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the Gender Role Identity and Gender Stereotypes on the Prejudice Against Male Nurses of Hospital Workers

병원 종사자의 성 역할 정체감과 성 고정관념이 남자간호사에 대한 편견에 미치는 영향

  • 최주희 (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인문사회의학교실) ;
  • 장철훈 (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진단검사의학교실) ;
  • 김성수 (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인문사회의학교실)
  • Received : 2018.10.29
  • Accepted : 2018.11.26
  • Published : 2018.12.28

Abstract

As more and more males are participating in the female dominated nursing profession in Korea, they are facing a number of discriminations such as department assignment on the job because of male gender stereotyp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spital workers's gender role identity, gender stereotyp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ose attitudes and gender prejudice against male nurs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ndrogynous group had lower gender stereotypes and lower prejudice against male nurses than those of the other groups. Hospital workers had a strong tendency to believe that male nurses should work mainly in special departments such as emergency rooms, intensive care units, operating rooms and they think that the male nurses are not fit for caring patients because of the patients' unfamiliarity with male nurses. Gender stereotyp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to prejudice against male nurses. Therefore, hospitals should consider developing a detailed plan to encourage a culture of gender equality by tackling the existing prejudice against male nurses so that male nurses can get the same opportunities as female counterparts in terms of department assignment and job promotion.

여성이 대다수인 간호전문직에 남자간호사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나, 그들은 성 고정관념에 따른 사회적 장벽에 부딪히며, 부서배치 등에서 차별을 경험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병원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성 역할 정체감과 성 고정관념이 남자간호사에 대한 편견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 결과 양성성 집단은 성 고정관념과 남자간호사에 대한 편견이 다른 집단에 비해 낮았으며, 병원종사자들은 남자 간호사들이 일반인들에게 낯설고 생소하며, 응급실, 중환자실, 수술실 같은 병원의 특수 부서에서 주로 일할 것이라는 편견을 가지고 있었고, 성 고정관념은 남자간호사에 대한 편견에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따라서 의료기관은 남자간호사에 대한 편견을 해소하기 위해 양성 평등적인 조직문화를 구축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여 성 고정관념을 탈피하기 위해 노력하고, 간호조직 내에서 남성과 여성이 동등한 기회를 부여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Keywords

