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클라우스 슈밥 (2016). 제4차 산업혁명. 서울: 새로운현재.
- 미래창조과학부 (2016).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지능정보사회 중장기 종합대책.
- 교육부 (2015). SW중심사회를 위한 인재양성추진계획.
- 정웅열, 이영준 (2017). 정보 교육이 과학고 학생들의 진로 개척 능력에 미치는 영향.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20(3), 13-23.
- 정영수 (1981). 교육의 기회균등에 관한 사회학적 고찰. 대학원논문집, 8(1), 317-331.
- 강태중 (2011). 교육사회학의 기원과 변천에 대한 역사 서술의 재검토. 교육사회학연구, 21(4), 1-27.
- 교육부 (2015). SW중심사회를 위한 인재양성추진계획.
- 교육부 (2015).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1.
- 한혜정 외 (2015).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해설서 (중.고등학교)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교육부 (2015). 소프트웨어 교육 운영 지침.
- 교육부 (2015). 2015 개정 교육과정 정보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10.
- 조상식 (2018). '제4차 산업혁명'과 미래 교육의 과제. 미디어와 교육, 6(2), 152-185.
- 정웅열, 이영준 (2017). 정보 교육에서 비버 챌린지(Bebras Challenge)의 활용 가능성과 향후 과제.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20(5), 1-1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8). 2018 소프트웨어교육 핵심교원[중등] 하계과정 연수 실시. 보도자료(2018.7.07.).
- 정웅열, 김학인, 이민혁, 이현아, 안성진 (2018). 비버 챌린지 2017에 나타난 중등학교 학생들의 컴퓨팅 사고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21(3), 21-33.
- 전수진, 전용주, 김슬기, 김도용, 정인기 (2018). 비버 챌린지 2017을 통한 초등학생들의 컴퓨팅 사고 수준 분석.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2(3), 1-14.
- 교육부,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7). 학교로 찾아가는 소프트웨어(SW) 교육 연수.
- Bebras Korea, 김동윤 (2018). 비버챌린지 I. 경기: 생능출판사.
- Dagiene, V., & Futschek, G. (2008). Bebras international contest on informatics and computer literacy: Criteria for good tasks.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formatics in Secondary Schools-Evolution and Perspectives, 19-30.
- 김동윤 (2017). Bebras 소개 및 향후 추진 방안. 제1회 정보과학교육연합 학술대회.
- Bebras Challenge (2018). What is a Bebras task. https://www.bebras.org/
- 김은지, 이태욱 (2018). 컴퓨팅 사고력 평가 도구로써 비버 챌린지 문항 분석: 문항반응 이론을 기반으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2(1), 107-110.
- 김은지, 이태욱 (2018). 컴퓨팅 사고력 평가 도구로써 비버 챌린지 2017 신뢰도 분석 : 한국 그룹 III를 중심으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2(2), 103-106.
- Dagiene, V., & Futschek, G. (2010). Knowledge construction in the Bebras problem solving contest. Constructionism: Theory, Practice and Impact, 678-680.
- Vanicek J. (2018). Concept-building Oriented Programming Education. Proceeding of Constructionism 2018, 477-485.
- Short Tasks - Big Ideas: Constructive Approach for Learning and Teaching of Informatics Concepts in Primary Education. Proceeding of Constructionism 2018, 152-162.
- 김영복 (2008). 구성주의 수업의 가치와 한계. 교육연구, 22, 81-104.
- 류희찬, 조완영 (1994). 수학교육의 수업 원리로서의 반영적 추상화. 수학교육학연구, 4(1), 237-253.
- Dagiene, V., & Futschek, G. (2008). Bebras international contest on informatics and computer literacy: Criteria for good tasks. Informatics Education-Supporting Computational Thinking. Springer Berlin Heidelberg, 19-30.
- 우정호, 홍진곤 (1999). 반영적 추상화와 조작적 수학 학습-지도. 수학교육학연구, 9(2), 383-404.
- Ackermann, E. (2001). Piaget's constructivism, Papert's constructionism: What's the difference. Future of learning group publication, 5(3), 438.
- 최정원, 이영준 (2014). 프로그래밍 학습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향.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18(2), 191-193.
- Invent To Learn (2018). Constructionism: Papert's 8 Big Ideas, https://inventtolearn.com/constructionism/
- Fraser, N. (2015). Ten things we've learned from Blockly. In Blocks and Beyond Workshop (Blocks and Beyond), 2015 IEEE, 49-50.
- Dagiene, V., & Stupuriene, G. (2016). Bebras - a sustainable community building model for the concept based learning of informatics and computational thinking. Informatics in Education-An International Journal, 15(1), 25-44. https://doi.org/10.15388/infedu.2016.02
- Teachers' Constructionist and Deconstructionist Learning by Creating Bebras Tasks. In Conference of Constructionism 2016, 257-264.
- Jack R. F., Norman E. W., & Helen H. H. (2010). How to Design and Evaluate Research in Education - EIGHTH EDITION. NY: McGraw-Hill.
- Bloom, B. S. (1956). Taxonomy of Education Objectives, handbook I : cognitive domain. Longman.
- Krathwohl, D. R. (2002). A revision Bloom's taxonomy : an overview. Theory into Practice, 212-218.
피인용 문헌
- 알고리즘 교육을 통한 비버챌린지 결과 분석 vol.23, pp.1, 2018, https://doi.org/10.14352/jkaie.2019.23.1.65
- A Study on the Effect of Bebras Challenge to Raise CT vol.20, pp.10, 2018, https://doi.org/10.9728/dcs.2019.20.10.1961
- 초등학교 소프트웨어교육에서 교구와 학습자 수준에 따른 컴퓨팅사고력 향상도 비교 vol.23, pp.2, 2018, https://doi.org/10.32431/kace.2020.23.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