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Reestablishment of the Drone's Concept

드론 개념의 재정립에 관한 연구

  • 이승영 (경찰대학교 치안대학원) ;
  • 강욱 (경찰대학교 행정학과)
  • Received : 2019.02.09
  • Accepted : 2019.02.18
  • Published : 2019.03.31

Abstract

Drone was originally developed for air force aircraft or missile exercise shooting targets, and is being considered as the entire unmanned aircraft to the public. The core concept of a drone can be divided into 'unmanned' and 'aircraft'. However, there are many questions about whethe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xpressed as a convergence scientific innovation, is appropriate at a time when smart cities are proposed as a concept of new urban spatial formation, and the role of self-driving vehicles, including drones, is being emphasized within the new urban integrated transport system. In this study, the concept of the existing drones was analyzed for the development process, definitions in each country's laws, and the results of the preceding research to present a concept suitable for future society and a unified term. It is not desirable to define a drone for the purpose of a country, an institution, or an operating entity,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s of the era. It is more reasonable to find the concept of a drone based on human life than in the traditional way, and more reasonable considering the development of the drones in the future. Subsequent studies should be more detailed, more data and research results analyzed, and discussed areas that were not covered in this study. Based on this, research should also be conducted on a variety of topics, including legislation, preparation of operational regulations, and related industrial processes and regulations.

