 내용

본 논문은 내국인과 다문화인들의 상호문화교육과 다문화역량 증진을 위해 다문화리터러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부산 청년(19-34세) 들을 대상으로 다문화 리터러시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다음 Fig. 2는은 다문화역량 학습을 위한 다문화 리터러시 교육내용이다.

MTMDCW_2021_v24n11_1567_f0002.png 이미지

Fig. 2. Contents of Multicultural Competency Education.

다문화 인식은 다양한 타인들이 언어, 문화, 행동을 이해하고 자문화에 대한 개방과 타인의 문화에 대한 가치와 태도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것이다. 민족과 타집단에 대한 신념 및 태도, 인종, 문화적 편견 등의 다양성을 인정하는 것이며 다문화를 인식하는 것은 자신이 익숙하지 않은 문화적 상황에서도 긍정적인 정서를 통해 타문화를 가진 사람의 입장에서 공감을 통해 문화적, 정서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것을 말한다. 다문화 인식은 다문화 지식뿐만 아니라 다문화에 대한 수용적 태도, 다문화적 능력과 함께 다문화역량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이다[12].

다문화역량은 문화적 다양성을 인식하여 다문화를 이해하고 지식을 실천하는 것으로 구성되어있다. 즉 다문화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가치를 인정할 수 있고, 다문화 인식개선이 가능하고, 자신의 문화에 대한 개방과 타문화에 대한 가치를 수용하고, 상호문화 관계를 인정하는 다문화 수용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타문화에 대한 수용성 증진 후 다양한 사회 구성원과의 조화를 위해 다문화에 대한 비판적인 태도와 문화 간 소통을 위해 다문화에 대한 실천을 강화함으로써 다문화역량을 기를 수 있다[13] [14,15]. 다음Table 4는 다문화리터러시 프로그램의 목표 및 교육 내용이다.

Table 4는 다문화역량 증진을 위한 다문화 리터러시 프로그램의 수업 별 교육 목표와 내용이다.

Table 4. Multicultural Literacy Program Goals and Contents.

MTMDCW_2021_v24n11_1567_t0004.png 이미지

다문화역량 증진을 위해 인식, 수용성, 역량으로 항목으로 나누어 목표와 교육내용을 설정하였고 커리큘럼을 구성하였다. 인식 수업은 학습자들이 자신의 시각과 타인의 시각의 차이를 알 수 있도록 활동지를 통해 의견을 교환 활 수 있도록 했으며 수용성 수업은 학습자들의 문화와 다양한 문화권 교사들과의 문화교류를 통해 서로의 문화와 가치에 대해 학습하는 시간을 가졌다. 다문화역량 수업은 학습자들이 다문화에 비판적 행동과 다문화인들과 소통을 할 수 있도록 신문, 뉴스, 법 만들기 등을 통해 진행하였다. 다문화리터러시 교육은 동화주의에서 벗어나서 학습자들이 자신의 문화에 긍정적인 정체성을 형성하는 동시에 타인의 문화도 자신의 문화와 같은 위치로 바라보는 인식, 태도, 가치를 지향하는 상호문화주의적 교육이 되어야 한다[16,17].

따라서 전통적인 교사, 교과서, 강의 중심적 교육이 아닌 학습자들의 각각의 문화와 특성을 존중하는 교육내용을 수업에 적극적으로 반영해야 하고 다문화에 대한 지식 학습에 끝나지 않고 실천으로 이어질 수 있는 학습 환경이 필요하다. 전통적인 교사 중심의 주입식 교육에서 벗어나 학습자들이 스스로 학습하는 학습자 중심의 학습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므로 학습자들의 경험과 이해 과정을 통해 학습자가 학습하는 실제적, 협동학습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3. 청년의 다문화리터러시 프로그램

본 연구에서는 부산 청년들의 다문화리터러시 프로그램에 참여한 결과로서 수료한 청년들에 한해서 인식 변화와 프로그램 개선사항을 알아보기 위해 다문화 감수성 조사 및 심층 인터뷰를 시행하였다. 4명의 유치원선생님과 한국어강사와 일반 학습자들의 심층 인터뷰 및 만족도 조사를 수집하여 자료 분석에 활용하였다.

