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f the Strategy of Establishment and Expansion of Green Port - the Case of Incheon Port -

녹색항만의 구축과 활성화 방안 -인천항의 사례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8.11.25
  • Accepted : 2018.12.28
  • Published : 2018.12.31

Abstract

Environmental value is essential to the survival and development of humans. Environmental value and its importance are being emphasized, and related disputes are being expanded. The concept of green logistics is understood to be the same as that of the environment. As a way to preserve nature and engage in sustainable development, green logistics includes all logistical activities for protecting nature and minimizing or reducing behaviors that harm the environment for all processes, including using and reusing products and abolishing the search for resources by final users. All areas of human activity, such as the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sectors, strive to protect and preserve the environment and nature. In particular, the preservation of the environment shall be stressed in the economic activities that produce various products and expand the value added, and similarly for the social aspects. Green (environment) logistics aims to protect the environment and expand the prevention of environmental destruction and minimization on Earth. Some important cases and experiences that were introduced and applied in major countries are summarized. This research reviewed previous studies and the concepts of green logistics, including at ports, which represent a key sector of logistical activities. In this paper, air and water pollution at Incheon Port were investigated, and alternatives and system figures related to improving environmental logistics regarding three dimensions-country, company, and civil society-are recommended.

인류에게 환경가치는 생존과 발전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물류부문에서의 환경가치와 그 중요성이 강조되며 관련 논의가 확대되고 있다. 녹색물류(green logistics)는 환경물류(environmental logistics)란 개념과 같은 개념으로 이해되고 있다. 녹색물류란 본래의 자연의 유지 또는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원재료의 탐색에서 최종소비자에 이르는 과정과 사용 및 사용 후 재활용, 재사용, 폐기 등에 이르기까지의 전 과정에서 환경을 보호하며, 환경위해 요소와 행위를 원천적으로 차단하거나 최소화하는 여러 물류활동이라 할 수 있다. 인류의 거의 모든 활동 즉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전 분야에서 환경을 유지, 보전하려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다양한 재화를 생산하고 부가가치를 확대하는 경제활동과 이를 활용하는 사회적인 측면에서 환경보전이 강조될 필요가 있다. 물류는 경제활동의 일부로서 인류에게 소요되는 모든 물적 재화의 흐름을 포괄하며, 녹색(환경)물류는 지구상에서 환경의 보호와 파괴 방지 및 최소화를 지향하는 활동이라 할 수 있다. 항만은 물류활동의 중요 위치를 형성하는 중요한 물류거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녹색물류와 녹색항만의 개념에 대한 고찰과 기존의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본 연구는 인천항을 사례로 선정하여 항만의 대기와 수질의 오염실태를 살펴보았다. 인천항의 환경오염 실태와 과제 등을 분석하고 향후 녹색항만으로서 인천항을 위한 다양한 대안과 전략을 모색, 제시하였다. 청정한 녹색항만은 항만 단독의 노력으로만 성취되기 어렵다. 관련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및 시민사회의 관심과 참여 등이 통합적으로 조정될 때 더 효과적으로 성취될 수 있을 것이며, 본 연구에서는 관련 협력체계를 제시하였다. 녹색항만은 빠르게 변화하는 선진기술들을 수용하여 환경개선에 지속적으로 노력할 때 그 실효성이 더 향상될 것이다. 물류분야에서 녹색항만에 대한 연구는 향후에도 보다 구체적으로, 현장에 연계되어 추진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범중 외 5인(2008), 세계물류환경변화와 대응방안(V), KMI, pp.253-255.
  2. 김태환.유승균(2012), "녹색성장 정책과 정부 지원에 관한 연구", 통상정보연구, 한국통상정보학회, 제14권 제1호,pp.337-338
  3. 김홍섭(2009), 환경물류의 주요 실태와 우리나라에서의 확대 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v.25 no.4, pp.251-280
  4. 박광서.유광현(2010), , "우리나라 물류비 절감을 위한 물류정책의 효율성 제고방안에 관한 연구", 무역상무연구, 제45권, 한국무역상무학회, pp.139-163.
  5. 박찬석(2006), "정부의 물류정책과 물류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小考", 우정정보, 제67권, 정보통신정책 연구원, pp.1-25.
  6. 송계의.한철환(2007),"항만의 환경오염 저감방안에 관한 연구",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3권 제1호,
  7. 신광철(2018), 울산항 녹색항만정책 재정립을 위한 개선방안 연구, 한국해양대 석사학위논문
  8. 에너지경제연구원(2008),저탄소 경제시스템 구축 전략 연구-통합모형 구축 및 경제.환경적 효과 분석
  9. 이우승.전병은(2007), 서울시 대기환경개선을 위한 그린물류 도입방안, 서울시정개발연구원, pp.142-143.
  10. 이태동(2015), 항만과 도시의 연계성을 고려한 녹색항만 (Green port) 구축방안연구(서울시립대 석사학위논문)
  11. 인천광역시, 제3차 지역물류기본계획안. 2018. 12
  12. 인천항만공사(IPA, 2013), 인천항 Green Port 구축.
  13. 인천항만공사(IPA), www.icpa.or.kr
  14. 인천보건환경연구원, http://air.incheon.go.kr
  15. 정봉현(2009),녹색성장시대에 환경친화적 항만관리정책의 발전방향, 한국항만경제학회지 Vol.25 No.3,
  16. 정준식, 오희진(2015), 창원지역 물류환경 변화에 따른 마산항의 녹색 항만 구축방안(한국산업경제학회 정기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5 No.12)
  17. 조성원(2010), 녹색물류의 영향요인과 녹색물류 및 성과에 관한 연구.(산업경제연구, 23(2), 675-696)
  18. 정행득.이상호( 2013), "물류산업의 환경변화와 경쟁력 강화방안에 관한 연구", 물류학회지, 제23권제1호, 한국물류학회, pp.5-27
  19. 최동현 외(2000) 주요 항만 오염실태 및 관리방안 연구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 최상희(2011), 녹색기술 기반의 미래 항만 개발전략과 효과 분석 : 컨테이너 터미널을 중심으로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1. 최상희(2014),항만물류분야 친환경기술인증(녹색인증) 개선방안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2. 최석범,남정우(2011), 일본의 친환경항만정책과 시사점(韓國港灣經濟學會誌, Vol.27 No.3)
  23. 한국교통연구원(2009), 녹색물류 인증제도 도입방안 연구 -최종보고서, 국토해양부.
  24. 해양수산부, www.mof.go.kr
  25. 해양환경관리공단. https://www.koem.or.kr/sub01/s010106.jsp
  26. Bailey, D., Solomon, G.,(2004), "Pollution Prevention at & Ports: Clearing the Air",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Review, Vol. 24, pp. 749-774. https://doi.org/10.1016/j.eiar.2004.06.005
  27. Lam, J.S.L.; Notteboom, T.;(2014),The Greening of Ports: A Comparison of Port Management Tools Used by Leading Ports in Asia and Europe(Transport reviews, Vol.34 No.2, 2014)
  28. Purba Rao and Diane Holt(2005), "Do Green Supply Chains Lead to Competitiveness and Economic Performance," International of Operations & Production Management, Vol.25, No.9, pp.898-916. https://doi.org/10.1108/01443570510613956
  29. World Economic Forum(2008), 대한상공회의소, 환경 경영국제화 동향과 산업계 대응보고서, 200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