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소수 문학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4초

소수자 문학과 문학교육의 과제 (Deleuze and Guattari's Death, the Minor Literature and the Minor Philosophy of Education)

  • 윤승리
    • 한국교육논총
    • /
    • 제40권3호
    • /
    • pp.39-65
    • /
    • 2019
  • 생성의 입장에서 바라보는 죽음은 소수 교육철학의 형성에 기여한다. 소수 문학에 대한 탐구는 이 관계를 확고하게 해준다. 들뢰즈와 가타리의 소수 문학이란 소수 언어로 쓰인 문학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소수자들이 다수언어로 만들어내는 문학을 말한다. 그들은 카프카의 작품들을 그 전형으로 내세운다. 카프카의 작품들은 궁극적으로 이 생성(devenir)으로서의 죽음을 말한다. 죽음과 소수 문학은 강도(intensité)라는 이론적 도구를 공유함으로써 서로를 전제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소수 교육철학은 이런 주장을 좇아 그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는 잘 포장된 상품으로서의 지식을 전달하는 일에만 만족하는 현대 교육철학자들의 정체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특정한 방식으로만 철학자들을 독해하도록 강요하는 주류 교육철학에 맞선다. 우리는 이 가능성을 정동(affect)으로서의 언어에 입각한 교육활동을 통해 제기해 볼 수 있다.

  • PDF

주체와 타자의 존재방식과 재현 양상 -이탈리아 이주문학을 중심으로- (Il riassunto Aspetto di ricomparsa e maniera d'essere di gli altri e il soggetto -sulla letteratura italiana della migrazione-)

  • 김희정
    • 이탈리아어문학
    • /
    • 제32호
    • /
    • pp.23-48
    • /
    • 2011
  • Se siamo d'accordo la definizione di Deleuze e Guattari che la letteratura minore è la letteratura che costruisce una minoranza dentro la lingua maggiore, le scritture italofoniche sono la traduzione in pratica di un concetto della letteratura minore che fornisce modelli sostitutivi di espressione. Questa minoranza di bilingue, o più precisamente, multilingue autori e pratiche, acquisisce uno spazio dentro della cultura e la lingua italiana, che di conseguenza sono entrambi deterritorializzati. Lo stanziamento di italiano come lingua in cui sono scritti i testi italofonici richiede una pratica influenza linguistica e culturale. Questa ibridazione linguistica e letteraria riverbera la pluralità sociale presente nella moderna Italia, dove oltre un milione di immigrati provenienti da tutto il mondo vivono oggi. Questo collegamento tra il letterario e il sociale si diffonde il senso di deterritorializzazione linguistica per definire personificazioni di 'otherness', sia per i corpi degli immigrati stessi sia per la politica. I testi italofonici rapresentano contemporaneamente l'individuo e il collettivo, cioè, l'esperienza individuale e la vita delle comunità di immigrati.

일본 고소데(소수) 문양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History and Patterns of the Japanese Kosode)

  • 정혜란
    • 고문화
    • /
    • 62호
    • /
    • pp.87-112
    • /
    • 2003
  • 본 고찰은 일본복식 중 고소데(小袖)의 역사와 복식문양의 의미를 알아보고자 했다. 현재 입고 있는 기모노의 원형은 헤이안(平安)시대 상류층에서 착용되었던 고소데에서 비롯되며 오닌(應人)의 난 이후 모든 계층이 입는 복식이 되었다. 원래 아무 장식이 없는 속옷이었던 고소데는 겉옷이 되어감에 따라 점차 화려한 장식이 생기게 되었고 하나의 예술작품으로 완성되어 갔다. 고소데의 문양에는 다양한 일본문화의 상징이 나타나 있다. 자연에서부터 일상생활 용품, 전설, 문학에 이르기까지 풍부한 소재를 일본 특유의 고유함과 예술적인 감성으로 표현했다.

  • PDF

아프로퓨처리즘 : 문화, 기술 그리고 연대의 상상력 (Afrofuturism : Culture, Technology and Imagination of Solidarity)

  • 한창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99-104
    • /
    • 2023
  • 본 연구는 아프로퓨처리즘에 대한 1) 이론적 고찰을 통해 지금까지 논의된 정의를 정리하여 보고, 2) 탐색적 사례연구를 통해, 3) 미래 기술 발전의 지향점과 관련해서 갖는 의의를 도출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먼저 아프로퓨처리즘에 관한 이론적 배경 및 개념적 논의를 살펴보고, SF문학·음악·미술 분야의 작품을 분석했다. 옥타비아 버틀러(Octavia Butler)의 SF문학은 노예제도의 과거를 들추어 세상과 마주하게 함으로써 타자화된 억압으로부터 흑인 자신들을 해방해야 한다는 사상을 확인케 한다. 자넬모네(Janelle Monae)의 음악은 기술을 통해 소수자가 외부와 관계맺을 수 있는 해방된 유토피아를 제시한다. 또한, 장 미셸 바스키아(Jean-Michel Basquiat)의 미술 작품은 흑인 예술인으로서 지금까지 배제되었던 흑인의 정체성을 재해석하고 나아가 확장된 공동체적 논의를 모색한다. 이와 같은 그들의 작업에 비추어, 본 논문은 아프리카 휴머니즘의 내재된 가치들이 기하급수적으로 발전하는 기술의 발전 속 타자와 타자의 관계 맺음으로 생성되는 공진화(共進化)의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