다문화리터러시 프로그램 첫 수업에서 학습자들의 다문화 감수성 정도를 확인해보고 수업이 커리큘럼 레벨을 측정하기 위해 진행했다. 수업에 참여한 학습자들 중 검사를 거부하는 학습자들을 제외하고 총 22명이 검사하였다. 참여자 22명을 대상으로 다문화 감수성 점수를 알 수 있는 척도 검사지를 활용하여 총 25문항으로 ‘매우아니다’, ‘아니다’, ‘보통이다’, ‘그렇다’, ‘매우그렇다’로 1~5점으로 나누어 체크하도록 하였다. 다문화 감수성 척도 검사지는 1. 다문화인식, 2.다문화 수용적 태도, 3.다문화역량으로 3항목을 나누어 조사하였다[18]. 다문화 인식은 타문화에 대한 지식 습득영역이며 다문화 수용적 태도는 타 문화권 사람들에게 학습자들의 문화와 가치 등을 인정하는 문항들로 구성하였으며 다문화적 역량은 학습자들이 다문화 활동가로 활동했을 때 갖춰야 하는 역량들에 대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19].

다문화 인식에 관한 항목은 다음 Table 5 다문화 인식과 같다.

Table 5. Multicultural Awareness.

MTMDCW_2021_v24n11_1567_t0005.png 이미지

Table 5의 다문화 인식 항목의 22번~25번 문항은 타 문화권에 대한 축제, 인사방법, 종교, 생활에 대한지식 부분을 아는지 질문하고 있음 대부분 ‘매우아니다’, ‘아니다’, ‘보통이다’ 라고 알고 있는 다른 나라의 문화는 없다고 답변하였으나 실제로는 타문화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가지고 있었으며 기회가 없었다고 답변하였다. 다문화에 대한 수용적 태도는 학습자가 다문화를 긍정적으로 바라보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문항과 다른 문화에 대한 자신의 시각을 점검하기 위한 문항들로 구성하였다. 다문화에 대한 수용적 태도는 다음 Table 6과 같다.

Table 6의 다문화 수용적 태도 9, 10번 문항을 통해 자신이 다문화 사람들을 접했을 때 느낄 수 있는 감정에 대한 반응을 보았을 때 9번 ‘그렇다’가 11명, ‘매우그렇다’ 11명으로 10번은 ‘그렇다’가 10명, ‘매우 그렇다’ 12명으로 모두 ‘그렇다’와 ‘매우그렇다’가 높게 나타났다. 조사 결과 대부분의 학습자가 타 문화권 사람들과의 접촉은 두렵고 피하고 싶은 일이 아니라 긍정적인 일이라고 생각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7번은 ‘그렇다’가 13명, ‘매우그렇다’ 15명으로 나타난 결과를 통해서 청년들이 직업이나 진로를 정할 때 다양한 문화권의 사람들과 소통할 기회를 원한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Table 6. Receptive Attitude towards Multiculturalism.

MTMDCW_2021_v24n11_1567_t0006.png 이미지

다문화역량 항목은 다문화 활동가 또는 다문화 시민이 될 때 필요한 역량들에 대해서 알아보기 위해 학습자들이 다문화역량을 파악하기 위한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다문화 활동가로서 필요한 다문화역량은 다음 Table 7과 같다[20,21].

Table 7. Multicultural competency.

