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Perception and Response Strategy of Korean Ship Owners on Global Sulphur Cap 2020

황산화물(SOx) 배출 저감 규제에 대한 국적선사의 인식과 대응 전략에 관한 연구

  • 이충호 (중앙대학교 해운물류학과) ;
  • 김현중 (중앙대학교 무역물류학과) ;
  • 박근식 (중앙대학교 국제물류학과)
  • Received : 2018.11.25
  • Accepted : 2018.12.28
  • Published : 2018.12.31

Abstract

In this paper, to analyze the perception and response strategy of Korean ship owners on Global Sulphur Cap 2020, examined the IMO environmental regulation status focusing on MARPOL Annex VI regulation about air pollution prevention, technological measures to reduce SOx emission, shipping industry and management status of Korean ship owners. First of all, th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r Korean ship owners after selecting the evaluation fact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the perception and response strategy of Korean ship owners by corporation size and main vessel type using frequency and cross analysis. It is confirmed that various researches on SOx emission reduction have been carried out from various points of view at home and abroad. In this study, existing studies related to technical factors for regulatory response and economics analysis were examined and evaluation factors were selected. As a result of analysis, it is found that large-sized shipping companies are more prepared for regulatory response than small and medium-sized bulk carrier owners. There were similar perception and the direction of response strategy about the impacts by corporation size and main vessel type. In about two years to be implemented in 2020, It is necessary to find an appropriate response strategy based on the support policy of the government and related organizations and the systematic analysis of the ship owners. Through this study, although the difference between the perception and response strategy of the ship owners by corporation size and main vessel type was understoo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limitations on specific response strategy and corporate data collection. In future research, we should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conduct an in-depth study.

본 논문에서는 황산화물(SOx) 배출저감 규제에 대한 국적선사의 인식과 대응 전략을 분석하기 위해 국제해사기구(IMO)의 환경규제 현황과 선박으로부터의 대기오염방지를 위한 규칙인 국제해양오염방지협약(MARPOL) 부속서 VI, 황산화물(SOx) 배출저감 기술적 방안, 해운산업과 국적선사의 경영현황을 살펴 보았다. 그리고 국적선사들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여 국적선사의 규제와 영향에 대한 인식과 대응 전략을 분석하였다. 평가요인의 선정 작업을 거쳐 국적선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빈도 및 교차 분석을 진행하여 규모별, 주력선종별 선사의 인식과 대응 전략의 차이, 국적선사의 대응 전략의 방향성을 알아보았다. 관련 선행연구 및 문헌들을 검토하면서 그 동안 국내외에서 다양한 관점으로 황산화물(SOx) 배출저감에 관한 여러 연구들이 시행되어왔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규제 대응을 위한 기술적 방안들과 경제성 분석 관련 기존 연구들을 고찰하여 평가요인을 선정하였다. 분석 결과 대형선사가 중소 벌크선사에 비해 규제 대응의 준비가 원활히 실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선사 규모와 주력선종별 선사의 규제에 따르는 환경적인 영향에 대한 인식이나 대응 전략에 대한 방향성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규제의 시행까지 약 2년이 남은 상황에서 정부와 관련기관의 지원 정책과 선사별 체계적인 분석과 계획을 바탕으로 적절한 대응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국적선사들을 대상으로 주력선종별 선사들의 인식과 대응 전략의 차이를 파악하였지만 구체적인 대응 전략이나 기업의 데이터 수집의 한계가 존재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의 한계점을 극복하여 보다 심도 있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해운산업 관계자들이 황산화물(SOx) 배출저감 규제 대응 준비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국가적으로 중요한 해운산업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최적의 대응 전략이 수립되기를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영민(2018), 세계 해운시장 동향과 대응방안, 해양한국, 제2018호 제1호.
  2. 김승섭(2016), 2015 국적선사(90 개사) 경영실적, 해양한국, 제2016권 제5호.
  3. 김연태(2018), 선박황산화물배출규제 협약(Sulphur Cap 2020) 연기될 것인가?, 해양한국, 제2018호, 제3호.
  4. 김우호, 김수엽, 이건우(2012), IMO 온실가스 시장기반조치(MBM) 대응 방안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5. 김윤주(2017), IMO 탄소배출권거래제도 도입이 국내 해상 운송기업에 미치는 경제적 영향, 중앙대학교 글로벌인적자원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박재영(2017), 해운기업의 황산화물(SOx) 배출저감 최적대안에 대한 연구, 중앙대학교 글로벌인적자원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서윤희(2011), 선사의 녹색해운에 대한 인식수준과 전략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글로벌인적자원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신원용(2014), 해운 및 조선업의 환경 규제대응에 관한 인식연구, 중앙대학교 글로벌인적자원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이건호, 송무석(2008), 해양에서 황산화물 오염 규제에 대한 소고,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지, 제11권 제4호.
  10. 임종관, 이언경, 김찬호, 김정현, 최중희, & 김은수(2010), 녹색해운 전망과 대응전략, 한국해양수산개발원.
  11. 전용준(2014), 해운 시황 변화에 따른 한국 해운 기업의 경영 전략 연구, 중앙대학교 글로벌인적자원개발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최재선, 김민수(2010), 환경 규제에서 살아남기, 해양국토21, 제6권.
  13. 최재선, 육근형(2004), 국제해사기구(IMO)의 해양환경 오염규제 대응방안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14. 한국선급 기술개발팀(2017), 강화된 Global SOx 규제 대응을 위한 선주지침서, 한국선급.
  15. 한철(2013), 해상운송사업자에 대한 온실가스 규제, 과학기술법연구, 제19권 제3호.
  16. 황진희(2014), 국적선사 없이 수출 경제대국 가능한가?, 해양항국, 제2014권 제1호.
  17. Luo, Meifeng(2013), Emission reduction in international shipping-the hidden side effects, Maritime Policy & Management, 40(7).
  18. Nikopoulou, Zoi, Kevin Cullinane & Arne Jensen(2013), "The role of a cap-and-trade market in reducing NOx and SOx emissions: Prospects and benefits for ships within the Northern European ECA, Proceedings of the Institution of Mechanical Engineers, Part M: Journal of Engineering for the Maritime Environment, 227(2).
  19. Pimentel, David, Lori Lach, Rodolfo Zuniga & Doug Morrison(2000), Environmental and Economic Costs of Nonindigenous Species in the United States, BioScience, 50(1).
  20. Shell Trading and Supply(2017), LNG as a Marine Fuel, Shell Technical Conference, 23-24th March.
  21. Wilcove, David S., David Rothstein, Jason Dubow, Ali Phillips & Elizabeth Losos(1998), Quantifying Threats to Imperiled Species in the United States, BioScience, 4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