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학습 튜터링 프로그램이 대인관계, 자기주도적 학습력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cademic Tutoring Program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y and Academic Self-efficacy

  • 곽정숙 (목포과학대학교 치위생과) ;
  • 우승희 (목포과학대학교 치위생과)
  • 투고 : 2018.05.23
  • 심사 : 2018.07.04
  • 발행 : 2018.07.28

초록

본 연구는 학습 튜터링 프로그램이 대인관계와 주도적 학습력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 문제는 학습 튜터링 프로그램이 대인관계, 주도적 학습력,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프로그램 실시 전, 후 대인관계, 자기주도 학습력,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변화가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2017년 9월 18일부터 11월 17일까지 한 학기동안 학습 튜터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재학생 214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튜터링 프로그램 참여 후 자기주도 학습력과 개인학습성향은 튜터링 프로그램 참여 전보다 다소 감소됨을 보였고, 대인관계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향상됨을 보였다. 성별에 따라서도 튜터링 프로그램 전, 후 가장 크게 향상된 부분은 대인관계이고, 학년과 참여 동기에서도 가장 향상된 부분은 대인관계이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학업적 자기효능감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하면 튜터링 프로그램을 시행하여 가장 크게 변화되고, 효과를 나타내는 부분이 대인관계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이라 말할 수 있는 결과를 보였다. 결국, 대인관계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향상은 학생들의 학교적응뿐만 아니라 학업수준까지 향상시켜 결국에는 중도탈락을 예방하여 대학 기관의 안정적 운영과 질적 경쟁력 제고에 기여할 수 있는 우수한 학습 프로그램이라 판단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an academic tutoring program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elf- directed learning capability and academic self-efficacy. The research question posed in this study was whether an academic tutoring program would affect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y and academic self-efficacy.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 a self-administered survey was conducted to gather data on 214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n academic tutoring program during a semester from September 4 to November 10, 2017.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After their participation in the tutoring program, there was a little decrease in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y and personal learning orientation, and they made progres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academic self-efficacy. By gender, there was the greatest improvement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s well after their participation in the tutoring program. By academic year and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they showed the best improvement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s well, followed by academic self-efficacy. In other words, it could be said that the parts which the tutoring program brought about the biggest change to and worked best on wer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academic self-efficacy. In conclusion, the improvemen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academic self-efficacy could boost not only the school adjustment of students but their academic levels and then eventually prevent them from dropping out. Therefore this program seems to be one of outstanding learning programs that could make a contribution to the stable management and qualitative competitiveness of universitie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명귀, Jung의 심리경향에 따른 청소년의 대인관계 성향분석,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2. Howard S. Barrows, The Tutorial Process, 3Ed., Illinois,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2005.
  3. 김민정, 전문대학 튜터링 프로그램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인들의 구조적 관계 규명,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4. 김수영, 대학 내 튜터링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5. 김연경, 송혜덕, "대학의 튜터링 프로그램에서 튜티가 인식한 튜터의 역량수준이 튜터링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지, 제15권, 제5호, pp.229-250, 2015.
  6. 김진실, 이무영, "전문대학 전공수업에서의 학습공동체 운영 효과 분석," 한국농산업교육학회지, 제39권, 제2호, pp.205-226, 2007.
  7. 남민우, 대학생 모바일 러닝 사용의도와 관련요인 구조방정식 모델,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8. 선복근, 김병삼, 정준오,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한학생 주도형 학습공동체(피어 튜터링)활동," 한국공학교육학회지, 제12권, 제4호, pp.126-128, 2009.
  9. 송윤희, 김성환, "대학 튜터링 프로그램이 수학 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 H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교과교육학연구지, 제16권, 제2호, pp.441-459, 2012.
  10. 안수현, 김현철, "튜터링 프로그램에서의 지도 튜터 운영사례 연구: S대학교 튜터링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교육과학연구지, 제45권, 제3호, pp.1-24, 2014.
  11. 오선아, "동료 튜터링과 개별학습에 따른 인식론적 신념, 자기주도학습능력과 학업성취도분석," 한국교육방법학회지, 제26권, 제4호, pp.791-816, 2014.
  12. 이수지, 의과대학의 문제중심학습에서 튜터의 전문분야와 교수경험에 따른 개입 형식과 학습결과의 차이,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13. 이신영, 일반물리 수업에서 대학생의 개념 이해력과 수리문제 해결력 비교 및 튜터링 프로그램의 적용,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14. 이정기, "대학 튜터링 프로그램 참여역할에 따른 튜터링 프로그램 이용과 효과," 학습과학연구지, 제9권, 제1호, pp.49-26, 2015.
  15. 황은영, 엑설런트 튜터링(대학생을 위한 학습가이드), 학지사, 2008.
  16. 황채연, 튜터링 프로그램이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