MTMDCW_2021_v24n11_1567_t0007.png 이미지

Table 7은 다문화역량을 측정하기 위한 문항들로 학습자들이 다문화 활동가로 사회에서 다문화와 관련된 활동을 진행할 경우 필요한 전문가의 역량과 자질에 질문하고 있다. 문항 2번은 ‘그렇다’가 8명, ‘매우그렇다’ 14명으로 다문화를 접하는 학습자들을 대하는 교사 즉 전문가는 다문화에 대한 문화적 이해와 문화인지가 필요하다고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므로 다양한 문화를 접하고 인지하는 태도를 학습하도록 커리큘럼을 조정하였다. Table 8은 다문화 감수성 척도 문항 조사 결과이다[22].

Table 8. Results of Multicultural Susceptibility Item Survey.

MTMDCW_2021_v24n11_1567_t0008.png 이미지

Table 8은 참여자들의 응답 결과를 통해 부산 청년들이 다문화, 외국인들에게 가지고 있는 생각의 틀을 알 수 있었다. 응답 결과를 통해 다문화 리터러시프로그램을 수정하여 학습하였다. 청년 학습자들이 다양한 문화를 접하는 것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타문화권과의 소통의 기회를 희망했기 때문에 다양한 문화권 배경을 가진 교사들을 초청하여 학습자들이 원하는 소통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서 캐나다, 이슬람, 일본 등 다양한 문화권 나라에 대해서 자유롭게 소통할 수 있도록 커리큘럼을 조정하고 강의를 진행하였다[23,24].

4. 청년의 다문화리터러시 프로그램 만족도 및 실습

다문화리터러시 프로그램 20시간 수료 후 참여 학습자들의 만족도 조사를 시행하였고 참여한 학습자 총 22명 중 중도 탈락 6명을 제외한 총 16명이 만족도 조사에 참여하였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습자들의 이유로는 자기계발 및 업무능력 향상을 목적으로 다문화 사회인으로서 역량을 갖추기 위해 참여한 학습자의 12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두 번째로 타인의 권유 친구나 교수님의 추천으로 참여한 학습자가 3명 그리고 이직하기 전 경험을 위해 참여한 학습자 1명 총 16명이 만족도 조사에 응해주었으며 나머지 6명은 중도 탈락하였다. 학습자들의 다문화리터러시 프로그램 교육 참여 목적은 다음 Table 9와 같다.

Table 9. Purpose of participation in education.

MTMDCW_2021_v24n11_1567_t0009.png 이미지

학습자들이 프로그램에 다양한 목적을 가지고 참석하였으며 10회 프로그램에 부족함과 학습자들의 목적을 달성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나머지 다문화 리터러시 교육만족도 항목은 총 5항목으로 교육과정, 수업, 교육지원, 취업지원, 종합으로 총 15문항으로 진행하였다. 교육과정에서는 교육의 적합성, 커리큘럼에 대한 만족도로 진행되었고 대부분 긍정적으로 답했으며 수업은 수업목차, 관리 수업인원에 대한만족도 조사를 했다. 다음 Table 10은 16명의 학습자의 다문화리터러시 프로그램 만족도 조사를 요약해놓았다.

Table 10. Satisfaction with Multicultural Literacy Curriculum.

MTMDCW_2021_v24n11_1567_t0010.png 이미지

Table 10은 다문화리터러시 프로그램의 교육과정에 대한 학습자들의 만족도를 조사한 내용으로 2번 문항에서 10명의 학습자가 ‘매우그렇다’ 3명 ‘그렇다’ 라고 답변하였으며 나머지 3명 또한 ‘보통이다’로 다문화 리터러시 프로그램 내용이 현장에서 활용도가 높다고 긍정적으로 답변하였다.

참여자 중 교사인 유치원선생님인 경우 “ 다 같은 생각, 생활을 하는 사람은 없습니다. 문제가 되는 것은 ‘다름’이 아니라 ‘다름’을 ‘틀림’으로 인식하는 것이 아닐까요? 화음으로 노래가 어우러지듯 서로 다른 사람들이 모여 더 좋은 세상이 되길 바라봅니다.”, “다문화에 대해서 새로운 점을 알 수 있었다.” 라고 답변하였다. 다음 Table 11은 다문화리터러시 프로그램 수업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한 내용이다.

