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소아 무화흡입요법의 효과 및 안전성에 대한 최신 중의학 임상 연구 고찰 - 2010년 이후 발표된 임상 연구 논문을 중심으로 -

A Review of Recent Clinical Researches in Chinese Medical Journal for Efficacy and Safety of Pediatric Herbal Medicine Inhalation Therapy

  • 박슬기 (경희대학교 대학원 소아과학교실) ;
  • 박소현 (경희대학교 대학원 소아과학교실) ;
  • 신동길 (인천롯데함소아한의원) ;
  • 이선행 (경희대학교 대학원 소아과학교실) ;
  • 이진용 (경희대학교 대학원 소아과학교실)
  • Park, Sul Gi (Department of Korean Pediatrics, Graduate School, Kyung Hee University) ;
  • Park, So Hyun (Department of Korean Pediatrics, Graduate School, Kyung Hee University) ;
  • Shin, Dong Gil (Incheon Lotte Hamsoa Korean Medical Clinic) ;
  • Lee, Sun Haeng (Department of Korean Pediatrics, Graduate School, Kyung Hee University) ;
  • Lee, Jin Yong (Department of Korean Pediatrics, Graduate School, Kyung Hee University)
  • 투고 : 2019.07.26
  • 심사 : 2019.08.20
  • 발행 : 2019.08.31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linical studies on the efficacy and safety of herbal medicine inhalation therapy in children by analyzing recent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conducted in China. Methods We searched the clinical studies from the China Academic Journal (CAJ) in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CNKI) using a by key word '霧化吸入' and specific criteria from 1st January 2010 to 2nd July 2019. Data regarding years of publication, demographic information, target diseases or symptoms, treatment methods, outcome measure, results and adverse events are collected for this study. Results Total of 44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were selected and analyzed. Respiratory diseases and symptoms (84.1%) were the most frequent target diseases that herbal medicine inhalation therapy was used. Acute stomatitis was another disease state that the therapy was used. In most of the studies, the herbal medicine inhalation in children showed significant efficacies. The most commonly used herbal medicines were Ephedrae Herba (麻黃), Lonicera Flos (金銀花), Armeniacae Semen (杏仁), Glycyrrhizae Radix et Rhizoma (甘草), Scutellaria Radix (黃芩), Forsythia Fructus (連翹) etc. Hardly any adverse effects were reported from the trials selected.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linical studies from China, herbal medicine inhalation therapy in children can be an effective and safe option for treatment and symptom improvement.

키워드

Ⅰ. Introduction

무화흡입요법은 약물을 안개와 같이 기화시켜 환아 의 호흡기에 흡입시키거나 국소 환처에 접촉시켜 질병 을 치료하는 방법으로, 호흡기 질환, 피부 질환, 국소성 마비 질환 등에 응용할 수 있는 치료법이다1). 이러한 한약 흡입요법은 현재 한방의료기관 등에서 빈번하게 활용되고 있으나, 안전성과 유효성에 대한 국내 연구 가 부족하여 이에 대한 입증이 필요한 실정이다.

현재까지 특정 질환에 유효한 효과를 나타내는 한 약에 대한 임상 및 실험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한약은 거의 대부분 경구로 복용되고 있다2). 일반적으로 경구 투여는 가장 안전하고 간편하다는 장 점을 갖지만, 개인마다 각기 다른 흡수정도와 대사정 도를 거치게 되므로 일정한 농도를 유지하기가 어렵고, 병소에 직접 도달하지 못하므로 전신농도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복용량이 많아야 한다는 한계가 있다3).

흡입치료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약물전달 경로로 주목받고 있으며, 호흡기질환의 치료 에서 주요한 치료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흡입요법은 에어로졸을 전달하는 흡입기의 종류에 따라 크게 정량 분무식 흡입기 (metered-dose inhaler, MDI), 분말흡입기 (dry powder inhaler, DPI) 및 네뷸라이저 (nebulizer)의 3가지 종류가 있으며, 무화흡입요법은 그 중 네뷸라이 저를 이용한 흡입요법을 의미한다. 흡입치료는 높은 폐 침착, 경구 투여에 비하여 높은 생체이용률, 폐 체류 시간의 최대화라는 약동학적 특성을 얻을 수 있고, 수 용체 선택성을 높임으로서 폐의 선택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약력학적 특성을 얻을 수 있다4). 따라서 현재 사 용되고 있는 한방 약물의 효과와 안전성을 높이면서 환자의 순응도를 개선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흡입요법 이 응용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한약 흡입요법에 관한 국내 논문으로는 주로 비강 분무제인 스프레이 제형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5-8), 그 외에 2004년에 발표된 중의잡지를 활용한 문헌고찰 1편9)과 2009년에 발표된 pubmed를 활용한 문헌고찰 1편10) 등 으로 그 수가 부족하여 최근 임상 동향을 알아보는 데 어려움이 있다. 이에 비해 중의학에서는 무화흡입요법 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어 이를 통해 무화흡입요법의 연구와 활용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에 여러 중의임상논문을 중심으로 소아 대상 한 약 흡입요법의 임상 연구를 분석하여 그 치료 동향과 유효성 및 안전성을 평가하고, 향후 소아에게 한약 흡입요법을 적용할 수 있는 기본적인 자료로 삼고자 한다.

Ⅱ. Materials and Methods

1. 문헌 검색

문헌 검색의 검색원으로는 중국의 전자 데이터베 이스 검색 사이트인 중국학술정보원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CNKI)을 사용하였다. 검색범 위는 醫藥衛生科技에서 中醫學, 中藥學, 中西醫結合 에 한정하였고, 검색 기간은 2010년 1월부터 검색일 이전까지 출판된 문헌으로 한정하였으며, 검색일은 2019년 7월 2일이었다. 검색어는 Intervention에 해당 하는 ‘무화흡입 (雾化吸入)’을 사용하였고, 중영문교차 검색을 시행하였다.

2. 문헌 선택및 제외 기준

소아에서 무화흡입요법을 사용하여 임상적 유효성 을 평가한 중국의 임상연구 중에서 무작위 배정 대조 군 연구 및 유사 무작위 대조군 연구를 선별하였다. 18 세 미만의 소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만 포함하였고, 연 구대상자의 질환 및 증상에는 제한을 두지 않았다. 실 험군으로 한약 흡입요법을 사용한 문헌을 선별하였으 며, 한약 흡입요법 외에 기타 중재가 함께 사용된 경우, 대조군에도 기타 중재가 동일하게 사용된 문헌은 포함 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제외하였다. 결과지표에는 제한을 두지 않았으며, 총유효율을 일차 지표로 활용 하였고, 이외에도 연구에 활용된 모든 평가 지표를 포 함하였다.

