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1. The study subjects
Table 2. The main contents of STEAM program and STEAM elements for stratum and fossil with questions
Table 3. The result of a pre-test and post-test comparison on academic achievement
Table 4. The result of a pre-test and post-test comparison on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Table 5. The result of a pre-test and post-test comparison on scientific interest
Table 6. The result of learner satisfaction survey of the STEAM program
References
- 강부미, 전경문(2014). 학생 중심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과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학습 동기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과학교육연구지, 38(3), 657-669.
- 강윤례(2015). 질문-대화를 통해 생각하고 공감할 수 있는 도덕 수업. 2015년 교실수업개선실천사연구발표대회보고서.
- 강지나(2016). 질문중심 하브루타 과학수업이 학생들의 논리적 사고력 및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고경숙(2015). 셈놀이가 하브루타를 만나면 4MC가 보여요. 2015년 교실수업개선실천사연구발표대회보고서.
- 곽영순, 김찬종, 이양락, 정득실(2006). 초, 중등 학생들의 과학 흥미도 조사. 한국지구과학회지, 27(3), 260-268.
- 교육부(2015). 초등학교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 교육부(2017). 초등학교 3학년 과학과 교사용 지도서. 한국과학창의재단 국정도서편찬위원회.
- 김경순(2008). 소집단에서 발문과 질문 강화 수업이 과학과목의 학업성취도와 태도에 미치는 효과.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금선, 염연경(2016). 생각의 근육 하브루타. 매일경제신문사.
- 김민경, 신영준(2016). 질문중심 STEAM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효과. 생물교육, 44(3), 352-363.
- 김세범(2015). '하브루타'를 통한 교수방법의 변화 가능성에 관한 연구. 신학과 목회.
- 박미정(2016). 질문이 있는 STEAM 프로그램을 통한 과학탐구능력 및 창의성 함양. 서울특별시교육감 지정연구교사 연구보고서.
- 박정인(2007). 소집단에서 발문과 질문강화 수업이 과학과목의 학업성취도와 태도에 미치는 효과.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양경윤(2016). 교실이 살아있는 질문 수업, 하브루타의 실제. 즐거운 학교.
- 윤미선, 김성일(2003). 중․고생의 교과흥미 구성요인 및 학업성취와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17(3), 271-290.
- 이연호 (2008). 학생들의 질문생성을 강화한 초등 과학 수업의 효과.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종화(2015). 탈무드 동화책을 활용한 하브루타 활동이 언어표현력과 창의적 성격에 미치는 효과.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전성수(2012). 부모라면 유대인처럼 하브루타로 교육하라. 서울: 예담 friend.
- 전성수(2014). 최고의 공부법. 서울: 경향BP.
- 전성수, 양동일(2014). 질문하는 공부법 하브루타. 서울: 라이온북스.
- 정은영(2008). Squeak Etoys 기반 정보교육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지혜정(2017). 하브루타 질문수업을 적용한 과학수업이 초등학생들의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하브루타수업연구회(2015), 질문이 있는 교실. 서울: 경향BP.
- 한국과학창의재단(2015). 2015년 STEAM 프로그램 개발시범적용 만족도 조사. 서울: 한국과학창의재단.
- 한국교육개발원(2001). 간편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 개발 연구(I).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12). TIMSS 수학 과학 성취도 평가 결과.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Sanders, M. (2009). STEM, STEM education, STEM mania. The Technology Teacher, 68(4), 20-26.
- Yakman, G. (2006). STEAM pedagogical commons for contextual learning. Unpublished class paper for EDCI 5774, Virginia Tech.
- Yakman, G. (2008). STEAM education. An overview of creation a model of integrative education. PAT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