Table 11은 문항 5번의 교육과정에 맞춰 수업이 충실히 진행되었는지에 대한 질문에 12명이 매우 그렇다고 답변했으나 나머지 4명 또한 그렇다고 답변하여 다문화리터러시 프로그램이 학습자들에게 처음 제시되었던 내용에 맞춰 충실히 진행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able 11. Satisfaction with Multicultural Literacy Classes.

MTMDCW_2021_v24n11_1567_t0011.png 이미지

학습자들의 답변에서는 “다문화리터러시 프로그램이 10주차가 아닌 훨씬 길었으면 좋겠다”, “청년들을 대상으로 진행된 다문화리터러시 프로그램이 종료되더라도 다문화리터러시 프로그램이 꾸준히 수업을 해줬으면 좋겠다” 등과 같은 답변결과 대부분의 학습자들이 10회의 프로그램으로는 프로그램 횟수가 부족하다고 느끼고 있었으며 프로그램 연장을 바라고 있었다. Table 12는 다문화리터러시 프로그램의 교육지원 만족도에 대한 조사결과다.

Table 12. Satisfaction with multicultural literacy education support.

MTMDCW_2021_v24n11_1567_t0012.png 이미지

Table 11은 다문화리터러시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동안 학습자가 다양한 다문화학습 활동을 하는 동안 필요한 자료나 수업에 대한 지원이 원활하게 되었는지에 대한 영역의 모든 문항에 대한 답변이 긍정적으로 나타났지만 9번의 문항의 만족도가 매우 높았다. 16명 중 15명이 ‘매우그렇다’, 1명 ‘그렇다’ 라고 긍정적으로 답변하였다. “다문화에 대한 다양한 체험과 지식을 넓혔다.”, “다문화 인식에 대해 생각을 해 볼 수 있었다.” 라고 응답하였다. 응답 결과는 다문화 리터러시 프로그램을 진행할 때 학습자가 원하는 문화권의 교사들을 미리 조사하여 일본, 캐나다, 이슬람 등의 문화에 대한 수업과 진로 및 진학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따라서 학습자들의 교육지원의 만족도가 높은 이유는 학습자가 요구하는 관련자료, 전문가 연결, 상담 등을 제공한 결과로 추측된다[25,26]. 다음 Table 13은 다문화리터러시 프로그램의 취업 지원 만족도에 대한 결과이다.

Table 13. Multicultural Literacy Job Support and Overall Satisfaction.

MTMDCW_2021_v24n11_1567_t0013.png 이미지

취업지원은 취업을 위한 역량증진이 되었는지, 현장과 연계가 되었는지, 참여자들의 경쟁력이 향상되었는지 조사한 결과 “다양하게 실습을 할 기회가 있었으면 좋겠다.”라고 응답한 학습자들 중에 다문화 관련으로 취업 및 직업을 생각하고 있는 참여자들에게는 희망하는 학습자에 대해 한정해서 실습연계 과정으로 다문화 관련 기관과 연계하여 직접 다문화 활동가가 되어서 다문화 수업을 진행해보도록 하였다. 코로나 19의 재 확산 영향으로 모든 청년학습자들이 실습을 진행하지는 못했지만 많은 학습자들이 실습을 진행하였고 직접 다문화현장을 경험해 볼 기회를 제공하였다. 다문화리터러시 수업과 활동을 통한 만족도를 종합으로 조사하였고 ‘매우 그렇다’가 13명, ‘그렇다’ 3명, ‘보통이다’ 1명으로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그러나 모든 학습자들이 만족을 나타내지 않았다. 개선사항으로 건의한 내용은 Table 14와 같다.

Table 14. Multicultural Literacy Program Improvements.

