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Project-Based Learning on Science Concepts and Science Learning Motivation

프로젝트 기반 수업이 과학개념 및 과학학습 동기에 미치는 효과

  • Received : 2018.11.27
  • Accepted : 2018.12.20
  • Published : 2018.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oject-Based Learning on Science Concepts and Science Learning Motivation. This particular study was proceeded to 4th grader at S elementary school, there was a mutual agreement with a homeroom teacher about assigning a research group and comparison group and it was agreed to students by explaining the reason and purpose of the study. There searcher visited in person to pick 22 students for research group and another 20 students for comparison group. For a research group, an experimental group, homeroom teacher, proceeded a science class with the application of Project-Based Learning. The experimental period was set up as a 40 minutes class unit for 12 weeks. After an experimental group, Science Concepts and Science Learning Motivation were examined, data collection and data analysis were proceeded by order. The following experimental results are as below. First, the application of Project-Based Learning method in a class was effective in improvement of Science Concepts acquisition. Second, the application of Project-Based Learning method in a class was effective in cultivation of Science Learning Motivation. Third, the application of Project-Based Learning method in a class had a positive cognition from the learn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Based on the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some suggestions in the follow - up study are as follows. First, applying Project-Base Learning to various science lessons and learning effects can be suggested as one of the new teaching methods. Second, the use of the Project-Based Learning to test the effec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different grades may be regarded as another teaching method for science class.

본 연구의 목적은 프로젝트 기반 수업을 활용한 과학수업이 과학개념 습득 및 과학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S초등학교에서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반 선정을 위해 담임교사에게 동의를 구하였다. 그리고 학생들에게는 본 연구의 목적과 취지를 설명하고 연구에 대한 동의를 받았다. 연구자가 직접 내방하여 연구반 1개반을 선정하였다. 연구반에 대해서는 담임교사를 실험처치자로 선정하여 프로젝트 기반 수업을 활용한 과학수업을 진행하였다. 연구기간을 설정하여 40분 단위 수업을 12주 동안 실시하였다. 실험처치 수업 후에는 사후 과학개념 검사, 과학학습동기 검사를 실시하고 자료를 수집 분석하여 정리하는 단계로 진행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젝트 기반 수업을 활용한 과학수업이 과학개념 습득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둘째, 프로젝트 기반 수업를 활용한 과학수업이 과학학습동기 함양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셋째, 프로젝트 기반 수업 후 연구집단의 학습자들 인식 반응에서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Keywords

KHGOB1_2018_v11n3_203_f0001.png 이미지

Fig. 1. Learning course of the Project-Centric

Table 1. Experimental design for study

KHGOB1_2018_v11n3_203_t0001.png 이미지

Table 2. Unit and Subjects of Science Education

KHGOB1_2018_v11n3_203_t0002.png 이미지

Table 3. Project Course of water circulation

KHGOB1_2018_v11n3_203_t0003.png 이미지

Table 4. Average and contents by question(N=22)

KHGOB1_2018_v11n3_203_t0004.png 이미지

Table 5. Questions number of science learning motivation test(*Negative question)

KHGOB1_2018_v11n3_203_t0005.png 이미지

Table 6. Average value of each question(N=22)

KHGOB1_2018_v11n3_203_t0006.png 이미지

Table 7. The Effect of Project-based Instruction on Science Learning Motivation

KHGOB1_2018_v11n3_203_t0007.png 이미지

Table 8. After analysis of the learners aware of thinking maps applied science class

