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n Official PR Brochures of Presidential Security Service

대통령 경호기관의 역대 공식홍보자료 분석

  • 주일엽 (중부대학교 경찰경호학부)
  • Received : 2019.05.01
  • Accepted : 2019.06.05
  • Published : 2019.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the change of composition and terminology of the official public relation(PR) brochures of the Presidential Security Service of Korea. For this purpose, the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on the official PR brochures of the Presidential Security Servi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mpositions of the official PR brochures of the Presidential Security Service have been gradually changing from the Presidential Security Service to the public. Second, the terminologies of the official PR brochures of the Presidential Security Service have been gradually increasing the using public friendly terms in the middle of the using rigid terms because of the nature of the Presidential Security Service. Therefore, the Presidential Security Service should fulfill the public's rights to know through active PR efforts in the future and concentrate the capabilities in securing the legitimacy of presidential security service while leading the academic development of security servic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ways to renew specific concrete grounds for organization, functions, and employees through legal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s to secure the professionalism of the Presidential Security Service, and to extend the scope of work to the field of national security management and coordination.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통령 경호기관의 역대 공식홍보자료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공식홍보자료 구성과 용어의 변화를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대통령 경호 기관의 역대 공식홍보자료를 대상으로 구성, 용어의 변화 등에 대해 문헌연구 중심의 질적 연구(qualitative study)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통령 경호기관의 공식홍보자료 구성은 대통령 경호기관 중심에서 국민 중심으로 홍보 구성 방향이 점진적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통령 경호기관의 공식홍보자료 용어는 경호기관의 특성상 다소 경직된 용어 사용이 불가피하지만 이러한 가운데에서도 국민 친화적 홍보 용어 사용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통령 경호기관은 적극적인 홍보 노력을 통해 국민의 알 권리를 충족하고, 경호 업무의 학문적 발전을 선도하면서 대통령 경호기관의 행정작용에 대한 정당성 확보와 긍정적 인식 형성에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 또한, 대통령 경호기관의 전문성 확보를 위한 법적·제도적 개선을 통해 조직, 기능, 직원 등에 대한 구체적 근거를 보강하고, 그 업무영역도 국가안전 총괄 및 조정 분야로 확대하는 방안도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정홍보처 (2001). 국정홍보 길라잡이.
  2. 양재열 (2004). 국가원수 경호시스템의 변화와 개선방안 연구: 한국 국가원수 경호시스템변화를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이영래 (2010). 요인테러 발생원인과 경호실패 연구. 광운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장기붕 (2001). 21세기 국가경호기관 model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조광래 (2012). 대통령 경호실장에 관한 연구: 경호실장의 역할 및 경호조직 변화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조선일보 (2008, 2, 1). "대통령실장 밑엔 못 들어가" 경호실 집단 반발. 6면.
  7. 중앙일보 (2008, 1, 17). 장관 호령하던 청와대 경호실도 - 대통령실장 지휘받는 차관급 경호처로. 2면.
  8. Reese, S. (2014). The U.S. Secret Service: History and Missions.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9. 대통령 등의 경호에 관한 법률 (2017). (법률 제14839호, 시행 2017. 7. 26.).
  10. 대통령경호실 (2013). 공식홍보자료.
  11. 대통령경호실법 (1963). (법률 제1507호, 시행 1963. 12. 17.)
  12. 대통령경호처 (2017). 선진경호의 표상 - 대통령경호처.
  13. 대통령경호처 (2018). 문재인정부 출범 1년 - 대통령경호처의 변화.
  14. 대통령실 경호처 (2010). 공식홍보자료.
  15. 두산세계대백과사전 (2019). http://www.doopedia.co.kr, 검색일: 2019. 3. 12.
  16. 정부조직법 (2018). (법률 제15624호, 시행 2018. 6.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