MTMDCW_2021_v24n11_1567_t0014.png 이미지

Table 14와 같이 요청받았으며 실습과 연계학습의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수업이 조금 더 길었으면 좋겠다.”, “직접 한국의 다문화가족을 만나봤으면 좋겠다.” “‘다문화리터러시 프로그램 종료 후에도 지속적으로 수업이 진행되었으면 좋겠다.”, “하루 4시간 활동 수업은 조금 힘들었다.” 등으로 다문화 리터러시 프로그램이 종료되었어도 다문화 수업을 받을 기회를 원하는 청년학습자들이 많이 있었으며 이론적 수업보다는 학습자들 자신이 스스로 실습과 체험을 하고 수업과 관련된 내용을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연계프로그램을 원하였다.

학습자들의 만족도와 심층인터뷰를 통해 학습참여자들이 다문화란 것을 주입식 교육인 이론으로만 다문화를 접하는 것뿐만 아니라 현실에서 경험하고 체험하여 자신이 이해하고 체득하는 기회와 교육이 필요하다. 참여자의 직업군이 한국어교사, 유치원 교사일수록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으며 실습과 프로그램 지속을 원하였다. 교사들은 현장에서 직접 다문화인들을 접하고 있으며 유치원교사, 한국어교사는 한국어 부족으로 인해 겪는 직업적 어려움들을 겪고 있어 추가적 교육과정 개발에 관심을 보였다. 그러므로 다문화 리터러시 교육과정도 다양한 대상이 수업을 듣고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도록 주입식이론 위주의 수업이 아닌 이론+체험 혼합형 교육과정이 개발되어야 한다[27,28].

5. 결론

한국은 저출산 고령화로 내국인의 인구는 감소하고 외국인의 인구는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어 내국인들은 다문화인들과 어울려 살아갈 수 있도록 다문화에 대한 지식과 역량을 갖추고 다문화사회를 맞이할 준비가 필요하다.

부산 청년 22명을 대상으로 총 10회 20시간 프로그램을 진행하였으며 다양한 문화와 다문화인으로서 살아가기 위해 자신의 시각을 알고 타인의 시각을 알아볼 수 있는 활동지 등을 사용하여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주입식 교육이 아닌 다문화를 직접 경험해보고 싶은 학습자들에게 다문화리터러시 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다문화역량 증진을 위해 인식, 수용성, 역량으로 항목으로 나누어 목표와 교육내용을 설정하였고 커리큘럼을 구성하였다. 학습자들이 자신의 시각과 타인의 시각의 차이를 알 수 있도록 활동지를 통해 의견을 교환 활 수 있도록 했으며 수용성 수업은 학습자들의 문화와 다양한 문화권 교사들과의 문화교류를 통해 서로의 문화와 가치에 대해 학습하는 시간을 가졌다. 다문화역량 수업은 학습자들이 다문화에 비판적 행동과 다문화인들과 소통을 할 수 있도록 신문, 뉴스, 법 만들기 등을 통해 진행하였다.