모더니즘이 독립 게임에 미친 영향 - 인디게임<더 바인딩 오브 아이작> 분석 - (The Influence of Modernism on Independent Games - From an Analysis of -)

  • 곽대위;정진헌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6호
    • /
    • pp.385-390
    • /
    • 2017
  • 과학과 기술의 발전에 따라서 개인이나 소수의 팀 작업 제작방식으로 인디게임은 새로운 예술 창작수단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현재 출시되어진 인디게임 작품들에서 모더니즘을 포함하는 작품들이 계속해서 나오고 있다. 본문은 인디게임 < The Binding of Isacc >을 예로, 게임 시나리오, 디자인 스타일, 스테이지 분석을 통하여 서양 모더니즘문학, 미술, 영화의 특징과 표현 형태를 비교하고 모더니즘이 인디게임에 미치는 영향력을 연구한다. 또한 모더니즘 사조가 인디게임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탐구를 심도 있게 분석하고, 이를 통해서 생산력의 진보가 대중문화 발전에 기여한다는 점을 증명하고자 한다.

미국 소수인종 문학에 유머로 위장된 환상의 윤리학: 존 레기자모의 『괴물』 중심 연구 (Fantasy Ethics Disguised with Humor in American Minority Literature: John Leguizamo's Freak)

  • 김봉은
    • 영미문화
    • /
    • 제14권2호
    • /
    • pp.49-75
    • /
    • 2014
  • This paper argues that John Leguizamo disguises ethical intention with humor in his one-person show, Freak. The argument proceeds in three stages. First, on the basis of Slavoj ${\check{Z}}i{\check{z}}ek^{\prime}s$ theory that fantasies teach us how to desire discussed in The Sublime Object of Ideology, I analyze how and why Leguizamo exaggerates and thus de-constructs the ideological fantasies about Latin Americans in Freak. Through this analysis the ridiculous exaggeration of the fantasies and their deconstruction emerges as the means to surface the trauma caused by the fantasies, internally and externally curing and reconciling the audience. Second, I apply ${\check{Z}}i{\check{z}}ek^{\prime}s$ theory of the quilting point introduced in Looking Awry: An Introduction to Jacques Lacan through Popular Culture to reveal how "blots" in Freak form "black holes" in the audience's consciousness to smash their established view of the reality, inducing them to encounter with "the real." The investigation into Leguizamo's use of humor as the quilting point illuminates how he invites the audience to look awry beyond the popular fantasy at "the real" America. Third, on the ground of Emmanuel Levinas's theory that theaters are the space of ethics, namely "ethotopos" to emphasize responsible actions discussed in "Ethics as First Philosophy," I assert that Leguizamo disguises his ethical message with humor so as for the audience to recognize their responsibility for others in America and take action towards change.

웹툰의 영화화 트렌드에 대한 영화산업의 대중예술성 분석연구 (영화 "신과 함께(2017)"를 중심으로) (Analysis of popular artistry of film industry on the trend of filming of Webtoon (Focusing on "Along with the Gods(2017)"))

  • 이태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5호
    • /
    • pp.391-398
    • /
    • 2018
  • 웹툰의 영화화가 한국 영화의 주요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시점에서 웹툰을 원작으로 한 영화의 장 단점 및 대중 예술 작품으로서의 예술성을 분석하는 것은 현 한국 영화산업의 모습에 대한 분석임과 동시에 미래 발전방향에 대한 지표가 될 것이다. 현 대중문화가 본능적 감성에만 집중, 소모적인 콘텐츠들을 쏟아내고 있으며, 과거 문학, 미술, 역사, 민중의식 등의 반영 등으로 소수고급예술을 전승했던 대중문화예술에 대한 경험과 지식이 없는 젊은 세대는 무조건적으로 답습, 추종으로 일관하고 있는 것이 안타까운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영화 '신과 함께'를 중심사례로 웹툰의 구조 및 산업 분석, 영화 포맷으로의 전환과정에서 장, 단점 분석을 통해 이상적인 웹툰의 영화화 과정에 대한 방법론을 고찰할 것이다. 미디어와 테크놀로지의 빠른 변화에도 관객과 소통하고자 하는 본질은 불변할 것이며 그 본질의 설정과 표현에 있어 앞서 언급한 인문학적인 진정성에 입각한 고찰, 이상을 추구하는 작가의 전위적인 내적 필연성, 관습과 충돌함으로써 새로움을 창조하는 고급문화의 독창적인 성격의 반영 등이 대중문화에 있어 예술성을 함유시킬 수 있는 명제라고 할 수 있다.

