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about Narrative of Weights and Measures in Korea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한국 초등수학 교과서의 도량형 서술 내용에 대한 분석

  • Received : 2019.07.05
  • Accepted : 2019.08.12
  • Published : 2019.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pport elementary teachers to use the teaching of weights and measures. To help the author of the next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 to be used as a reference for the quantitative narrative process. For this purpose, I focused on the contents of textbooks in terms of definition, a unit of measure, and calculation. As a result, first, as for the definition of weights and measures, it is taken as an example rather than as an explicit statement. Second, several problems were found in the metrology content and metric unit introduction order. Third, the computation between measurement units stood in simple computation rather than procedural knowledge. Fourth, it was concluded that the reason and groundbreaking of the grade-specific differences and the amount of a student's education are necessary.

본 연구는 초등 교사들의 도량형 관련 교수·학습과 차기 초등수학 교과서의 도량형 내용 집필 시 참고 자료로서 도움을 주고자 한다. 이를 위해 도량형에 관한 초등수학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를 참고하여 정의 및 개념, 측정단위, 연산 등 세 가지 관점으로 교과서의 서술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도량형 정의의 도입은 명시적 표현보다 예시적인 방법을 선택하고 있다. 둘째, 도량형 내용요소와 단위 도입 순서에 몇 가지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셋째, 측정 단위 사이의 연산은 절차적 지식의 접근보다는 연산처리에 집중하고 있다. 넷째, 이수 학년과 이수 학기에 따른 도량형의 학습내용과 학습량에서 차이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 부분에 대한 이유와 근거 제시가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계량에 관한 법률 시행령(시행 2015. 1. 1. 대통령령 제25923호).
  2. 교육부 (2015).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8].
  3. 교육부 (2017). 수학 1-1. 수학 1-2. 수학 2-1. 수학 2-2. 서울: (주)천재교육.
  4. 교육부 (2018). 수학 3-1. 수학 3-2. 수학 4-1. 수학 4-2. 서울: (주)천재교육.
  5. 교육부 (2019). 수학 5-1. 수학 5-2. 수학 6-1. 수학 6-2. 서울: (주)천재교육.
  6. 국립국어원. (2019).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main/main.do
  7. 김경은. (2019). 새로운 도량형 정의 기념우표로 만난다. http://weekly.khan.co.kr
  8. 김재효, 고호경 (2011). 傳統度量衡을 활용한 數學敎育이 勞人학습자의 情意的領域에 미치는 영향.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HISTORY, 24(1), 1-8. https://doi.org/10.15521/JKMH.2011.24.1.001
  9. 노중국 (2005). 백제의 度量衡과 그 運用. 한국고대사연구, 40, 73-136.
  10. 문화일보. (2019). kg.A.K.mol 기본단위, 특정물질서 불변상수로 변경... 미세오차 없애. http://www.munhwa.com
  11. 이규철, 전봉희 (2009). 개화기 근대적 度量衡의 도입과 尺度단위의 변화. 大韓建築學會論文集計劃系, 25(11), 227-236.
  12. 이종봉 (2016). 韓.中.日古代時期度量衡制比較硏究. 지역과 역사, 38(4), 215-268.
  13. 이종필. (2019). 진시황은 왜 도량형을 통일했을까. http://dongascience.donga.com/news/view/29331
  14. 한국과학창의재단. (2019). 미터법. https://www.scienceall.com
  15. 片桐重男(1992). 수학적인 생각의 구체화(이용률, 성현경, 정동권, 박영배 공역). 서울: 경문사. (원저 1988년 출판)
  16. Euclid (1997). 기하학원론 (이무현 역). 서울: 교우사.
  17. Eves, H. (1997). 수학의 기초와 기본 개념 (허민 외 역). 서울: 경문사. (원저 1990년 출판)
  18. Hiebert, J., Lefevre, P. (1986). Conceptual and Procedural Knowledge in Mathematics: An Introductory Analysis. In J. Hiebert (ed.). Conceptual and Procedural Knowledge: The Case of Mathematics.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 Lamon, S. J. (1993). Ratio and Proportion : Connecting Content and Children's Thinking.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Vol 24(1), 41-61. https://doi.org/10.2307/749385
  20. Leffin, W. W. (1975). Going Metric: Guidelines for the Mathematics Teacher, Grades K-8, The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INC., Washington, D. C.
  21. NCTM (1948). The Metric System of Weights and Measures.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Yearbook 20 [1948]. The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INC., Washington, D. 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