처음 ‘雾化吸入’을 사용하여 검색한 결과 총 1487편 의 문헌이 검색되었고, 그 중 17편의 중복 문헌이 제외 되었다. 2010년 이전에 작성된 문헌 875편과 연구자가 1차로 제목과 초록을 검토하여 주제에 맞지 않는 문헌, 인체를 대상으로 하지 않은 문헌 등 선정기준에 맞지 않는 문헌을 제외한 결과 64편의 문헌이 포함되었다. 이 문헌들에 대해 전문 검토를 시행한 결과, 선정기준 에 맞지 않는 20편의 문헌이 제외되었으며, 최종적으로 44편의 문헌이 본 연구의 분석대상으로 선정되었다 (Fig. 1).

3. 자료수집 및 추출항목

총 44편의 선정된 문헌에 대하여 출판연도 순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각 문헌에서 연구 대상의 인구통 계학적 정보, 대상 질환, 유병기간, 치료 방법, 치료 기 간, 평가 지표 및 치료 결과, 안전성에 관한 정보를 추 출하였고, 해열, 항염, 항균치료 등의 기본적인 대증치 료는 제외하여 표기하였다 (Table 1). 문헌에서 중재로 사용된 한약 처방의 구성은 별도로 정리하였으며 (Table 2), 각 문헌에서 활용된 처방의 구성 약재 빈도 를 분

석하여 표로 제시하였다 (Table 3).

Fig. 1. PRISMA flowchart of literature selection process RCT: randomized controlled trial, TCM: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Table 1. Characteristics of the Included Studies

Table 2. Composition of Herbal Medicine

Table 3. Frequency of Herbs Used for Herbal Medicine Inhalation Therapy

Ⅲ. Results

1. 연도별 분포

선정된 연구들은 2010년부터 2019년까지 발표된 연 구들이었으며, 2010년11-17), 2011년18-24)에 각 7편 (각 15.9%)씩 발표되었고, 2012년25-27)에 3편 (6.8%)이 발 표되었으며, 2013년28-33), 2014년34-39)에 각 6편 (각 13.6%), 2015년40,41)에 2편 (4.5%), 2016년42)에 1편 (2.3%), 2017년43-46)에 4편 (9.1%), 2018년47-54)에 8편(18.2%)이 발표되었다. 2019년에 발표된 연구는 존재 하지 않았다 (Fig. 2).

Fig. 2. Annual distribution of the included studies

2. 연구 설계

선정된 연구 중 2편21,25)을 제외한 42편11-20,22-24,26-54) 의 연구는 모두 치료군과 대조군의 양군으로 이루어졌 으며, 평행 설계된 연구였다. 총 44편의 연구 중 32편 의 연구는 한약 흡입요법에 대하여 양방 또는 한방 치 료 또는 무처치의 결과를 비교하였으며, 대조군의 중 재로 양약 흡입요법과 비교한 연구가 20편11,13,17-9,2224-26,34-37,39,42,46,49,50,52,54), 양약 정맥주사 2편30,41), 양약 구 강투여 1편40), 한약 정맥주사 4편20,23,33,45), 한약 구강투 여 1편44), 무처치군과 비교한 연구가 4편14,16,21,48)이었 다. 나머지 12편12,15,27-29,31,32,38,43,47,51,53)의 연구는 기타 중재에 한약 흡입요법을 부가적으로 시행하였을 때의 따른 결과를 비교하였다 (Table 4).

Table 4. Studies Classified by Intervention

3. 연구대상자 특성

연구대상자 수는 최소 40명36)에서 최대 300명30)으 로 다양하였다. 이 중 200명 이상을 대상으로 한 연구 는 4편30,31,48,49)이었다. 소아 무화흡입요법의 대상이 되는 환아의 연령을 Mean±Standard deviation의 형태로 제시한 연구는 21편 11,17,19,28-30,32,34,37,39-44,47,49-51,53,54)이었으며, 대부분의 연구 에서 연령의 최솟값과 최댓값을 제시하거나 평균을 제 시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모든 연구는 소아를 대상 으로 시행되었고, 연구 대상의 연령은 연구마다 다양 하게 나타났으며, 그 중 최소 연령은 생후 1개월11), 최 대 연령은 15세27)이었다.

4. 대상 질환 및 증상

기침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5편14,34,39,40,48) (11.7%) 이었으며, 상기도 감염11,29,45), 급성 화농성 편도염41,43,50), 만성 인두염26,42,52), 포진성 구협염12,23,38), 수족구 병28,30,47), 기관지염17,20,36), 모세기관지염19,32,49), 폐렴 15,25,37)이 각 3편 (각 6.8%)이었다. 반복성 호흡기 감염 21,33), 알레르기 비염27,35), 급성 편도염16,31), 천식성 폐렴 17,36), 기관지천식22,46)이 각 2편 (각 4.5%)이었고, 호흡 기 감염54), 만성 비염53), 급성 인두염44), 헤르페스 구내 염24), 기침이형천식51)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각 1편 (각 2.3%)이었다. 대상 질환에 상기도 질환과 하기도 질환이 혼합된 연구가 3편21,33,54), 상기도 질환이 15편11,16,26,27,29,31,35, 41-45,50,52,53), 하기도 질환이 14편13,15,17-20,22,25,32,36,37,46,49,51), 기침이 5편14,34,39,40,48), 급성 구강염이 7편12,23,24,28,30,38,47) 이었다 (Table 5).

Table 5. Target Disease or Symptoms of the Included Studies

5. 특정 변증 및 증상에 따른 분류

질환 및 증상의 특정 변증을 대상으로 시행한 연구 는 3편30,37,48)이었으며, 변증별로 나누어 치료를 실시한 연구는 4편25,27,34,39)이었다.

Li 등30)의 연구는 수족구병의 폐열형 (肺熱型)을 대상으로 하였고, Sun 등37)의 연구는 폐렴의 풍열폐폐형 (風熱閉肺型)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Li 등48)의 연구는 기침의 풍한습폐형 (風寒襲肺型)을 대상으로 하였다.