미국의회도서관 주제명표목표의 한.중.일 관련 주제명표목의 변천과정 비교 분석 (A Comparative Study of Subject Headings Related to Korea, China, and Japan in the LCSH)

  • 김정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47-169
    • /
    • 2010
  • 이 연구는 LCSH에 수록된 주제명표목 가운데 한 중 일 관련 주제명의 변천과정 및 특성을 LCSH 초판 (1914)부터 제31판(2009)까지 종합적으로 비교 분석하여 <표 1>과 <표 2>에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LCSH 초판에서는 한 중 일 관련 주제명이 각각 4개, 49개, 24개였지만 제31판에서는 713개, 1,742개, 2,647개로 늘어났으며, 한국의 '6.25 전쟁'과 '3개의 국가명'(1948년 이전, 남한, 북한), 일본의 '사적'과 '다도', 중국의 '소수민족 관련 언어 및 문학'과 '무역' 등이 특징적인 주제명으로 나타났다. 한편 한국 관련 주제명이 누락되었거나 세목이 부족한 것은 전적으로 LC의 장서수집 정책과 관련이 있지만 필요한 한국 관련 문헌이 LC에 골고루 많이 수집될 수 있도록 기증을 하는 등 우리의 보다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PDF

민족적 관점에서 본 경성도서관(京城圖書館)의 사회교육과 독서운동 실태 및 의의 (A Study on Social Education, Reading Movement and Meaning of the Gyeongseong Library Which Observe From Ethnic Viewpoint)

  • 윤금선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375-407
    • /
    • 2009
  • 이 연구에서는 민족적 관점에서 경성도서관의 건립 의의를 살펴보고, 경성도서관의 사회교육 방향과 독서운동의 실태를 고찰하고자 했으며 다음과 같은 사실들을 살펴보았다. 첫째, 경성도서관은 당시 조선인이 경영했던 유일한 도서관이었을 뿐만 아니라 건립 초기부터 국내외 조선인에게 관심의 대상이었고 이의 유지를 위해 저널과 관민의 힘도 적지 않았다. 그 생명은 길지 않았으나 민족 지식의 보고이자, 민족 사업으로서 식민지하 조선인에게는 상징적으로 의미하는 바가 컸다. 둘째, 경성도서관은 우리나라의 최초의 공공도서관일 뿐 아니라 여자교육을 위한 강습소마련 및 부인강좌 개최, 야학 등을 실시했고, 아동을 위한 동화회 개최, 빈한한 가정의 아동에게 보통교육 실시, 기타 각종 문화 사업 등을 펼침으로써 여성교육과 아동교육에도 관심을 기울여 사회교육 기관으로서 기능하였다. 셋째, 당시 도서관의 독서경향을 살폈는데 열람 상황은 성별로는 남자가 대부분이며 여성 독자는 소수였고, 직업별로는 학생층이 최다였으며 독서 분야로는 문학, 어학 등이 가장 많이 읽힌 편이었다.

  • PDF

실코의 「이야기꾼」에 나타난 이야기의 집단적 힘 (The Collective Power of Story in Silko's "Storyteller")

  • 김지영
    • 영어영문학
    • /
    • 제55권2호
    • /
    • pp.293-314
    • /
    • 2009
  • Leslie Marmon Silko's Storyteller does not belong to a typical category of books, for it looks more like a family album with photographs, poems and Pueblo narratives as well as short stories authored by her. This 'book' without any chapters defies a traditional concept of books we are familiar with. In addition to refusing to be labelled as a conventional book, I argue, Storyteller defies the tradition of Western personal writing in that it shows the collective power of stories. That is, stories have the collective power which is impersonal beyond personal, internalized identity. It does not mean, however, the collective power comes from groups rather than individuals. It is not the conventional opposition of group and individual but that of group and collectiveness that matters here. I draw a distinction between group and collectiveness on the ground that the former actually groups individuals into categories with which individuals identify themselves. It is not group but collectiveness where stories find their power. "Storyteller," the first of eight short stories in the book, tells the story of an unnamed protagonist, a Yupik Eskimo girl, who takes revenge of her parents who died after drinking poisoned alcohol sold by a white storeman. There are four layers of stories in this short story. The first one is the old man's story of a blue glacier bear; the second one is a revenge story of the Yupik girl; the third one is a story told by the girl to the attorney after being arrested for the death of a storeman. And the final one is the story told to us by Silko, entitled "Storyteller." Although the structure of story within story resembles a technique of metafiction at a glance, it surely is a characteristic of Pueblo narratives in general, according to Silko. This kind of stories within stories refers to the collective power of story which, like a spider's web with many little threads radiating from the center and crisscrossing one another, is also a characteristic of stories on the Web to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