다문화 인식에 대한 조사결과로 타문화권에 대한 축제, 인사방법, 종교, 생활에 대한 지식 부분에 관한 부정적으로는 대답했지만 문화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가지고 있었으며 접할 기회가 없었다고 답변하였다. 다문화 수용적 태도 조사 결과에는 대부분의 학습자가 타문화권 사람들과의 접촉은 두렵고 피하고 싶은 일이 아니라 긍정적인 일이라고 생각하고 있음이 나타났으며 다문화역량 조사 결과에서는 청년 학습자들이 다양한 문화를 접하는 것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타문화권과의 소통의 기회를 희망했다. 학습자들의 희망에 따라 다문화리터러시 교육과정을 설계 진행하였으며 수업 마지막에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학습자들의 다문화리터러시 프로그램교육 참여 목적으로는 자기계발 및 업무능력 향상을 목적으로 다문화 사회인으로서 역량을 갖추기 위해 참여한 학습자 가장 많았으며 다문화리터러시 프로그램의 교육과정에 대한 학습자들의 만족도를 다문화 리터러시 프로그램 내용이 현장에서 활용도가 높다고 긍정적으로 답변하였다. 교육과정에 맞춰 수업이 충실히 진행되었는지에 대한 질문에 대다수가 매우 그렇다고 답변한 결과를 통해 학습자들에게 처음 제시되었던 내용에 맞춰 충실히 진행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학습자들이 10회의 프로그램으로는 프로그램 횟수가 부족하다고 느끼고 있었으며 프로그램 연장을 바라고 있었다. 다문화리터러시 프로그램의 취업지원 만족도에 대한 결과로는 많은 학습자들이 실습을 진행하였고 직접 다문화현장을 경험해 볼 기회를 제공하였다. 이와 같은 수업과 활동을 통한 만족도를 종합으로 조사하였고 ‘매우그렇다’ 가 13명, ‘그렇다’ 3명, ‘보통이다’ 1명으로 취업 지원과정에 매우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이론 및 주입식 교육이 아닌 학습자위주로 진행한 다문화 리터러시 프로그램을 통해 첫 번째, 주입식 교육이 아닌 학습자 주도적인 수업의 교육과정이 필요하다. 많은 청년학습자들이 다문화에 대한 이론 위주의 주입식 수업보다는 본인들이 다문화에 관련된 자료 및 다문화인들과 접촉하는 경험들을 통한 수업에 대한 이해도가 좋았다. 두 번째, 청년, 성인, 교사들을 대상인 다문화 리터러시 교육과정이 필요하다. 현재 국내의 다문화 교육은 교육과정안에서 진행되고 있지만 실제적으로 다문화를 접하고 있는 대학생, 청년, 성인, 교사들을 대상으로 다문화 교육이 부족하여 문화 차이로 유학생, 외국인근로자, 결혼이주민, 다문화 자녀들과 갈등이 생기며 이들을 위한 다문화리터러시 교육이 필요하다. 세 번째, 다문화인식개선 및 실습을 통해 앞으로 증가할 다문화기업에서 다문화인재 즉 핵심 인물로 성장할 수 있는 역량증진이 필요하다. 다문화와 내국인과의 갈등은 주로 문화차이와 타문화에 대한 가치의 이해 충돌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갈등을 줄여줄 수 있는 다문화 활동가 양성 또는 다문화역량증진의 교육이 필요하다.

따라서 시대 상황에 맞는 다문화역량증진을 위해 학습자 중심의 교육과 다문화 활동가로 활동할 수 있도록 다문화에 대한 교육과정의 개발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References