Hu 등25)의 연구에서는 폐렴을 풍사범폐 (風邪犯肺), 담열폐폐 (痰熱閉肺), 기허 (氣虛)로 구분하여 흡입 약 물 구성에 변화를 주었고, Zhang 등27)의 연구에서는 알 레르기 비염을 폐기허한 (肺氣虛寒), 폐비기허 (肺脾氣 虛), 신기휴허 (腎氣虧虛)로 구분하여 탕약을 적용하였 으며, Cai34)와 Zhan39)의 연구에서는 외인성 기침을 풍 한습폐 (風寒襲肺), 풍열범폐 (風熱犯肺), 조사범폐 (燥 邪犯肺)로 구분하여 흡입 약물 구성에 변화를 주었다.

6. 치료방법, 치료내용 및 치료기간

선정된 문헌 중 처방 또는 병원 내 자체 탕약을 활용 한 문헌은 25편13-16,18,22,25,26,28,30-32,34,35,37,39,40-42,44,48,49,51-53) (56.8%)이었으며, 중성약 (Chinese patent medicine, CPM) 을 활용한 문헌은 19편11,12,17,19,20,21,23,24,27,29,33,36,38,43,45-47, 50,54) (43.2%)이었다. 그 중 2회 이상 사용된 중성약으로 담열청주사액 (Tanreqing zhusheye, 痰熱清注射液) 11,23, 33,36,38,46)이 6회, 열독녕주사액 (Reduning zhusheye, 熱毒 寧注射液) 20,24,45)이 3회, 쌍황련분침제 (Shuanghuanglian fenzhenji, 雙黃連粉針劑) 12,54)와 야국화주사액 (Yejuhua zhusheye, 野菊花注射液) 29,50)이 각 2회로 사용되었다. 한약 흡입치료에서 활용된 처방의 구성 약재들을 중성약까지 포함하여 빈도별로 분석한 결과, 마황 (麻 黃)이 총 17회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그 다음으로 금은화 (金銀花)가 16회, 행인 (杏仁)이 15회, 감초 (甘 草), 황금 (黃芩)이 13회, 황련 (連翹)가 12회 사용되었 으며, 절패모 (浙貝母)와 길경 (桔梗)이 7회, 산양각 (山 羊角), 어성초 (魚腥草), 맥문동 (麥門冬), 웅담분 (熊膽 粉)이 6회, 황기 (黃芪), 치자 (梔子), 반하 (半夏), 복령 (茯苓), 정력자 (葶藶子)가 5회로 다빈도 사용되었다 (Table 3).

사용시간에 대하여 언급한 문헌은 31편13-18,20-22,24-28, 30,32,34,35,37,38,40,42-45,47,48,50,51,53,54)이었으며, 1분에서 30분까지 다양하게 분포하였다. 20분이 14편13,15,18,20,26,28,30,32,37,40, 48,50,51,53)으로 가장 많았으며, 10분35,43,44,45)과 15~20분 14,17,21,24)이 각 4편, 15분이 3편16,27,54), 10~15분이 2편 34,38), 1분22), 5~10분47), 20~25분25), 30분46)이 각 1편으 로 다음을 차지했다.

치료 빈도에 대하여 언급한 문헌은 2편11,39)을 제외 한 42편12-38,40-54)이었으며, 이틀에 1회에서 하루 4~6회까지 다양하게 분포하였다. 하루 2회가 26편13-19,21,23-26, 28,31,33,36-38,41,45,47-49,51,53,54)으로 가장 많았으며, 하루 1회 가 10편12,20,29,30,35,42,43,46,50,52), 하루 3회가 2편34,40), 이틀 에 1회44), 하루 1~2회27), 하루 4회32), 하루 4~6회22)가 각 1편으로 다음을 차지했다. 치료기간에 대하여 언급한 문헌은 8편11,18,20,23,33,38, 41,54)의 연구를 제외한 36편12-17,19,21,22,24-32,34-37,39,40,42-53)이 었으며, 3일에서 1달 또는 퇴원 시까지 다양하게 분포 하였다. 7일이 17편15,17,19,25-27,29,30,32,34,35,37,43,44,47-49)으로 가장 많았으며, 10일이 4편14,21,52,53), 3일22,31,46), 3~5일 24,45,50), 5일12,16,28)이 각 3편, 2주가 2편39,51), 5~7일36), 3 주40), 1개월42), 퇴원 시까지13)가 각 1편으로 다음을 차지했다.

7. 평가 지표 및 치료 결과

선정된 44편의 연구 중 4편13,21,45,50)의 연구를 제외하 고 총유효율을 평가 지표로 사용하였으며, 그 중 28편 12,14-16,18,19,22-30,32,34-36,38,39,42,45,47,51-54)은 3-points scale (痊癒 또는 治癒 / 有效 또는 好轉 / 无效)을 이용하였고, 12 편11,17,20,31,33,37,40,41,43,46,48,50)은 4-points scale (痊癒 또는 治癒 / 顯效 / 有效 또는 好轉 / 无效)을 이용하였다. 총유효율은 (총례-무효례)/총례×100%으로 계산하였 다. 총유효율 외에도 증상소실시간, 입원기간, 재발률, 백혈구, 중성구, CRP 등의 혈액수치, 식욕개선시간, 증 상점수, 심박수, 혈액산소포화도 등이 평가 지표로 활 용되었다.

총유효율을 제시한 40편11,12,14-20,22-44,46-49,51-54)의 연구 중 2편23,52)을 제외한 38편에서 치료군의 총유효율이 대조군의 총유효율에 비하여 높다고 보고하였다. 그 중 2편의 연구17,46)는 p 값이 0.05 이상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다른 평가지표에서 치료군이 대조 군에 비해 평가지표 개선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거나 대조군과 비슷한 치료효과를 보였다. 나머지 2편23,52) 중 1편의 연구52)에서는 대조군의 총유효율이 치료군의 총유효율에 비하여 높다고 보고하였으나, p 값이 0.05 이상인 경우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 며, 다른 평가지표 상에서도 양군이 비슷한 치료효과 를 보였다. 나머지 1편의 연구23)에서는 포진성 구협염 을 대상으로 동일한 담열청주사액 (痰熱清注射液)을 활용하여 흡입요법과 정맥주사를 비교하였으며, 두 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보고되지 않았다.

