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First Aid Training and the Performance of Facilities Security Personnel

시설보안요원의 응급처치교육이수와 직무수행 관계에 관한 연구

  • 김신혜 (국제대학교 경호보안학과) ;
  • 한이준 (인하대학교 체육학과)
  • Received : 2019.04.30
  • Accepted : 2019.06.05
  • Published : 2019.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first aid training and safety performance. The researcher's questionnaire consisted of three variables: necessity of first aid education, application to security practice, and improvement of job satisfaction. In this study, Chronbach's Alpha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to measure the internal validity for the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In order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measured variable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the Berimax rotation method. The mean variance extracted AVE and the conceptual reliability CR value of the measurement result variables were both above the allowable reference value of 0.5 and it was judged to be a good test in terms of intensive validity. As a result of the hypothesis test, the standardization coefficient was 1.106 for 'necessity of first aid education ⇒ applied to security practice work', and 'applied to security work practice ⇒ improvement of job satisfaction' was 1.063 and the relationship of hypothesis 1 hypothesis 2 was significant (+), Respectively.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job satisfaction of security related workers, it is necessary to support first aid education and to receive first aid education.

본 연구는 시설보안요원의 응급처치교육이수와 보안업무의 직무수행 관계를 분석하고자 보안 업무 관련 실무자를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자의 설문 내용은 3개의 변수인 '응급처치교육의 필요성, 보안실무업무에 적용, 직무만족도 향상'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질문지의 신뢰도분석을 위해 내적 타당도를 측정하는 Chronbach's Alpha 계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측정변수의 타당성 검증을 하기 위해서 베리맥스 회전 방법으로 탐색적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측정 결과 변수들의 평균 분산 추출 AVE 및 개념 신뢰도 CR 값이 모두 허용 기준치 0.5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집중타당도 면에서 양호한 검사로 판정되었다. 가설검증결과 표준화계수가 '응급처치교육의 필요성 ⇒ 보안실무업무에 적용'은 1.106으로, '보안실무업무에 적용 ⇒ 직무만족도 향상'은 1.063으로 산출되어 가설1 가설2의 관계가 유의미한 양(+)의 관계로 나타나 확인 되었다. 따라서 보안관련 업무 종사자들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응급처치교육의 필요성을 높여주고 응급처치 교육을 이수 받기 위한 지원이 필요해 보인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경희, 김윤미, 이희주 (2010). 일반인 응급 상황 경험자의 심폐소생술 교육 및 수행에 대한 특성 고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0(12), 378-386. https://doi.org/10.5392/JKCA.2010.10.12.378
  2. 경찰청 (2015). 2015년도 경찰통계연보. 제59호.
  3. 고보경, 정현주, 전재균 (2013). 항공사 승무원의 감정노동과 직무만족 및 직무성과와의 관계에서 감정소진의 매개효과. 관광레저연구, 25(8), 337-353.
  4. 김두한, 배철수 (2015). 민간경호업체의 효율적 경영을 위한 개선요인. 한국위기관리논집, 11, 185-198.
  5. 김원중, 양철호 (2018). 다중이용시설 안전관리 법제에 관한 문제와 개선 방안. 토지공법연구, 83, 171-195.
  6. 김창호, 염대관 (2016). 경호원 직무만족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서 직무특성의 조절효과 검증. 한국경호경비학회지, 47, 63-84.
  7. 김창호, 하정훈 (2013). 아파트 경비원의 경비업무 수행에 대한 주민들의 인식 및 만족도. 한국치안행정논집, 10(1), 189-212.
  8. 김현호, 강현 (2017). 민간경비원의 응급처치 교육에 대한 실태조사. 한국경호경비학회지, 51, 273-290.
  9. 문유석 (2010). 경찰관의 업무적 자아효능감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지방정부연구, 13(4), 83-102.
  10. 박남권 (2004). 다중이용시설에 있어서 경비적 안전대책: 이용자의 안전의식 조사에 대하여. 용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박영만 (2018). 사설 경호원의 직무 경험 인식에 따른 직무 특성의 탐색. 한국민간경비학회보, 17, 25-44.
  12. 박현주 (2013). 다중이용시설에 설치된 자동제세동기(AED)의 관리.운영 실태조사: 서울시 일부지역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안황권, 박영만 (2009). 민간경비 산업의 경영환경(SWOT)분석과 활성화 전략. 한국경호경비학회지, 20, 229-248.
  14. 오재환 (2011). 개선된 질문검색 요령 교육 프로그램이 민간경비원 직무성과 및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호경비학회지, 28, 81-102.
  15. 유은주, 정숙희, 심선녀 (2017). 미용종사자의 직업관련 변수와 직업전문성이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15(7), 435-444. https://doi.org/10.14400/JDC.2017.15.7.435
  16. 이상철, 신상민 (2005). 한국 민간경호원 교육프로그램 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경호경비학회지, 9, 1-22.
  17. 이지혜, 이인회 (2010). 교사의 업무부담, 직무만족, 조직몰입, 교사 전문성과 학교교육 성과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27, 25-52.
  18. 전호선, 손혜숙 (2015). 보건교사가 수행한 중학생 심폐소생술 교육 효과. 디지털융복합연구, 13(10), 385-395. https://doi.org/10.14400/JDC.2015.13.10.385
  19. 정충영, 최이규 (2001). 한글 SPSS 10.0 SPSSWIN 을 이용한 통계분석. 서울: 무역경영사.
  20. 중앙응급의료센터 (2015). 2015 응급의료 통계연보. 제14호.
  21. 질병관리본부 (2018). 2006-2014 급성심장정지조사 통계집. 질병관리본부.
  22. 최정일, 장예진 (2017). 보안요원의 무도수련과 직무수행 관계에 관한 연구. 융합보안논문지, 17(5), 179-186.
  23. 한영인 (2018). 대학생의 심폐소생술과 자동제세동기에 대한 인식, 교육 및 수행자신감에 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 455-481.
  24. 홍원표, 이중의, 김태윤 (2013). 구연: 일반인 대상 심폐소생술 교육의 방향 및 방법론 제언(델파이 방식 설문). 대한응급의학회 학술대회초록집, 2013(2), 323-324.
  25. 황경희, 이옥철 (2017). 다중이용시설 근무자의 안전의식 및 응급상황 대처능력의 영향요인. 한국위기관리논집, 13, 1-12.
  26. Nunnally, J. L. (1978). Psychometric Theory. MaGraw-Hill, New Y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