드론은 처음에 공군기나 미사일 연습 사격 표적용으로 개발되었으며, 일반인들에게는 무인 항공기 전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되고 있다. 드론의 핵심 개념은 '무인'과 '항공기'로 구분될 수 있다. 그러나, 융합과학 기술혁명으로 표현되는 제 4차 산업혁명은 새로운 도시 공간형성의 개념으로 스마트시티가 제안되고 있으며 새로운 도시내 통합이동 체계 내에서 드론을 포함한 자율주행 이동체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는 시점에서 기존의 드론 개념이 과연 적합한지에 대해서는 여러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드론의 개념에 대하여 발전과정과 각국의 법률상 정의, 선행연구 결과 등을 분석하여 미래 사회에 적합한 개념과 통일적인 용어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시대적 상황에 따라 국가나 기관, 또는 운용주체의 목적에 따라 드론을 정의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인간의 삶에 바탕을 두고 드론의 개념을 인간의 도시 생활에서 찾아내는 것이 기존의 방법보다는 보다 합리적이며, 앞으로 드론의 발전상황을 고려한다면 더욱 타당하다고 할 수 있다. 후속연구에는 보다 상세하고 더 많은 자료와 연구결과 등을 분석하고, 본 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부분에 대해서도 논의를 진행해야 할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법제화, 운영규정 마련, 관련 산업 진행 및 규제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해서도 연구가 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욱 (2017). 실종자 수색용 드론 개발 결정에 대한 연구: Kingdon 의 정책흐름모형을 중심으로. 경호경비학회지, 드론 특별호, 11-32.
  2. 강왕구, 정용운, 황인성. (2018) 드론, 자율주행차 등의 미래형 무인이동체 핵심기술 개발 동향 및 향후 계획. 정보와 통신열린강좌 제35권 제1호, 28-35.
  3.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7, 12, 7). 무인이동체의 혁신성장 일정표 나오다: 4차 산업혁명 기술의 집약체, 무인이동체 기술혁신과 성장 10개년 로드맵 발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도자료.
  4.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8, 3, 29). 육․해상 재난 및 치안현장에서국민을 보호하는 국산 드론이 개발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도자료.
  5. 국토교통부 (2017, 12, 21). 국토부, 드론산업 규모 5년내 20배 육성위한 종합계획 발표. 국토교통부 보도자료
  6. 김명수 (2018). 드론의 안전한 운용과 프라이버시 보장을 위한 법제 정비 방안. 법제논단, 188-221.
  7. 김성배, 김성진 (2014). 주요국 군사용 무인항공기 동향 및 시사점. 주간국방논단, 1501호, 1-11.
  8. 김용호, 이경현 (2017). 드론에 의한 프라이버시 침해 방지 및 운용 상 문제 해결을 위한 입법 제안. 정보보호학회논문지, 27(5), 1141-1147. https://doi.org/10.13089/JKIISC.2017.27.5.1141
  9. 김정훈, 김홍배 (2018). 드론 도입을 위한 도시 입체계획의 방향과 과제. 국토계획, 53(1), 51-61. https://doi.org/10.17208/jkpa.2018.02.53.1.51
  10. 김종성, 김선태 (2006). 무인항공기체계 발전 방향. 국방과 기술, 323, 34-47.
  11. 김진우 (2017). 무인이동체 기술 로드맵' 마련해 핵심 원천기술 발굴. 나라경제, 4월호, 16-17.
  12. 민진규, 박재희 (2018). 드론학 개론 - 현장가이드 북. 서울: 배움 출판사.
  13. 박지영, 김선경 (2017). 군사적 활용을 통한 드론산업의 발전 방안. 서울: 아산정책연구원.
  14. 송원형 (2017, 12, 5). 육군, 내년 드론봇 전투단 만든다. 조선일보.
  15. 신희철, 박성용 (2015). 드론 (Drone) 을 교통분야에 활용하려면. 월간교통, 63-71.
  16. 안진영 (2015). 세계의 민간 무인항공기시스템 (UAS) 관련 규제 현황. 항공우주산업기술동향, 13(1), 51-67.
  17. 안효정, 박종혁, 유승우 (2014). 민간 무인항공기시스템 인증체계 현황 및 관련규정 연구 동향 분석. 한국항공우주학회지, 42(10), 893-901. https://doi.org/10.5139/JKSAS.2014.42.10.893
  18. 윤광준 (2016). 국내.외 드론 산업 현황 및 활성화 방안. 부동산 포커스. 제95호, 1-14.
  19. 이수미, 김용진 (2017). 드론의 국내도시 도입을 위한 국내외 사례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 표대회 논문집, 37(2), 994-997
  20. 이원규 (2015). 드론 (Drone) 을 활용한 도시관리. BDI 정책포커스, 288, 1-12.
  21. 이영진. (2016). 무인이동체(자율주행차, 드론)을 위한 측위시스테과 3차원 지도의 전략 분석. 2016 한국측량학회 학술대회자료집, 64-65.
  22. 장훈 (2017). 드론법 (Drone Laws): 성장과 규제 사이의 균형점. 과학기술정책, 27(9), 8-11.
  23.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2016). 미국과 중국의 드론 규제 현황 조사분석. 서울: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24. 정호진 (2015). 미국 소형 무인항공시스템(Small UAS)의 운영과 자격증명에 관한 규정(안) 고시. 1-3, 항공우주연구원.
  25. 차원용 (2016, 8, 2). 미국, 소형 무인항공기(UAS, 드론) 규정 발표. 전자과학.
  26. 최경아, 이임평, 이효상 (2017). 효율적 행정업무를 위한 드론 공간정보 활용기반 구축방안. 국토연구, 65-81. https://doi.org/10.15793/KSPR.2017.94..005
  27. 최병록 (2017). 무인항공기 (드론) 사고의 법적책임 연구.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71-79.
  28. Smith, P. D. (2015). 도시의 탄생 (엄성수 역). 서울: 옥당 .
  29. Townsend, A. (2018). 스마트시티 더 나은 도시를 만들다: 4차 산업혁명이 만드는 새로운 도시의 미래 (도시이론연구모임 역). 서울: 엠아이디.
  30. DeGarmo, M. T. (2004). Issues concerning integration of unmanned aerial vehicles in civil airspace. Center for Advanced Aviation System Development, 4.
  31. EASA. (2015). Introduction of a regulatory framework for the operation of drones. https://www.easa.europa.eu/document-library/rulemaking-subjects/introduction-regulatory-framework-operation-drones 검색일, 2019. 1. 20.
  32. Petersen, J. (2015). Drones Will Elevate Urban Design. American Society of Landscape Architecture. https://dirt.asla.org/2015/03/10/drones-will-redefine-the-image-of-the-city) 검색일, 2019. 1.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