총유효율을 평가하지 않은 4편13,21,45,50)의 연구에서는 임상 증상이 소실되기까지 걸리는 시간, 입원기간, 혈액 상 면역지표 또는 염증인자의 수치 등을 비교하 였으며, 대조군에 비해 치료군에서 증상 소실시간과 입원기간이 감소하거나 혈액수치가 개선되는 등 대부 분 한약 흡입요법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있음을 보고하였다.

8. 안전성 평가

선정된 연구 중 15편 (34.1%)의 연구에서만 부작용 을 언급하였으며, 그 중 12편11-13,29,32,33,37-39,41,45,48)에서 는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았다고 보고하였다. 나머지 3 편17,18,36)에서 보고된 부작용 중 2편17,36)의 연구에서는 치료군의 부작용 발생 없이, 대조군에서의 부작용만이 보고되었는데 2건의 구강 칸디다증이 발생한 연구17)와 1건의 알레르기가 발생한 연구36)가 있었다. 치료군에 서 부작용이 보고된 연구는 1편18)으로 발진이 1건 보고되었다.

Ⅳ. Discussion

무화흡입요법 (霧化吸入療法)이란 약물 수전액 (水 煎液)을 무화기기 (霧化器機)를 이용하여 흡입하는 치 료법이며, 이는 한의학에서 훈법 (熏法)의 범주에 속한 다고 할 수 있다. 훈법은 한약을 전탕한 증기나 한약을 태운 연기를 환부에 쏘이거나 혹은 인후를 통해 흡입 하는 방법으로55), 방법상의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주로 口服을 통해 치료해오던 한약재를 흡입을 통하여 환처 에 직접 작용하도록 하는 점에 있어서 공통점이 있다. 무화흡입요법은 고전적 훈법에 비해 호흡기에 대한 연 기 자극을 피할 수 있고 잘 타지 않는 약물을 흡입에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국소적으로 작용하 여 고농도로 구강 또는 비강, 호흡기 점막에 작용하므 로 염증개선, 충혈감소, 점막습윤, 건조 및 소양감 완화 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보통 약물을 수전 (水煎)하여 유 출할 때 용매로서 물을 이용하는데 물 이외에 에탄올 등 다른 용매를 이용할 수도 있어 호흡기 질환의 치료 에 좀 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다9).

한약 무화흡입요법에 대한 국내 연구는 존재하지 않았지만, 이에 대한 고전 연구로 외대비요에서의 훈 법과 방향요법을 고찰한 문헌55)이 있었으며, 훈법이 심 박변이도나 스트레스 이완, 의식장애 등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56-58)도 일부 보고되었다. 이 외에도 무 화흡입요법은 아니지만, 한국의 전통 향기요법에 대하 여 방향성 약재를 중심으로 고찰한 문헌59)이 있었다.

중국에서 보고된 Miao 등의 한약 흡입요법 종설 연 구60)에 따르면, 선정된 문헌 중 95%에서 기관지염, 폐 렴, 호흡기 및 폐 감염, 천식, 만성 폐쇄성 폐질환 (COPD), 인두염, 비염 및 구강 장애를 치료하기 위해 한약 흡입요법을 사용하는 것으로 보고하였으며, 나머 지 5%의 논문에서 편도선염, 심질환, 관상 동맥 질환, 뇌졸중, 식도염 및 뇌혈관 질환에 응용함을 보고하였 다. 양방에서도 네뷸라이저는 천식, COPD에 다용되며, 낭성 섬유증, 인플루엔자, 홍역 또는 풍진의 예방, 골다 공증, 폐고혈압, 흡연 등을 위한 치료에서 사용되는 것 으로 보고되고 있다61).

본 연구는 한약 흡입요법에 대한 국내 연구가 부족 한 상황에서, 중국의 문헌 조사를 통해 중국 내 소아를 대상으로 한 한약 흡입요법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으 며, 총 44편11-54)의 무작위 대조 비교 임상 연구가 고찰되었다.

대상 질환 및 증상을 살펴보면, 호흡기 감염11,21,29, 33,45,54), 비염27,35,53), 편도염16,31,41,43,50), 인두염26,42,44,52), 천 식22,46,51), 기관지염17,20,36), 모세기관지염19,32,49), 폐렴 13,15,18,25,37), 기침14,34,39,40,48), 포진성 구협염12,23,38), 수족구 병28,30,47), 헤르페스 구내염24) 등 총 12개의 질환 및 증 상을 대상으로 연구가 시행되었으며, 그 중 호흡기계 병 증 및 질환이 37편11,13-22,25-27,29,31-37,39-46,48-54) (84.1%)으로 가장 많았고, 급성 구내염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7편 12,23,24,28,30,38,47) (15.9%)이었다. 기침 증상의 경우 다양한 원인 질환들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나 이에 대한 정보 는 해당 문헌에 기재되어 있지 않아 한약 흡입요법이 특정 질환에 사용되기보다는 대증요법의 개념으로 사 용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 포함된 대상 질환 들은 모두 병소가 코와 입, 그리고 호흡기에 있어, 흡입 을 통해 약물이 직접 도달할 수 있는 질환들로 구성됨 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설계에 대하여 총 44편의 문헌 중 42편11-20,22-24, 26-54)의 연구는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군과 대조군의 양 군으로 구성된 평행 설계 연구였고, 다른 1편21)은 이에 정상인군을 비교하였으며, 나머지 1편25)은 변증하여 처방된 한약 흡입요법과 일반화된 처방의 한약 흡입요 법, 그리고 양약 흡입요법의 3군으로 나누어 비교한 연 구였다.

중재에 있어서 한약 흡입요법과 단일 중재를 비교한 연구는 32편11,13,14,16-26,30,33-37,39-42,44-46,48-50,52,54) (72.7%) 이었고, 이 중 대조군의 단일 중재로 양약 흡입요법을 시행한 연구가 20편11,13,17-9,22,24-26,34-37,39,42,46,49,50,52,54) (62.5%), 양약 정맥주사가 2편30,41) (6.3%), 양약 구강투여가 1편40) (3.1%), 한약 정맥주사가 4편20,23,33,45) (12.5%), 한약 구 강투여가 1편44) (3.1%)이었으며, 무처치가 4편14,16,21,48) (12.5%)이었다. 한약 정맥주사와 비교한 4편20,23,33,45)의 연구는 모두 동일한 중성약을 사용하여 흡입요법과 정 맥주사의 효능을 비교하였다. 기타 중재에 부가적으로 한약 흡입요법을 시행한 연구는 12편12,15,27-29,31,32,38,43, 47,51,53) (27.3%)이었으며, 치료군과 대조군의 공통된 중 재로 양약 흡입 또는 정맥주사 또는 경구 복용이 사용 된 연구가 10편12,15,28,31,32,38,43,47,51,53) (83.3%), 한약 정맥 주사 또는 경구 복용이 사용된 연구가 2편27,29) (16.7%) 이었다 (Table 4).