  1. B.A. Kang, Current Status and Tasks of Multicultural Awareness Improvement Project of Seoul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2019.
  2. Y.J. Hong, A Study on the Multicultural Receptivity of University Students, Doctoral dissertation, Honam University, 2014.
  3. J.A. Banks, An Introduction to Multicultural Education(2nd Ed.), M,A.: Allyn & Baco. 1994.
  4. H.J. Kang and Ch.Y. Kim, Analysis of Multicultural Factors in Integrated Textbook for Elementary School- Around the First and Second Grades,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Vol. 21, No. 10, pp. 1221-1235, 2018. https://doi.org/10.9717/KMMS.2018.21.10.1221
  5. O.K. Kwon, E.S. Choi, et al.,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Scale for Adaptation to Korean Culture for Foreign Students, 2015 University Specialization Project Results Report, Busan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Multicultural Creative Talent Cultivation Project Team, 2016.
  6. P.J. Kim, "The Task of Multicultural Policy in Preparation for the Low Birth Rate and Aging Society," Multiculturalism and Peace, Vol. 6, No. 2, pp. 37-62, 2012. https://doi.org/10.22446/mnpisk.2012.6.2.002
  7. Y.J. Kim, The Effect of Youth Multicultural Education and Experiences on Citizenship, Master's thesis, Myongji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19.
  8. C.S. Park, A Study on the Effects of Multicultural Contact and Multicultural Education Experiences of Prospective Korean Language Teachers on Multicultural Sensitivity,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yonggi University, 2016.
  9. L.S. Kim, et al., 2018 National Multicultural Receptivity Survey, Ministry of Gender Equality, Seoul, 2019.
  10. H.J. Oh, A Study on Policy Improvement of Multicultural Families by Analyzing the Effects of Multicultural Youth's Cultural Adaptation on School Life, PhD thesis, Chongshin University General Graduate School, 2020.
  11. T.Y. Yoon and E.H. Lee, "Awareness of College Students about the Multicultural Curriculu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fe Science, Vol. 20, No. 1, pp. 273-284, 2011.
  12. I.S. Lee, Analysis of the Effects of Diversity in Higher Education on the Multicultural Attitudes of University Students,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18.
  13. J.G. Lee, "Exploring the Direction of Korean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in the Future Society," Education and Culture Research, Vol. 24, No. 1, pp. 549-567, 2018. https://doi.org/10.24159/joec.2018.24.1.549
  14. J.M. Lee, "Analysis of Multicultural Education Patterns for Children of Migrant Workers," Educational Issues Research, Vol. 26, No. 2, pp. 49-76, 2013.
  15. I.S. Jang and W.I. Lee, "University Students' Multicultural Awareness and Attitude Toward Immigration Human Rights Policy," Local Government Studies, Vol. 15, No. 4, pp. 177-199, 2011.
  16. J.H. Jang, A Study on the Change in Perception of Koreans and Their Conditional Factors Through Contact Experience with Multicultural People,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yonggi University, 2014.
  17. J.H. Jung, Y.S. Kim, and J.H. Hong, "A Study on Multicultural Awareness of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Multicultural Literacy Education Program," Open Education Research, Vol. 22, No. 2, pp. 19-41, 2014.
  18. H.W. Jung,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University Students' School Adjustment: Focusing on Socio-Psychological Factors,"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Vol. 24, pp. 83-101, 1996.
  19. Y.N. Choi,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Multicultural Sensitivity of School Social Workers, Master's thesis, Soongsil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15.
  20. E.S. Choi, "Analysis of Foreign Students' Adaptation to Korean Culture and Learner Needs," Korean Language and Culture, Vol. 14, No. 1, pp. 223-251, 2017. https://doi.org/10.18842/klaces.2017.13.1.9
  21. T. Pyun and S.Y. Kim.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the Multicultural Society of College Students in the Reflection Journal of a Multicultural Education Class Based on a Team Project," Research on Learner-Centered Curriculum Education, Vol. 16, No. 11, pp. 1137-1164, 2016.
  22. H.W. Han,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ools for Measuring Multicultural Competence: Focusing on Lifelong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Culture and Arts Education Research, Vol. 6, No. 2, pp. 63-82, 2011.
  23. N.S. Hyun, "A Case Study of Presentation- Discussion Classes for Fostering Multicultural Citizenship," Liberal Education Research, Vol. 9, No. 3, pp. 343-368, 2015.
  24. S.Y. Hong,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Public's Perception of Multiculturalism on the Acceptance of Social Integration Policies, Master's thesis, Sungkyul University Prime Graduate School, 2018.
  25. J.A. Banks, Teaching for Multicultural Literacy, Global Citizenship, and Social Justice, Fowler Colloquium University of Maryland, College Park, 2003.
  26. C. Holcomb-McCoy, and J. Myers, "Multicul-Tural Competence and Counselor Training: A National Survey," Journal of Counseling & Development, Vol. 77, No. 3, pp. 294-302, 1999. https://doi.org/10.1002/j.1556-6676.1999.tb02452.x
  27. Ministry of Education, 2020 Multicultural Support Plan, https://blog.naver.com/moeblog/221884962000 (accessed March 18, 2021).
  28. Education Statistical Service Status of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by Year, https://kess.kedi.re.kr/index (accessed March 18, 2021)
  29. Discrimination that started in 'Ganada' 'Multiculturalism' fosters alienation, bullying and hatred,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91007006026 (accessed March 18,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