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들뢰즈·가타리는 훈련의 교육적 의미를 쇄신하였다. 그들에 따르면 '과격한 훈련'은 무의식과 의식을 관통하여 이루어진다. 수영 훈련 시 몸의 힘을 빼는 일은 의식적으로 노력한다고 달성되지 않는다. 그것은 신체를 움직이는 훈련의 과정을 통해서만 가능할 뿐이다. 이상의 주장에는 훈련에 관한 역사적 고찰이 갈마들어 있다. 고대 소크라테스는 진실 말하기를 유도하는 정신의 훈련과 몸을 건강하게 하는 신체 훈련을 구분함으로써 교육적 언어의 독자성을 확보하였고, 이는 오늘날에도 교육적 유산으로 계승되고 있다. 그러나 푸코가 제기한바, 근대 이래로 '규율훈련'형 사회에서 인간은 자발적 복종의 길에 들어섰다. 나아가 오늘날 '기능훈련'이라는 말조차 경영 언어로 대체된 바 우선 이를 극복할 이론적 논의가 요청된다. 이 지점에서 들뢰즈·가타리의 '전(前)인칭적 특이성들'에 입각한 '타자-되기'론은 정신의 훈련과 신체 훈련 간의 위계를 말소시킨다. 역설적이게도 이는 정신의 훈련을 '기능훈련'으로 흡수해 버린 근대적 사고를 전도시킴으로써, 소크라테스가 남긴 교육 언어로서의 훈련의 의미를 사유할 이론적 교두보로 기능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우리는 이 교육적 효과를 발판삼아 궁술(弓術)훈련의 교육적 가치를 음미할 수 있다. 궁술훈련은 엄격한 훈련과 명상을 관통하는 훌륭한 교육적 사례이다.
Deleuze and Guattari revive the educational meaning of training. For them, "a violent training" always penetrates unconsciousness and consciousness. For example, we can float on water only by swimming. There is a complex historical exploration on the subject of training. Socrates distinguishes the training of spirit from that of the body, so he secures the independence of educational language. This heritage continues to us until today. However, Foucault argues that, since the modern era, humans have accepted an active obedience by "disciplinary training". Nowadays, the term "skill discipline" is also reduced to business language, and we should overcome this situation. Deleuze and Guattari suggest a "becoming-other" argument predicated on "pre-conscious singularities" on this point. The training of spirit evolves in relation to a body and other circumstance for them. Therefore, the traditional hierarchy between spirit and body is erased in their argument. Ironically, this argument displays "educational effectiveness" to success Socrates's heritage subverting to the modern thinking of it. In conclusion, we can now rethink the educational value of training based on this effectiveness. Kyudo training is an excellent example of education through body and spir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