선정된 문헌 중 처방 또는 병원 내 자체 탕약을 활용 한 문헌은 25편13-16,18,22,25,26,28,30-32,34,35,37,39,40-42,44,48,49,51-53) (56.8%)이었으며, 각 연구별 처방 구성은 상이하였다. 중성약을 활용한 문헌은 19편11,12,17,19,20,21,23,24,27,29,33,36,38, 43,45-47,50,54) (43.2%)이었으며, 그 중 동일한 처방이 사용 된 연구는 담열청주사액 (痰熱清注射液)을 활용한 연 구 6편11,23,33,36,38,46), 열독녕주사액 (熱毒寧注射液)을 활 용한 연구 3편20,24,45), 쌍황련분침제 (雙黃連粉針劑)를 활용한 연구 2편12,54), 야국화주사액 (野菊花注射液)을 활용한 연구 2편29,50)이 있었으며, 나머지 연구들에서 활용된 중성약들은 다양하였다 (Table 2).

한약 흡입치료 처방의 구성 약재들을 중성약까지 포함하여 빈도별로 분석한 결과, 마황 (麻黃)이 17회로 최다빈도 활용되었다. 마황 (麻黃)은 발산풍한약 (發散 風寒藥)에 속하고, 발한해표 (發汗解表), 선폐평천 (宣 肺平喘)하는 효능을 가지며, 최근 연구에서는 해열하 고 기관지 평활근 경련을 완화하며, 항균, 항바이러스, 항염하는 효과가 확인되었다62). 그 다음으로 금은화 (金銀花) 16회, 행인 (杏仁) 15회, 감초 (甘草), 황금 (黃 芩) 13회, 연교 (連翹) 12회, 절패모 (浙貝母), 길경 (桔 梗) 7회, 산양각 (山羊角), 어성초 (魚腥草), 맥문동 (麥 門冬), 웅담분 (熊膽粉) 6회, 황기 (黃芪), 치자 (梔子), 반하 (半夏), 복령 (茯苓), 정력자 (葶藶子)가 5회 사용 되었다. 금은화 (金銀花), 황금 (黃芩), 연교 (連翹), 어 성초 (魚腥草), 웅담분 (熊膽粉), 치자 (梔子) 등은 청열 약 (淸熱藥)으로 분류되며, 행인 (杏仁), 절패모 (浙貝 母), 길경 (桔梗), 반하 (半夏), 정력자 (葶藶子) 등은 화 담지해평천약 (化痰止咳平喘藥)으로 호흡기 질환에 다용되는 약재이다. 이 외에도 산양각 (山羊角)은 청열해 독 (淸熱解毒)의 효능을 가지며, 맥문동 (麥門冬)은 윤 폐지해 (潤肺止咳), 해열소염 (解熱消炎)하고, 복령 (茯 苓)은 이수삼습 (利水渗濕)하며, 감초 (甘草), 황기 (黃 芪)는 보기 (補氣)의 효과를 갖는다63).

상기 약재들은 대부분 청열해독 (淸熱解毒), 거담보 폐 (祛痰補肺), 해표발산 (解表發散)의 효능을 갖는 약 물들로 모두 염증성 질환에 다용될 수 있다. 염증성 질 환에서는 홍종열통 (紅腫熱痛)의 증상을 동반하는데, 홍반과 열은 혈류가 증가함으로써, 부종은 혈관의 투 과성이 증가함으로써, 통증은 일차 구심성 신경섬유의 활성화와 감작의 결과로써 나타나게 되는 염증의 반응 이다. 이러한 염증상태를 동반한 여러 증상집합을 한 방에서는 습열 (濕熱) 등으로 표현하며, 따라서 청열 (淸熱)하고 제습 (除濕)하는 등의 본초들이 다빈도로 활용된 것이라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천식에 대한 무화흡입요법의 효과를 문헌 고찰한 Yoon의 연구 9)에서 마황 (麻黃)이 최다빈도로 사용된 것과, 약물의 효능별 분석에서 청열약 (淸熱藥), 해표약 (解表藥), 화 담지해평천약 (化痰止咳平喘藥)이 가장 많이 활용된 것과 일치한다.

흡입치료 시간은 20분, 치료 빈도는 하루 2회, 치료 기간으로는 7일이 가장 많았다. 무화흡입 기기인 네뷸 라이저는 약물을 액체 상태에서 에어로졸의 미세 스프 레이로 변환시키는 기기로, 압축된 공기나 산소를 이 용한 경우 압축공기식 네뷸라이저 (compressed air nebulizer) 또는 제트 네뷸라이저 (jet nebulizer)라 하며, 초음 파 진동을 이용한 경우 초음파식 네뷸라이저 (ultrasonic nebulizer)라 한다. 선정된 문헌에서 무화흡입기기에 대 하여 언급한 문헌은 16편11,12,14,16,18,31-33,36,39-41,43,44,46,47)을 제외한 28편이었으며, 제트 네뷸라이저 (jet nebulizer)가 10편17,19,21,23,28,34,38,45,52,54), 초음파식 네뷸라이저 (ultrasonic nebulizer)가 17편13,15,20,22,24-27,29,30,35,37,42,49-51,53), 자체 기 계를 사용하였다고 언급한 문헌이 1편48)이었다. 네뷸 라이저에 사용된 약물은 대부분 탕약의 경우 탕전액을 그대로 사용하였으며, 중성약의 경우 생리식염수와 혼 합하여 사용하였다. 흡입요법의 방법에 대해서는 저자 들의 임상 경험을 기반으로 다양하게 보고되어 표준화 된 방법은 없었다. 향후 국내에서의 임상 활용 및 연구 에서는 환자의 연령, 순응도, 대상 질환 및 증상과 이의 중등도 등을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연구에 사용된 평가 지표로는 총유효율 (TER), 증상 소실시간, 입원기간, 재발률, 백혈구와 중성구, CRP 등의 혈액수치, 식욕개선시간, 증상점수, 심박수, 혈액산 소포화도 등이 있었으며, 모두 p 값을 제시하여 값이 0.05 미만인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보았다. 분석한 44편의 연구 중 담열청주사액 (痰熱清注射液) 의 흡입요법과 정맥주사를 비교한 1편의 연구23)를 제 외하고, 모든 연구에서 한약 무화흡입요법이 임상적으 로 유효함을 보고하였다. 이는 한약 흡입요법이 호흡 기 및 구강 질환의 즉각적인 완화에 유효할 뿐만 아니 라 만성화되고 재발하기 쉬운 감염성 질환의 특성에도 적합한 치료방법임을 시사한다.

