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수자 문학과 문학교육의 과제

Deleuze and Guattari's Death, the Minor Literature and the Minor Philosophy of Education

  • 투고 : 2019.11.16
  • 심사 : 2019.12.27
  • 발행 : 2019.12.31

초록

생성의 입장에서 바라보는 죽음은 소수 교육철학의 형성에 기여한다. 소수 문학에 대한 탐구는 이 관계를 확고하게 해준다. 들뢰즈와 가타리의 소수 문학이란 소수 언어로 쓰인 문학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소수자들이 다수언어로 만들어내는 문학을 말한다. 그들은 카프카의 작품들을 그 전형으로 내세운다. 카프카의 작품들은 궁극적으로 이 생성(devenir)으로서의 죽음을 말한다. 죽음과 소수 문학은 강도(intensité)라는 이론적 도구를 공유함으로써 서로를 전제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소수 교육철학은 이런 주장을 좇아 그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는 잘 포장된 상품으로서의 지식을 전달하는 일에만 만족하는 현대 교육철학자들의 정체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특정한 방식으로만 철학자들을 독해하도록 강요하는 주류 교육철학에 맞선다. 우리는 이 가능성을 정동(affect)으로서의 언어에 입각한 교육활동을 통해 제기해 볼 수 있다.

This essa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death and the minor literature and the minor philosophy of education. Deleuze and Guattari conceive death as the source of question and the problem. Death overcomes Freud's death-drive and is conceived as the universal event. Then, death is understood as the essential problem, the condition of thought about life, and the paradox of actuality. On the other hand, their minor literature is able to figure in Kafka's works, Metamorphosis and so on, excellently. Deleuze and Guattari argue that Kafka's works push ahead to the edge of the deterritorization. Their argument on the minor literature has the following three characteristics: first, the territorization of the language; second, the directional connection between the individual and the social; third, the collective arrangement of the statement. Death and the minor literature share the "intensity" as the theoretical tool and thus presuppose each other. From this, we are able to draw the possibility of the minor philosophy of education. It makes a crack on the major philosophy of education, exposing the limitation of the doctrines. In other words, the major philosophy of education enforces the reading of grand philosophers by the defined ways only. Instead, Deleuze and Guattari show the creative way through their research of the history of philosophy and extend the field of thought. In following this way, we can repeat the novel in the philosophy of education also. In this essay, we examine their "affect" for the possibility.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선보(2003). 실존주의 철학에서 본 죽음과 교육. 교육문제연구 19. 1-22.
  2. 박규현(2002). 블랑쇼, 죽음의 시학. 프랑스학연구 22. 201-222.
  3. 오순희(2010). 카프카의 사냥꾼 그라쿠스에 나타난 죽음의 문제. 카프카연구 23. 23-42.
  4. 이유선(2004). 디지털 다매체 시대의 글쓰기 전략: 카프카 형상언어를 중심으로. 카프카연구 12. 247-270.
  5. 이정우(2004). 들뢰즈: 죽음은 自然으로의 회귀이다. 철학, 죽음을 말하다. 서울: 산해. 263-284.
  6. 이정우(2008). 천 하나의 고원: 소수자 윤리학을 위하여. 파주: 돌베개.
  7. 江川隆男(2005). 死の哲學. 東京: 河出書房新社.
  8. Arcilla, R. V.(2002). Why Aren't Philosophers and Educators Speaking to Each Other?. Educational Theory 52(2). 1-11. https://doi.org/10.1111/j.1741-5446.2002.00001.x
  9. Cole, D. R.(2011). The Actions of Affect in Deleuze: Others using language and the language that we make…. Educational Philosophy and Theory 43(6). 549-561. https://doi.org/10.1111/j.1469-5812.2009.00604.x
  10. Cutler, A. & MacKenzie, I.(2011). Bodies of Learning. Guillaume, L. & Hughes, J.(Ed). Deleuze and the Body. Edinburgh: Edinburgh University Press. 53-72.
  11. Deleuze, G.(1968). Difference et Repetition. Paris: PUF. 김상환 역(2004). 차이와 반복. 서울: 민음사.
  12. Deleuze, G.(1993). Critique et Clinique. Paris: Minuit. 김현수 역(2000). 비평과 진단. 고양: 인간사랑.
  13. Deleuze, G & Guattari, F.(1975). Kafka: Pour Une Litterature Mineure. Paris: Minuit. 이진경 역(2001). 카프카: 소수적인 문학을 위하여. 서울: 동문선.
  14. Deleuze, G & Guattari, F.(1980). Mille Plateaux: capitalisme et schizophrenie2. Paris: Minuit. 김재인 역(2001). 천 개의 고원: 자본주의와 정신분열증2. 서울: 새물결.
  15. Deleuze, G & Guattari, F.(1991). Qu'est-ce que la philosophie?. Paris: Minuit. 이정임․윤정임 역(1995). 철학이란 무엇인가?. 서울: 현대문학사.
  16. Gregoriou, Z.(2004). Commencing the Rhizome: Towards a minor philosophy of education. Educational Philosophy and Theory 36(3). 233-251. https://doi.org/10.1111/j.1469-5812.2004.00065.x
  17. O'Sullivan, S.(2006). Art Encounters Deleuze and Guattari: Thought Beyond Representation. New York: Palgrave Macmillan.
  18. Pearson, K-A.(1997). Viroid Life: Perspectives on Nietzsche and the Transhuman Condition.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19. Pearson, K-A.(1999). Germinal Life: The difference and repetition of Deleuze.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이정우 역(2005). 싹트는 생명: 들뢰즈의 차이와 반복. 서울: 산해.
  20. Rosanvallon, J. & Preteseille, B.(2009). Deleuze & Guattari à Vitesse Infinie. Ollendroff & Desseins. 성기현 역(2012). 들뢰즈와 가타리의 무한 속도. 파주: 열린책들.
  21. Villani, A et Sasso, R.(2003). Le Vocabulaire de Gilles Deleuze. Paris: Revue Noesis.신지영 역(2012). 들뢰즈 개념어 사전. 서울: 갈무리.
  22. Williams, J.(2003). Gilles Deleuze's Difference and Repetition: a Critical Introductionand Guide. Edinburgh: Edinburgh University Press. 신지영 역(2010). 들뢰즈의차이와 반복: 해설과 비판. 서울: 라움.
  23. Williams, J.(2011). Never Too Late?: On the Implications of Deleuze's Work on Deathfor a Deleuzian Moral Philosophy. D, W, Smith(Ed). Deleuze and Ethics.Edinburgh: Edinburgh University Press. 171-1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