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the Creative Application of Performing Arts Archives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공연예술아카이브와 창조적 활용

  • Received : 2018.11.29
  • Accepted : 2019.01.07
  • Published : 2019.01.25

Abstract

Performing arts is an intangible arts that disappears immediately at the moment it is presented and remains only in the memory of the performer's body and audience. The same repetition, restoration and reproduction of the disappeared performance is impossible, but artists of all times and places have tried various recording methodology to leave their performances in the tangible form. The performing arts archive is where performing arts are recorded, preserved, and utilized.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library institutions in developed countries are turning into institutions that support creative activity by not only artists but also the general public. Korea's performing arts archives should also shift from the role of an old archive to a platform to create new cultural contents. This paper summarizes the changes in the Korean performing arts archive and presents the creative application of the performing arts archive in response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공연은 현시되는 순간에 즉시 소멸하며, 오직 공연자의 몸과 관객의 기억 속에서만 남는 무형의 예술이다. 사라진 공연의 동일한 반복, 복원, 재현은 불가능하지만,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예술가들은 자신들의 공연을 유형의 형태로 남기고자 당대 첨단의 기술을 동원하여 다양한 기록술(記錄術)을 시도해왔다. 이러한 기록술로 공연예술을 보존 및 활용하는 곳이 공연예술아카이브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선진국들의 라이브러리 기관들은 예술가들뿐만 아니라 일반인들의 창조적 행위를 후원하는 기관으로 변모하고 있다. 한국의 공연예술아카이브 기관들 또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발맞추어 공연자료를 보존하고 서비스한다는 고루한 사료보관소의 역할에서 벗어나서 새로운 문화콘텐츠를 창제하는 플랫폼으로 변환해 가야 할 것이다. 이 논문은 한국 공연예술아카이브의 변화양상을 요약하고,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응하는 공연예술 아카이브의 창조성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최해리, 예술기록관리 전문 인력 양성의 필요성, 국립예술자료원 개원 기념 세미나, 2011.
  2. 최해리, 문화콘텐츠의 창제적 원천으로서의 공연예술자료: 춤 사례를 중심으로, 국립국악원 국악아카이브 포럼, 2016.
  3. 최해리, 4차 산업혁명 시대와 무형문화유산의 활용 가능성 모색, 한국박물관학회 국제학술대회, 2017.
  4. 최해리, <4차 산업혁명과 공연예술>, <<대전국악방송 대담자료>>, 2017.
  5. 사리 펠드먼, <디지털체험장.강의실...도서관 변해야 산다.>, <<중앙일보>> 2016. 11.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