대조군의 중재와 비교하여 치료군의 치료 효과가 유의한 차이 없이 유사함을 보이는 경우도 여럿 있었 다. 그러나 dexamethasone 등의 steroid와 gentamicin 등 의 아미노글리코시드계 항생제는 성장에 영향을 미치 거나65), 청력장애와 같은 耳毒性이 보고된 바66) 있어 소아에서 더욱 주의해야하므로 이를 고려할 경우 한약 흡입요법이 더욱 효과적이며 안전하다고 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양약 중재에 추가적으로 한약 흡입요법 을 사용한 경우에도 양약 단독 중재에 비해 유의한 효 과를 보고하였으므로 양한방 치료를 병행하는 것은 치 료효과를 상승시키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다 만 양한방 결합치료와 한방치료효과의 우위뿐만 아니 라 병행치료에 따른 안전성을 확인할 수 있는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더욱 적극적인 사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한약 흡입요법을 사용함에 있어 변증된 처방 사용이 더욱 유효함을 고려할 때25), 환자의 체질과 병정에 따른 변증을 고려하여 치료하는 것이 치료효과를 높이는 데 더욱 도움이 될 것이다.

안전성 평가를 시행한 결과, 15편 (34.1%)의 연구에 서 부작용에 대한 언급이 있었으며, 대부분에서 부작 용이 발생하지 않음을 보고하였다. 보고된 부작용으로 는 양약 치료군에서 3건, 한약 흡입요법 치료군에서 1 건이 보고되었으며, 한약치료군에서의 중대한 이상반 응은 관찰되지 않았다. 한약 흡입요법을 시행함에 있 어 부작용이 큰 장애물로 여겨지는데, 이러한 측면에 서 보았을 때 한약치료는 재발률이 낮고 부작용이 적 어 소아에게 적극적으로 활용해볼 수 있을 것이다. 다 만, 한약 흡입요법으로 다양한 한약재가 사용되고 있 으므로 향후 안전성 확보를 위해 다양한 약재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한편, 본 연구는 중국 문헌만을 선정하여 분석하였 기 때문에 도출된 결과를 일반화하기 어려웠으며, 무작위 대조군 연구만을 대상으로 하여 종설, 관찰 연구, 증례보고, 실험 연구 등에서 사용된 한약 흡입요법에 대해서는 확인할 수 없었다. 또한 대상 질환이 다양하 여 이질성이 크고, 부작용을 언급한 논문이 34.1%에 불과하였다는 점 등의 한계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44편의 무작위 대조 비교 임상 시험을 분석함으로써 한약 흡입요법을 포함한 중재가 그렇지 않은 중재에 비해 유의한 효과 차이가 있음을 보였고, 중재에 대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임상 에서 소아를 대상으로 한 치료에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본 연구에서 지적한 한계점을 보완한 무 작위 대조 비교 임상 시험이나 체계적 문헌 고찰이 추 가적으로 이루어진다면 한약 흡입요법에 대한 심층적 인 근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V. Conclusion

중국 국내 데이터베이스 검색 사이트인 CNKI (CAJ) 에서 검색을 통해 선별된 소아 한약 무화흡입요법에 대한 중국 문헌 44편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연구 대상자의 연령은 생후 1개월에서 15세까지 다양하였다.

2. 상기도 질환과 하기도 질환을 포함하는 호흡기계 병증 및 질환이 37편 (84.1%)으로 가장 많았으며, 급성 구내염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7편 (15.9%) 이었다.

3. 한약 흡입요법으로 처방을 구성하여 활용한 문헌 이 25편 (56.8%)이었으며, 중성약을 활용한 문헌 이 19편 (43.2%)이었다.

4. 한약 흡입요법으로 가장 많이 사용된 약재의 빈 도는 마황이 17회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그 다 음으로 금은화 16회, 행인 15회, 감초, 황금 13회, 연교 12회, 절패모, 길경 7회, 산양각, 어성초, 맥 문동, 웅담분 6회, 황기, 치자, 반하, 복령, 정력자 가 5회 사용되었다. 해당 약재들을 분석한 결과 청열약, 화담지해평천약, 발산해표약에 해당하는 약재들의 활용도가 높았다.

5. 흡입치료 시간은 20분이 가장 많았으며 (31.8%), 치료 빈도는 하루 2회가 다빈도로 사용되었다.(59.1%). 치료기간으로는 7일이 가장 많이 사용 되었다 (38.6%).

6. 주요 평가 지표는 총유효율 (TER), 증상소실시간, 입원기간, 재발률, 백혈구, 중성구, CRP 등의 혈 액수치, 식욕개선시간, 증상점수, 심박수, 혈액산 소포화도 등이었다.

7. 소아를 대상으로 호흡기계 질환 및 구내 염증 질 환에 한약 무화흡입요법을 적용하여 유의한 증상 개선이 있었다.

