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강왕구, 정용운, 황인성. (2018) 드론, 자율주행차 등의 미래형 무인이동체 핵심기술 개발 동향 및 향후 계획. 정보와 통신열린강좌 제35권 제1호, 28-35.
|
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7, 12, 7). 무인이동체의 혁신성장 일정표 나오다: 4차 산업혁명 기술의 집약체, 무인이동체 기술혁신과 성장 10개년 로드맵 발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도자료.
|
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8, 3, 29). 육․해상 재난 및 치안현장에서국민을 보호하는 국산 드론이 개발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도자료.
|
4 |
국토교통부 (2017, 12, 21). 국토부, 드론산업 규모 5년내 20배 육성위한 종합계획 발표. 국토교통부 보도자료
|
5 |
김명수 (2018). 드론의 안전한 운용과 프라이버시 보장을 위한 법제 정비 방안. 법제논단, 188-221.
|
6 |
김성배, 김성진 (2014). 주요국 군사용 무인항공기 동향 및 시사점. 주간국방논단, 1501호, 1-11.
|
7 |
김용호, 이경현 (2017). 드론에 의한 프라이버시 침해 방지 및 운용 상 문제 해결을 위한 입법 제안. 정보보호학회논문지, 27(5), 1141-1147.
DOI
|
8 |
김정훈, 김홍배 (2018). 드론 도입을 위한 도시 입체계획의 방향과 과제. 국토계획, 53(1), 51-61.
DOI
|
9 |
김종성, 김선태 (2006). 무인항공기체계 발전 방향. 국방과 기술, 323, 34-47.
|
10 |
김진우 (2017). 무인이동체 기술 로드맵' 마련해 핵심 원천기술 발굴. 나라경제, 4월호, 16-17.
|
11 |
민진규, 박재희 (2018). 드론학 개론 - 현장가이드 북. 서울: 배움 출판사.
|
12 |
박지영, 김선경 (2017). 군사적 활용을 통한 드론산업의 발전 방안. 서울: 아산정책연구원.
|
13 |
송원형 (2017, 12, 5). 육군, 내년 드론봇 전투단 만든다. 조선일보.
|
14 |
신희철, 박성용 (2015). 드론 (Drone) 을 교통분야에 활용하려면. 월간교통, 63-71.
|
15 |
안진영 (2015). 세계의 민간 무인항공기시스템 (UAS) 관련 규제 현황. 항공우주산업기술동향, 13(1), 51-67.
|
16 |
안효정, 박종혁, 유승우 (2014). 민간 무인항공기시스템 인증체계 현황 및 관련규정 연구 동향 분석. 한국항공우주학회지, 42(10), 893-901.
DOI
|
17 |
윤광준 (2016). 국내.외 드론 산업 현황 및 활성화 방안. 부동산 포커스. 제95호, 1-14.
|
18 |
이수미, 김용진 (2017). 드론의 국내도시 도입을 위한 국내외 사례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 표대회 논문집, 37(2), 994-997
|
19 |
이원규 (2015). 드론 (Drone) 을 활용한 도시관리. BDI 정책포커스, 288, 1-12.
|
20 |
이영진. (2016). 무인이동체(자율주행차, 드론)을 위한 측위시스테과 3차원 지도의 전략 분석. 2016 한국측량학회 학술대회자료집, 64-65.
|
21 |
장훈 (2017). 드론법 (Drone Laws): 성장과 규제 사이의 균형점. 과학기술정책, 27(9), 8-11.
|
22 |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2016). 미국과 중국의 드론 규제 현황 조사분석. 서울: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
23 |
정호진 (2015). 미국 소형 무인항공시스템(Small UAS)의 운영과 자격증명에 관한 규정(안) 고시. 1-3, 항공우주연구원.
|
24 |
차원용 (2016, 8, 2). 미국, 소형 무인항공기(UAS, 드론) 규정 발표. 전자과학.
|
25 |
최경아, 이임평, 이효상 (2017). 효율적 행정업무를 위한 드론 공간정보 활용기반 구축방안. 국토연구, 65-81.
DOI
|
26 |
최병록 (2017). 무인항공기 (드론) 사고의 법적책임 연구.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71-79.
|
27 |
Smith, P. D. (2015). 도시의 탄생 (엄성수 역). 서울: 옥당 .
|
28 |
Townsend, A. (2018). 스마트시티 더 나은 도시를 만들다: 4차 산업혁명이 만드는 새로운 도시의 미래 (도시이론연구모임 역). 서울: 엠아이디.
|
29 |
DeGarmo, M. T. (2004). Issues concerning integration of unmanned aerial vehicles in civil airspace. Center for Advanced Aviation System Development, 4.
|
30 |
강욱 (2017). 실종자 수색용 드론 개발 결정에 대한 연구: Kingdon 의 정책흐름모형을 중심으로. 경호경비학회지, 드론 특별호, 11-32.
|
31 |
Petersen, J. (2015). Drones Will Elevate Urban Design. American Society of Landscape Architecture. https://dirt.asla.org/2015/03/10/drones-will-redefine-the-image-of-the-city) 검색일, 2019. 1. 20.
|
32 |
EASA. (2015). Introduction of a regulatory framework for the operation of drones. https://www.easa.europa.eu/document-library/rulemaking-subjects/introduction-regulatory-framework-operation-drones 검색일, 2019. 1. 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