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ecial Judicial Police for Enhancing Administrative Power A Study on the Expansion of Jobs: Based on the results of 10 years' operation of Seoul Metropolitan Police Judicial Police Team

행정의 집행력 강화를 위한 특별사법경찰 직무확대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 민생사법경찰단 운영 10년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

  • 양재열 (한세대학교 특별사법경찰연구소) ;
  • 김상수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 Received : 2019.01.24
  • Accepted : 2019.02.22
  • Published : 2019.03.31

Abstract

Recently, our company has entered the modern knowledge company, government policy and regulation has a big influence on people's lives. Also, unlike in the past, I am hoping for administrative intervention as a problem peculiar to the environment, such as environmental housing problems, urban transportation problems, misuse problems, etc. and corporate pending issues. In this study, through the 10th year of the Seoul Special Citizen Judicial Police Force, if the local autonomy is a special envoy, it will try to present the correctness in the organization luck. As a measure to secure the nature of administrative action, the method of investigation was through the study of the execution process of administrative penalty and its result based on the statistical data of Seoul City. Therefore, we will analyze the process and operation of the 10-year organizational change of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 police force and examine how the police force of the people's livelihoods, which is a special investigation organization, is expanding its duties in order to strengthen the enforcement power of the administration. Also, we will make future-oriented suggestions to encourage the readjustment of the current relevant laws, such as the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and to actively accommodate the expected changes of the special law police organization in charge of the enforcement of the police system.

최근 우리사회가 현대지식경제사회로 진입하면서 정부의 정책과 규제가 국민 삶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과거와 달리 환경·주택문제, 도시·교통문제, 노사·노동문제 등 다양한 분야에서 발생되는 문제점과 사회적 현안에 대하여 행정의 개입을 희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특별시 민생사법경찰단 운영 10년을 통하여 지방자치단체가 특사경 전담조직 운영함에 있어 당위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행정작용의 실효성 확보를 위한 방안으로 행정형벌의 집행과정과 그 효과에 대하여 서울시의 통계자료 등을 기초로 하는 문헌연구를 통해 다루었다. 이에 서울시 민생사법경찰단 운영 10년의 조직변천 과정과 운영현황을 분석하고 행정의 집행력 강화를 위해 수사 전담조직인 민생사법경찰단의 직무 확장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고찰하고자 한다. 또한 국가보훈처와 같이 특별사법경찰 사무가 활용되지 아니하고 있음에도 법령에 존치되고 있는 현행 관련법률의 정비를 유도하고, 향후 자치경찰제 시행에 따른 특별사법경찰 전담조직의 예상되는 변화를 능동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미래지향적 제언을 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가정보포털 (2016). 재범자 재범종류 및 기간.
  2. 김동규 (2017). 제주자치경찰 운영현황 및 제도상 한계. 자치경찰제 도입 서울시 포럼 주제발표..
  3. 김항규 (2008). 행정과 법. 서울: 대영문화사.
  4. 박종국 (2002). 행정법개론. 서울: 동방도서주식회사.
  5. 서울시, 민생사법경찰단 , 2018.7.27., 내부자료.
  6. 서울시, 민생사법경찰단 내부자료(행정 부시장 방침 제3호, 2018.1.16.).
  7. 서울시, 민생사법경찰단, '18. 4월 특별사법경찰 주요활동사항 보고 자료.
  8. 서울시, 민생사법경찰단, 2018.1.22., 내부자료.
  9. 서울시, 민생사법경찰백서, 2018.11.
  10. 서원우 (1997). 전환기의 행정법 이론. 서울: 박영사.
  11. 신현기, 남재성, 이상열, 양재열 (2017). 서울시 특별사법경찰 10년, 자치경찰제로의 전환을 위한 발전방안 연구. 한국정책학회.
  12. 신형균 (2008). 현대 행정학의 이해. 서울: 선학사.
  13. 양재열 (2015). 제주자치경찰의 특별사법경찰 수사권 효율화 방안. 한세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이종수・윤영진 외 (2012). 새행정학. 서울: 대영문화사.
  15. 자치분권위원회, '문재인정부 자치경찰제 도입초안 공개', 2018.11.13.
  16. 전북일보, "자치경찰제 도입, 주민의 입장에서 고려되어야", 2018.8.12.
  17. 최종영, 정주호 (2017). 軍 정보수사기관의 대통령 경호활동 고찰: 1950년 한국전쟁 이후부터 현재까지. 한국경호경비학회지, 53, 63-79.
  18. 한국경제신문 (2018, 5, 30). "檢.警보다 무서운 특사경 2만명 시대",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052969951.
  19. 행정안전부, 정부조직관리정보시스템.
  20. 홍정선 (2002). 행정법원론(상). 서울: 박영사.
  21. 홍정선 (2003). 행정법원론(상). 서울: 박영사.
  22. https://blog.naver.com/pysbalams/100047755171, 검색일: 2018.6.20.
  23. http://cafe.daum.net/dreamseoulkr, 검색일: 2018.7.11.
  24. http://news.kbs.co.kr/news/view.do?ref=D&ncd=2749224,검색일: 2018.12.17.
  25. https://www.yna.co.kr/view/AKR20170622090200004?input=1179m, 검색일: 2018.12.17.
  26. http://news.tvchosun.com/site/data/htmldir/2013/11/03/2013110390184.html, 검색일: 2018.1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