참고문헌

  1. Kim KB, Kim DG, Kim YH, Kim JH, Min SY, Park EJ, Baek JH, Sung HK, Yu SA, Lee SY, Lee JY, Chang GT, Jeong MJ, Chai JW, Cheon JH, Han YJ, Han JK. Hanbangsoacheongsonyeonuihak (sang). Seoul: Ui Sung Dang Publishing Co. 2015:184.
  2. Choi HJ, Bang NY, Song BW, Kim NJ, Rhyu BH. Survey on the preference for the dosage forms of oriental herbal medicine. Kyunghee Medicine. 2004;20(1):46-57.
  3. Park KH. Clinical application of drug delivery system. J Korean Soc Hosp Pharm. 1992;9(3):194-208.
  4. Tayap ZR, Hochhaus G. Pharmacokinetic/pharmacodynamic evaluation of inhalation drugs: application to targeted pulmonary delivery systems. Expert Opin Drug Deliv. 2005;2(3):519-32. https://doi.org/10.1517/17425247.2.3.519
  5. Lee ES, Han JM, Kim MH, Namgung U, Yeo Y, Park YC. Effects of inhalable microparticles of Socheongryongtang o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in a mouse model. J Korean Med. 2013;34(3):54-68. https://doi.org/10.13048/jkm.13012
  6. Koo JS, Baek JH. A clinical study on the effect of Tongkyu-tang distillate on pediatric allergic rhinitis. J Pediatr Korean Med. 2003;17(2):103-14.
  7. Kim JE, Hong CH. Survey on effect and satisfaction of korean medicine distillate nasal spray of patient with chronic rhinitis.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2;25(3):56-64. https://doi.org/10.6114/jkood.2012.25.3.056
  8. Bang MR, Kim JH, Min SY. A literature study of topical application of chinese herbal medicine for allergic rhinitis. J Pediatr Korean Med. 2016;30(3):52-60. https://doi.org/10.7778/jpkm.2016.30.3.052
  9. Yoon DH. Review of herbal medicine inhalation therapy on asthma in chinese medical journal. J Jeahan Orient Med Acad. 2004;29(1):34-40.
  10. Yang SY, Oh JS, Park YC, Oh YS, Lee YK. Research trends of inhalation drug for asthma in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J Haehwa Med. 2009;18(1):1-8.
  11. Cui YX. Clinical observation on treatment of 55 cases of upp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 in children with Tanreqing injection. Chin J Mod Drug Appl. 2010;4(4):169-70.
  12. Li W, Li ZY. Therapeutic effect of Shuanghuanglian inhalation in the treatment of 40 cases of herpetic angina in children. J Pedia Tradit Chin Med. 2010;6(5):26-7.
  13. Li WD. Analysis of the effect of decoction and inhalation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on children with asthmatic pneumonia. Chin J Mod Drug Appl. 2010;4(3):141-2.
  14. Song HM. Therapeutic effect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inhalation on children with intractable cough. Chin J Misdiagn. 2010;10(19):4634.
  15. Wang W. Ultrasonic nebulization of Feining decoction in the treatment of 66 children with pneumonia. Hebei J TCM. 2010;32(8):1157.
  16. You QP. Observation on effect of Qingyan-detoxification mixture nebulization inhalation as assistant to treat children with acute tonsillitis. Chin Gen Nurs. 2010;8(12A):3118-9.
  17. Zhao YP. Therapeutic effect of Zhichuanling injection on 136 children with asthmatic bronchitis. Chin J Coal Ind Med. 2010;13(1):60-1.
  18. Chen LY. An effective analysis of treating asthmatic pneumonia in children by inhalation of TCM decoction atomization. Clin J Chin Med. 2011;3(10):49-50.
  19. Li BY. Inhalation of Qingkailing injection in the treatment of 45 cases of bronchiolitis. J Emerg Tradit Chin Med. 2011;20(9):1496.
  20. Nie WX, Yang LH, Yi YJ. Clinical study on 127 cases of infantile acute bronchitis treated by ultrasound atomization inhalation of Reduning injection. Guide China Med. 2011;9(35):185-7.
  21. Wang YY. Effect of aerosol inhalation of Astragalus injection on cellular immune function in children with repeated respiratory infection. Chin J Misdiagn. 2011;11(18):4325-6.
  22. Weng QY, Zhao JY, Bian XQ, Wu JN, Wang KM. Clinical observation on 90 cases of infantile bronchial asthma in acute attack treated with integrated traditional chinese and western medicine. Chin Med Mod Distance Edu China. 2011;9(13):52.
  23. Xia ZT. Comparison of different routes of administration of Tanreqing injection in the treatment of herpes simplex angina. J Emerg Tradit Chin Med. 2011;20(10):1704.
  24. Xing LH. Treatment of 60 cases of herpetic stomatitis in children with aerosolized inhalation of Renaning injection. Chin Med Mod Distance Edu China. 2011;9(20):36-7.
  25. Hu QW, Wen MS, Gan XX, Wu CX. Clinical observation of treating pneumonia in children by TCM dialectical aerosol inhalation. Clin J Chin Med. 2012;4(9):59-60.
  26. Liu HJ, Song X. Clinical observation of Dongxia Liyan mixture Aerosol inhalation in the treatment of chronic pharyngitis in children. Asia Pac Tradit Med. 2012;8(2):69.
  27. Zhang XY, Huang J. Clinical observation of treatment of children with allergic rhinitis with Xinju atomization. Jilin Med J. 2012;33(13);2759-60.
  28. Chen HY. Clinical observation of effects of Kangganliyan spray aerosol on children with hand-foot-mouth disease. Chin J Med Guide. 2013;15(12)2024-5.
  29. Hu YS, Zou LY. Therapeutic effect of chrysanthemum nebulization on 89 children with acute upp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 J Qiqihar Univ Med. 2013;34(8):1166-7.
  30. Li GQ, Li ZM, Yu XC, Liu JJ, Zhang JR. Clinical observation on 200 cases of hand, foot and mouth disease of Lung-heat type treated by aerosol inhalation of Qingre Jiedu Formula. Hebei J TCM. 2013;35(7):989-90.
  31. Wang YF, Zhong T, Su Y, He P. Observation on therapeutic effect of aerosol inhalation of Xiaolingdan mixture on 158 cases of acute tonsillitis in children. Hunan J Tradit Chin Med. 2013;29(12):63-4.
  32. Wei CG. 45 cases of infantile bronchiolitis treated by chinese medicine atomization. Chin Med Mod Distance Edu China. 2013;11(23):51.
  33. Wu LL. Treatment of 88 children with repeated respiratory tract infection by Tanreqing atomization inhalation. Chin Foreign Med Res. 2013;11(3):109.
