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ementic Network Analysis of Elementary Students' Perceptions about Global Environment

초등학생들의 지구환경 인식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

  • Received : 2018.12.03
  • Accepted : 2018.12.21
  • Published : 2018.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students' 'global environment'. The research method used the Sementic Network Analysis method of the global environment elements which appeared in the students' explanation about the picture and the picture that emerged about the 'global environ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tudents' explanation of the pictures along with the pictures of the students, the elementary students were perceived negatively about the global environment such as 'environmental pollution', 'global warming' and 'trash problem'.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age of the global environment expressed in the picture, there were many images expressed from a everyday viewpoint rather than a macroscopic viewpoint, and there was a tendency to express the earth personified. In addition, the picture expressing the clean earth environment expressed the most trees with natural environment elements and expressed the healthy earth with various natural elements such as sea, mountain, and land.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of global environment by grade, it was found that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of global environment by grade was not much different.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들의 '지구환경'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은 '지구환경'에 대해 떠오르는 생각을 그림과 함께 그림에 대한 학생들의 설명에 나타난 지구환경 요소들을 언어네트워크 분석법을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그림과 함께 그림에 대한 학생들의 설명을 분석한 결과 초등학생들은 '환경오염', '지구온난화', '쓰레기' 등과 같이 지구환경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을 하고 있었다. 둘째, 그림에 표현된 지구환경에 대한 이미지를 분석한 결과 우주적 관점보다는 일상적 관점에서 표현된 그림이 많았으며, 지구를 의인화하여 표현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깨끗한 지구환경을 표현한 그림은 자연환경요소로 나무를 가장 많이 표현하였고, 바다, 산, 땅 꽁 등 다양한 자연요소로 건강한 지구를 표현하였다. 셋째, 지구환경에 대한 학년별 인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학년에 따른 지구환경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크게 다르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KHGOB1_2018_v11n3_212_f0001.png 이미지