KHGOB1_2018_v11n3_203_t0008.png 이미지

References

  1. 강인애, 정준환, 서봉현, 정득년(2011). 교실 속 즐거운 변화를 꿈꾸는 프로젝트 학습. 상상채널.
  2. 김경원, 김연진, 이경희(2012). 리얼!! 프로젝트 학습. 상상채널.
  3. 김대현, 왕경순, 이경화, 이은화(1999). 프로젝트 학습의 운영. 학지사.
  4. 김수환, 한선관(2013). 스마트러닝 환경에서의 프로젝트 학습 전략 및 요인 분석.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7(3), 243-252. https://doi.org/10.14352/jkaie.2013.17.3.243
  5. 김영선, 최용훈, 김지은(2017). 프로젝트학습이 학업성취도와 인식에 미치는 영향.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 7(3), 871-878
  6. 김현진(2006). 프로젝트 수업의 구성 방안 연구. 한국어교육, 17(1), 101-131.
  7. 김혜진, 이수경(2017). 자연친화적 예술경험을 기반으로 한 과학 프로젝트가 아동의 과학적 태도변화에 미치는 효과. 조형교육, 64, 41-65.
  8. 민성혜, 이화영(2003). 이해하기 쉬운 프로젝트 교사 지침서. 창지사.
  9. 박성희, 허효정(2009). 다중지능이론을 활용한 프로젝트 학습이 초등학생의 학습동기와 사회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교육방법연구, 21(2), 51-67.
  10. 신수범, 한희정(2006). 블랜디드 학습에 기반한 통합교과 프로젝트 학습 전략 및 효과. 한국컴퓨터교육학회지, 9(4), 25-34.
  11. 신예주(2016). 프로젝트 기반 융합인재교육이 과학 학습동기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부산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여상한, 엄우용(2014). 초등 교육과정과 연계한 프로젝트중심학습 설계 모형 개발. 교육공학연구, 30(2), 259-283.
  13. 오정임(2004). ARCS 모델을 적용한 과학수업이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5학년 전기회로 꾸미기 단원을 중심으로. 부산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이승실(2010). 블렌디드 러닝 기반 '함께 역사하기' 프로젝트 학습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5. 이용섭(2016). 초등예비교사의'지층과 암석'에 대한 프로젝트 학습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환경감수성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9(2), 233-242. https://doi.org/10.15523/JKSESE.2016.9.2.233
  16. 이형철, 오정임(2005). ARCS 전략을 적용한 과학수업이 초등학생의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5학년 전기회로 꾸미기 단원을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24(5), 539-545.
  17. 정정희, 강혜숙(2001). 프로젝트를 활용한 초등학교 통합 교육과정 개발과 적용에 관한 연구. 교육과정연구, 19(1), 343-362.
  18. 정준환(2015). 신나는 프로젝트학습. 상상채널.
  19. 조혜진, 이형철(2013). Prezi를 활용한 프로젝트 수업이 초등과학영재반 학생들의 창의성, 과학탐구능력 및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6(1), 50-59. https://doi.org/10.15523/JKSESE.2013.6.1.050
  20. 한조은, 박세희, 정보람, 김종원, 이선경(2015). 프로젝트 기반 에너지기후변화 학습에 참여한 초등학생의 경험과 역량. 에너지기후변화교육, 5(2), 53-67.
  21. Amesty, E. & Paez, D. (2018). Using project-based learning with venezuelan teachers to enhance teacher attitudes about school-based drug abuse prevention: A Control-Group Comparison Study. Psychology in the Schools, 55(8), 969-981. https://doi.org/10.1002/pits.22159
  22. Bell, S. (2010). Project-based learning for the 21st century: Skill for the future. The Clearing House, 83, 39-43. https://doi.org/10.1080/00098650903505415
  23. Braden, S. S. (2012).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and teachers in project-based learning and balanced mathematics classrooms. ProQuest LLC. 113.
  24. Flening, D. (2000). The teacher's guide to project-based learning. Washington, DC: Office of Educational Research and Improvement.
  25. Hallermann, S., Larmer, J. & Mergendoller, J. (2011). PBL in the elementary grades. Novato, CA:Buck Institute for Education.
  26. Markhan, T. (2001). Project based learning. Teacher Librarian, 33(2), 38-42.
  27. Markhan, T., Larmer, J. & Ravitz, J. (2003). Project based learning handbook: a guide to standards-focused project based learning for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Novato, CA: Buck.
  28. Song, Y. (2018). Improving primary students'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competency in project-based science learning with productive failure instructional design in a seamless learning environment.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66(4), 979-1008. https://doi.org/10.1007/s11423-018-9600-3
  29. Thomas, W. J. (2000). A review of research on project based learning. San Farael, CA: Autodes Found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