표 1. 대상자의 일반적/근무관련 특성

CCTHCV_2018_v18n12_75_t0001.png 이미지

표 2. 대상자의 성역할 정체감

CCTHCV_2018_v18n12_75_t0002.png 이미지

표 3. 대상자의 일반적/근무관련 특성에 따른 성역할 정체감

CCTHCV_2018_v18n12_75_t0003.png 이미지

표 4.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성역할 정체감 분포

CCTHCV_2018_v18n12_75_t0004.png 이미지

표 5. 대상자의 성 고정관념

CCTHCV_2018_v18n12_75_t0005.png 이미지

표 5. 대상자의 성 고정관념

CCTHCV_2018_v18n12_75_t0006.png 이미지

표 6. 남자간호사에 대한 편견 측정 결과

CCTHCV_2018_v18n12_75_t0007.png 이미지

표 7. 대상자의 남자간호사에 대한 편견

CCTHCV_2018_v18n12_75_t0008.png 이미지

표 8. 대상자의 성역할 정체감 구분에 따른 성 고정관념, 남자간호사에 대한 편견

CCTHCV_2018_v18n12_75_t0009.png 이미지

표 9. 성 고정관념과 남자간호사에 대한 편견의 상관관계

CCTHCV_2018_v18n12_75_t0010.png 이미지

표 10. 성 고정관념이 남자간호사에 대한 편견에 영향

CCTHCV_2018_v18n12_75_t0011.png 이미지

References

  1.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2 /10/2017021002036.html, 2018.10.11.
  2. http://news.chosun.com/misaeng/site/data/html_ dir/2016/03/08/2016030800685.html, 2018.10.11.
  3. 손행미, 고문희, 김춘미, 문진하, 이명선, "남자 간호사의 실무 적응 경험," 대한간호학회지, 제33권, 제1호, pp.17-25, 2003. https://doi.org/10.4040/jkan.2003.33.1.17
  4. 신자현, 서명희, 이명인, "융복합시대의 간호직과 성: 남자간호사에 대한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4권, 제3호, pp.287-297, 2016. https://doi.org/10.14400/JDC.2016.14.3.287
  5. 안경하, 서지민, 황선경, "남자 임상간호사의 경험에 관한 내용분석," 성인간호학회지, 제21권, 제6호, pp.652-665, 2009.
  6. 최경혜, 김현주, 김주현, 남은숙, 현혜진, 강현욱, 윤성자, 손현정, 김현정, 황아름, 김원희, "간호행위를 거부당한 남자간호사의 경험,"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24권, 제1호, pp16-28, 2018. https://doi.org/10.5977/JKASNE.2018.24.1.16
  7. 신홍임, "고정관념의 위협과 인지적 과제의 수행,"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제22권, 제3호, pp.15-32, 2008,
  8. 김나리, 남성 지배 학과 여대생과 여성지배 학과 여대생의 성역할 정체감, 성역할 갈등과 진로 정체감 및 진로결정수준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9. 김희정, "TV광고에 나타난 성역할 이미지의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회, 제21권, 제4호, pp.7-68, 2007.
  10. 김원홍, 권희완, 이인숙, 오늘의 여성학, 건국대학교 출판부, 2003.
  11. G. Ryan, C. Dolphin, U. Lundberg, and A. L. Myrsten, "Sex role patterns in an Irish student sample as measured by the bem sex role inventory(comparisons with an American sample)," Sex roles, Vol.17, No.1-2, pp.17-29, 1987. https://doi.org/10.1007/BF00287897
  12. 김지현, 하문선, 김복환, 하정혜, 김현정, "한국 단축형 성역할 척도(KSIR-SF;Korean Sex Role Inventory-Short Form) 타당화 연구," 상담학연구, 제17권, 제1호, pp.125-147, 2016,
  13. 김숙남, 신경일, 이정지, 최순옥, "여성가장의 성 역할 정체감 유형과 생의 의미수준," 여성건강간호학회지, 제8권, 제2호, pp.190-200, 2002.
  14. 김영숙, 정복례, "남녀 청소년의 성역할 정체감과 양성평등의식,"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18권, 제2호, pp.310-319, 2007,
  15. 최임숙, 김충희, "성역할 정체감 유형에 따른 학교적응행동의 차이," 교육심리학회, 제18권, 제1호, pp.131-143, 2004.
  16. 정경연, 김홍석, 이정희, "대학생의 성역할 정체감과 성별에 따른 방어유형," 청소년학연구, 제19 권, 제5호, pp.21-46, 2012.
  17. 박형숙, 하재헌, 이미헌, "남성 간호사의 성 역할 정체감, 성고정관념,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의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5권, 제5호, pp.2962-2970, 2014. https://doi.org/10.5762/KAIS.2014.15.5.2962
  18. 이경주, 김미영, "남자간호사의 성역할갈등, 직무 만족 및 직무몰입에 관한 연구," 성인간호학회지, 제26권, 제1호, pp.46-57, 2014. https://doi.org/10.7475/kjan.2014.26.1.46
  19. 염은이, 서금숙, "남자간호사의 성역할 갈등, 간호전문직관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2호, pp.794-804,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12.794
  20. 김혜숙, "집단범주에 대한 고정관념, 감정과 편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제13권, 제1호, pp.1-33, 1999.
  21. 김혜숙, "고정관념 및 편견과 인간관계," 사회과학연구논총, 제9권, pp.83-101, 2002.
  22. 김동일, "한국인의 성 고정관념과 권위주의의 관계에 관한 일 연구," 한국문화연구원논총, 제63권, 제2-3호, pp.45-58, 1993.
  23. 김동일, 성의 사회학, 문음사, 1991.
  24. 이동재, 남자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 성정체감, 성 고정관념의 관계,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25. 송미승, 위휘, 박영례, "남자간호대학생의 남자간호사에 대한 이미지," 보건과 사회과학, 제38권, pp.37-67, 2015.
  26. 임나현, 하규수, "노년기 부부의 성역할 태도와 의사소통이 결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1호, pp.199-214,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11.199
  27. 박은옥, 박영숙, "대학생의 성역할 정체감과 건강행위," 한국여성건강간호학회, 제5권, 제3호, pp.362-378, 1999.
  28. 이은아, "중년기 남녀의 성역할 정체감과 부부갈등 및 심리적 적응의 관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제10권, 제1호, pp.107-126, 2006.
  29. S. L. Bem, "The measurement of psychological androgyny,"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42, pp.155-162, 1974. https://doi.org/10.1037/h0036215
  30. 김소정, "성역할 고정관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성인기 인구 집단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제44권, 제1호, pp.89-111, 2013.
  31. 박은주, 남녀간호사의 성 고정관념 비교, 대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32. 조혜자, "성 고정관념: 왜 끈질긴가?," 한국심리학회지:여성, 제6권, 제3호, pp.107-125, 2001.
  33. C. L. Williams, "Hidden advantage for men in nursing," Nursing Administration Quarterly, Vol.19, pp.63-70, 1995. https://doi.org/10.1097/00006216-199501920-00012
  34. 안은성, 남자간호사의 성 고정관념, 직무만족의 관계에 대한 연구, 을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35. 박정모, 이숙정, "간호학 전공 여학생과 문과계 전공 여학생의 성 고정관념 비교,"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20권, 제4호, pp.412-420, 2009.
  36. 안민권, 김현경, 정석희, 이명하, "남자간호사의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 간호행정학회지, 제21권, 제2호, pp.203-211, 2015. https://doi.org/10.11111/jkana.2015.21.2.203
  37. 금희조, 김영경, "전통적 성 고정관념과 여성 정치인에 대한 평가: 미디어 이용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제22권, 제1호, pp.7-43, 2008.
  38. 성지숙, 염은이, "여자간호사가 인식하는 남자간호사의 유형 및 특성: Q방법론적 접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7권, 제1호, pp.572-584, 2016. https://doi.org/10.5762/KAIS.2016.17.1.5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