Fig. 1. Sociogram for the Global Environment

KHGOB1_2018_v11n3_212_f0002.png 이미지

Fig. 2. A picture of the earth personified from macroscopic viewpoint

KHGOB1_2018_v11n3_212_f0003.png 이미지

Fig. 3. A picture of the contrasts two environments from everyday viewpoint

KHGOB1_2018_v11n3_212_f0004.png 이미지

Fig. 4. Picture showing natural environment

KHGOB1_2018_v11n3_212_f0005.png 이미지

Fig. 5. Picture showing global warming

KHGOB1_2018_v11n3_212_f0006.png 이미지

Fig. 6. Picture showing trash problem

KHGOB1_2018_v11n3_212_f0007.png 이미지

Fig. 7. Picture showing air pollution

KHGOB1_2018_v11n3_212_f0008.png 이미지

Fig. 8. Sociogram for the Global Environment of 3rd grade

KHGOB1_2018_v11n3_212_f0009.png 이미지

Fig. 9. Sociogram for the Global Environment of 6th grade

KHGOB1_2018_v11n3_212_f0010.png 이미지

Fig. 10. Integrated Sociogram for Global Environment of 3rd grade and 6th grade

Table 1. Subject of research

KHGOB1_2018_v11n3_212_t0001.png 이미지

Table 2. Frequency and centrality of the top 30 words

KHGOB1_2018_v11n3_212_t0002.png 이미지

Table 3. Frequency and centrality of words by grade

KHGOB1_2018_v11n3_212_t0003.png 이미지

References

  1. 권은정, 홍승호(2012). 환경에 대한 연상 단어와 그리기 활동을 통해 나타난 초등학생의 환경인식 및 거주 지역, 학년 간의 비교. 환경교육, 25(2), 161-179.
  2. 김동규(1996). 세계의 환경교육. 서울: 교육과학사.
  3. 김명균, 정철(2007). 환경그리기를 통한 중학생의 환경인식 조사. 한국환경과학회지, 16(4), 479-485.
  4. 김윤지(2015). 지구 환경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정신모형.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8(1), 25-34. https://doi.org/10.15523/JKSESE.2015.8.1.25
  5. 김윤지, 정진우(2007). 지구 환경에 대한 예비 지구과학 교사들의 인식. 중등교육연구, 55(3), 45-60.
  6. 김자영(2011). 환경 그리기 활동을 통해 본 초등학생의 환경인식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남인용, 박한우(2007). 대권 예비후보자 관련 신문기사의 네트워크 분석과 홍보전략. 한국정당학회보, 6(1), 79-107.
  8. 박선자(2009). 교육청 영재교육원 중등 과학 담당 교사들의 영재성에 대한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박순호, 윤성자(2005). 우리나라 초등학교 환경교육의 목표와 내용분석.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1(2), 247-262.
  10. 박지은, 이봉우(2012). 과학 영재교육 담당교사의 영재교육 전문성에 대한 인식. 교과교육학연구, 16, 587-601.
  11. 박한우, Leydesdorff, L.(2004). 한국어의 내용분석을 위한 KrKwic 프로그램의 이해와 적용: Daum.net에서 제공된 지역혁신에 관한 뉴스를 대상으로.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6(5), 1377-1387.
  12. 유은수(2006). 초등과학에서 환경교육내용 분석과 웹 기반 ICT 자료 활용 방안 연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이경찬(2007). 그림을 이용한 도시 아동의 환경인식에 관한 연구: 초등학교 3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이상균, 김순식(2018).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한 국내 영재상담 관련 연구동향 분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1(2), 145-157. https://doi.org/10.15523/JKSESE.2018.11.2.145
  15. 이용섭, 김순식(2013).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환경친화적 태도와 환경지식 분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6(3), 235-241. https://doi.org/10.15523/JKSESE.2013.6.3.235
  16. 이혜준, 이동일, 이주현(2010). 의미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프랜차이즈 교육 프로그램 개발. 경영교육연구, 14(2), 105-128.
  17. 이효녕(2008). 지구환경문제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인식. 중등교육연구, 56(1), 51-74.
  18. 정철(2011). 그리기를 활용한 중학생의 지구 환경 문제에 대한 인식 조사. 환경교육, 24(1), 76-87.
  19. 최소영(2013). 그리기 활동을 통한 고등학생들의 인간과 환경의 관계에 대한 인식 및 성별차 조사. 환경교육, 26(1), 49-61.
  20. 홍지선(2010). 환경이미지 그리기를 통한 초등학생의 환경인식 조사.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황만익(1990). 환경문제와 환경교육. 환경교육, 1, 17-28.
  22. Alerby, E. (2000). A way of visualising children's and young people's thoughts about the environment: A study of drawings.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6(3), 205-222. https://doi.org/10.1080/13504620050076713
  23. Borgatti, S.P., Everett, M.G. and Freeman, L.C. (2002). Ucinet for windows: Software for Social Network Analysis. Harvard, MA: Analytic Technologies.
  24. Lieberman, G. A., & Hoody, L. L. (1998). Closing the achievement gap: using the environment as an integrating context for learning. Results of a Nationwide Study.
  25. Rennie, L. J., & Jarvis, T. (1995). English and Australian children's perceptions about technology. Research in Science & Technological Education, 13(1), 37-52. https://doi.org/10.1080/0263514950130104
  26. Scherz, Z., & Oren, M. (2006). How to change students' images of science and technology. Science Education, 90(6), 965-985. https://doi.org/10.1002/sce.20159
  27. Shepardson, D. P. (2005). Student ideas: What is an environment? The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36(4), 49.
  28. Shepardson, D. P., Wee, B., Priddy, M., & Harbor, J. (2007). Students' mental models of the environmen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The Official Journal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4(2), 327-348. https://doi.org/10.1002/tea.20161
  29. Thomas, G. V., & Silk, A. M. (1990). An introduction to the psychology of children's drawings. New York University Press.
  30. Tognacci, R. H. & Weigel, J. (1978). Environmental concern : The development of a measure. Enviroment & Behaviour, 10, 3-15. https://doi.org/10.1177/0013916578101001
  31. Wasserman, S., & Faust, K. (1994).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s and applications (Vol. 8). Cambridge university press.
  32. Weigel, L. N., Weigel, R. H., Wideen, M. F. & Vernon, D. T. A. (1972). Environmentaquality : How universal is public concern? Enviroment & Behaviour, 4, 73-86. https://doi.org/10.1177/001391657200400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