  34. Cai QE. Therapeutic effect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granules inhalation on children with exogenous cough. Chin J Clin Ration Drug Use. 2014;7(7):78-9.
  35. Gao JM. Children's Allergic Rhinitis Treated with Ultrasonic Nebulization of Jiegen Yuanshen Decotion and Yupingfeng Powder. Liaoning J Tradit Chin Med. 2014;41(11):2417-8.
  36. Kong XH. Therapeutic effect of Tanreqing atomization on asthmatic bronchitis in children. China Prac Med. 2014;9(17):165.
  37. Sun TF, Hu H, Liu YK, Zhang QY. Clinical observation of ultrasound atomization inhalation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in the treatment of pediatric pneumonia of wind-heat closing lung type. Mod J Integr Tradit Chin Western Med. 2014;23(8):824-6. https://doi.org/10.3969/j.issn.1008-8849.2014.08.010
  38. Yan W. Clinical observation of Tanreqing injection inhalation in the treatment of children with herpangina. Asia Pac Tradit Med. 2014;10(6):114.
  39. Zhan HY. Efficacy of Chinese Medicine Granules Atomizing Inhalation in the Treatment of Children with Exogenous Cough. China Foreign Med Treat. 2014;33:33-7.
  40. Chen YX. Observation on the therapeutic effect of Lingnan herbs on allergic cough. Shenzhen J Integr Tradit Western Med. 2015;25(16):73-4.
  41. Zhang CM, Qian X, Zhang XY. Therapeutic observation on 50 cases of acute suppurative tonsillitis treated by chinese medicine atomization inhalation. Zhejiang J Tradit Chin Med. 2015;50(4):262.
  42. Zhao AM. Effect of chinese and western medicine on the treatment of chronic pharyngitis in children. Cardiovasc Dis J Integr Tradit Chin Western Med. 2016;4(35):167.
  43. Yu XY. Curative effect observation on 60 cases of acute suppurative tonsillitis in children treated by aerosol inhalation of Kangfuxin liquid. Zhejiang J Tradit Chin Med. 2017;52(3):203.
  44. Yuan J. Liyanyin nebulized inhalation for the treatment of acute pharyngitis in children. J Clin Med. 2017;4(27):5225-6.
  45. Zhang TW. Clinical observation on curative effects of aerobic inhalation of Redu'ning on acute upp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 in children. Clin J Chin Med.2017;9(34):61-2.
  46. Zhang W, Xie H. Clinical study on inhalation of Tanreqing injection in treating children with bronchial asthma. J Emerg Tradit Chin Med. 2017;26(9):1688-9.
  47. Hu SZ, Shen HX, Tang Q. Observation on curative effect of aerosol inhalation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on hand foot mouth disease. Chin J Mod Drug Appl. 2018;12(17):195-7.
  48. Li XH, Zhu CG, Liu HF. Observation of combined TCM inhalation therapeutic effect on children with cold cough . World Latest Med Info. 2018;18(42):154-5.
  49. Ning HY. Clinical observation of chinese medicine atomization in treating children with bronchitis. China's naturopathy. 2018;26(4):35-6.
  50. Tan XY, Feng MY. Effect of inhalation of wild chrysanthemum injection on acute suppurative tonsillitis in children. Inner Mongol J Tradit Chin Med. 2018;37(2):82-3.
  51. Wang ZH. Clinical effect of integrated traditional chinese and western medicine on cough variant asthma in children. Chin Gen Pract. 2018;21(S2):192-3.
  52. Yu Y, Huang W, Ye Q, Zhang H, Huang QY, Huang SY, Guo Y. Therapeutic effect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inhalation on chronic pharyngitis in children. Liaoning J Tradit Chin Med. 2018;45(3):532-4.
  53. Yuan HZ. Clinical Observation on 70 cases of chronic rhinitis in children treated with Xanthium powder by nasal atomization inhalation. World Latest Med Info. 2018;18(23):144-8.
  54. Zhuang XG, Zhang ZB. Clinical efficacy analysis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oxygen atomization inhalation treatment of children respiratory diseases. Clin J Chin Med. 2018;10(3):23-5.
  55. Lee BW, Kim EH, Kim KW, Park HK. A Study on fumigation therapy and aroma therapy of wai-tai-mi-yao. J Korean Med Classics. 2005;18(3):116-25.
  56. Hwang CH, Kim KS, Um JT, Hwang SY, Jo HK, Kim BS. Study on Effects of Incense Smokes Composed with Oriental Medical Herbs on HRV and Stress Relaxation. J Physiol & Pathol Korean Med. 2012;26(4):566-71.
  57. Um JT, Kim KS, Kim BS. The Effects of Incense Smokes of 'Cheung-Woon' on HRV. J Orient Neuropsychiatry, 2012;23(3):89-97. https://doi.org/10.7231/JON.2012.23.3.089
  58. Shin JI. A Clinical Report about the Effect of Fumigating Therapy on a Acute Stroke Patient. J Korean Oriental Med. 2001;22(4):158-63.
  59. Song YA. Literature study on korean traditional sromaherapy-centered around research on utility of korean incense plant-. Doctor's thesis (Department of Food & Nutrition). Seoul: Sungshin University; 2016.
  60. Miao XQ, Zhou J, Li J, Liao YH, Zheng Y. Chinese medicine in inhalation therapy: a review of clinical application and formulation development. Curr Pharm Des. 2015;21:3917-31. https://doi.org/10.2174/1381612821666150820110550
  61. Stephen WS, Charles GT. The history of therapeutic aerosols: a chronological review. J Aerosol Med Pulm Drug Deliv. 2017;30(1):20-41. https://doi.org/10.1089/jamp.2016.1297
  62. Yoon JH, Lee GS, Jun SH, Ju YS. A literature review on medicinal actions and indications of Ephedrae herba from Korean medicine's viewpoints. Korean Herb Med Inform. 2017;5(2):23-36.
  63. Kim IR, Kim HC, Kuk YB, Park SJ, Park YG, Park JH, Seo BI, Seo YB, Song HJ, Shin MK, Lee YJ, Lee YC, Lee JH, Lim GH, Jo SI, Jung JG, Joo YS, Choi HY. Bonchohak. Seoul: Young Lim Sa Publishing Co. 2010:194.
  64. Kapadia CR, Nebesio TD, Myers SE, Willi S, Miller BS, Allen DB, Jacobson-Dickman E. Endocrine effects of inhaled corticosteroids in children. JAMA Pediatr. 2016;170(2):163-70. https://doi.org/10.1001/jamapediatrics.2015.3526
  65. Leonard PR, Craig AW. Ototoxicity: therapeutic opportunities. Drug Discovery Today. 2005;10(19):1313-21 https://doi.org/10.1016/S1359-6446(05)03552-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