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Teaching Model for Capstone Design Class in English Education

영어수업에서의 캡스톤디자인 수업 모델

  • Received : 2019.09.18
  • Accepted : 2019.11.12
  • Published : 2019.1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1) to present a model for Capstone design class in English education, and (2) to recognize students' performance and perceptions about Capstone design class in English education. The participants were senior students majoring in English education. The Capstone design class model was developed, applied, and evaluated after changing 'English-American Culture' subject to 'Capstone Design for English-American Culture Education.' In this study, the class design, performance procedures, derived topics, and examples of performance outcomes were presented. The classes were also evaluated through an understanding evaluation of English-American culture, task performance and final outcome evaluation, a descriptive satisfaction assessment of students, a lecture evaluation, and a teacher's self-reflection assessment. As the result, the average score of a class that applies Capstone design was higher than that of a class that does not apply the Capstone design. There were many positive opinions regarding the Capstone design class. In addition, the teacher's self-reflection indicated that students should be exposed to such design from the beginning.

본 연구는 지금까지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던 사범계열이면서 인문사회분야인 영어교육에서의 (1)캡스톤디자인 수업 설계와 실제 운영의 예시를 제시하고 (2)캡스톤디자인 수업의 성과와 만족도를 포함한 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대상은 영어교육과에 재학 중인 4학년 학생들이었고 영어교육과 전공수업인 '영미문화' 교과목의 과목명을 '영미문화교육 캡스톤디자인'으로 변경 후 수업 모델을 개발, 적용, 성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업의 설계와 수행 절차, 도출된 주제, 수행 결과물의 예시 등을 제시하였고 영미문화 이해도 평가, 과제 수행 및 최종 결과물 평가, 학생들의 서술형 만족도 조사와 강의평가, 교사의 자기 성찰 평가도 수행하였다. 과제수행의 평가 결과 2017년과 2018년의 모든 팀이 비교적 높은 성취도를 보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영미문화 이해도의 경우, 캡스톤디자인을 적용하지 않고 강의와 학생들의 발표로 이루어진 수업과 캡스톤디자인을 적용한 수업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강의평가 점수의 경우는 캡스톤디자인을 영미문화 수업에 적용한 수업의 강의평가 점수가 높았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 세계와 함께 진로교육의 미래를 논하다, 교육부 보도자료, 2017.
  2. J. H. Jung, "A study on the effect and the development of creative engineering technology education program based on capstone design in elementary,"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Vol.25, No.4, pp.195-215, 2012.
  3. P. D. Moore, S. Cupp, and N. L. Fortenberry, Linking student learning outcomes to instructional practices, phase i. Paper presented at the American Society for Engineering Education Annual Conference, Salt Lake City, 2004.
  4. T. C. Wagenaar, "The capstone course," Teaching Sociology, Vol.21, pp.209-214, 1993. https://doi.org/10.2307/1319011
  5. 김나영, 이소영, "공과대학 캡스톤디자인의 학습성과에 대한 자기조절학습전략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공학교육학회, 제20권, 제5호, pp.34-42, 2017.
  6. 이희원, 김성환, 박근, 김정엽, "공학인증 : 캡스톤디자인 교과목 기반의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 연구," 한국공학교육학회, 제13권, 제6호, pp.143-151, 2010.
  7. 송지영, 전문대학 시각디자인 분야 캡스톤디자인 평가 체계 개발, 부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8. 문경자, "간호학에 적용한 캡스톤디자인의 적용사례 및 결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6호, pp.194-202,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06.194
  9. 윤명한, "디자인분야의 캡스톤디자인 적용사례및 성과 고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12호, pp.111-118,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12.111
  10. 신승훈, 김찬우, "팀티칭 교수법을 적용한 캡스톤디자인과목의 주관적 인식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6호, pp.450-460, 2019. https://doi.org/10.5392/JKCA.2019.19.06.450
  11. 오성록a, "캡스톤디자인을 활용한 융합적인 영어번역 학습," 인문사회, 제21권, 제8-1호, pp.1-16, 2017a.
  12. 오성록b, "융합적인 영어번역 캡스톤디자인에서 미팅의 중요성," 한국융합학회논문지, 제8권, 제8호, pp.247-253, 2017b. https://doi.org/10.15207/JKCS.2017.8.8.247
  13. 김인영, "캡스톤디자인 교육과정을 적용한 영작문 수업모델의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7권, 제15호, pp.443-466, 2017.
  14. 김정연, "사범계열과 비사범계열 대학생의 캡스톤디자인 수업에 대한 학습경험과 학습성과 인식 차이," 통합교육과정연구, 제12권, 제44호, pp.227-250, 2018.
  15. 김지윤, 이태욱, "예비 정보교사를 위한 교과교육영역 캡스톤디자인 교과목 개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22권, 제2호, pp.151-154, 2018.
  16. 김영옥, "수학교육캡스톤디자인 교과목 운영을 통한 예비수학교사의 창의교육역량 함양," 한국수학교육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 p.162, 2016.
  17. E. Hyun, "The present status for understanding and recognition of STEAM education in pre-service teachers majoring in teaching profession of engineering system,"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Vol.20, No.2, pp.3-8, 2017. https://doi.org/10.18108/JEER.2017.20.2.3
  18. R C. Richey, J. D. Klein, and M. W. Tracey, The Instructional Design Knowledge Base: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New York: Routledge,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