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TEAM Class for Stratum and Fossil with Questions

질문이 있는 '지층과 화석' 관련 STEAM 수업 자료 개발 및 적용

  • Received : 2018.10.19
  • Accepted : 2018.11.15
  • Published : 2018.11.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trata-fossils' STEAM program with question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and scientific interests of elementary students. For this purpose, the STEAM program with questions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the third and four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As a result, the academic achievement,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and scientific interests of the group applying the program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post-test than the pre-test. The result of learner satisfaction survey of the STEAM program was also high. This means that the STEAM program class with questions for 'strata-fossils' could be meaningful works to encourag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s well as their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and scientific interests. Therefore, it seems necessary to apply for other themes in elementary science continuously.

Keywords

Table 1. The study subjects

CDRHBB_2018_v37n4_455_t0001.png 이미지

Table 2. The main contents of STEAM program and STEAM elements for stratum and fossil with questions

CDRHBB_2018_v37n4_455_t0002.png 이미지

Table 3. The result of a pre-test and post-test comparison on academic achievement

CDRHBB_2018_v37n4_455_t0003.png 이미지

Table 4. The result of a pre-test and post-test comparison on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CDRHBB_2018_v37n4_455_t0004.png 이미지

Table 5. The result of a pre-test and post-test comparison on scientific interest

CDRHBB_2018_v37n4_455_t0005.png 이미지

Table 6. The result of learner satisfaction survey of the STEAM program

CDRHBB_2018_v37n4_455_t0006.png 이미지

References

  1. 강부미, 전경문(2014). 학생 중심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과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학습 동기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과학교육연구지, 38(3), 657-669.
  2. 강윤례(2015). 질문-대화를 통해 생각하고 공감할 수 있는 도덕 수업. 2015년 교실수업개선실천사연구발표대회보고서.
  3. 강지나(2016). 질문중심 하브루타 과학수업이 학생들의 논리적 사고력 및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고경숙(2015). 셈놀이가 하브루타를 만나면 4MC가 보여요. 2015년 교실수업개선실천사연구발표대회보고서.
  5. 곽영순, 김찬종, 이양락, 정득실(2006). 초, 중등 학생들의 과학 흥미도 조사. 한국지구과학회지, 27(3), 260-268.
  6. 교육부(2015). 초등학교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7. 교육부(2017). 초등학교 3학년 과학과 교사용 지도서. 한국과학창의재단 국정도서편찬위원회.
  8. 김경순(2008). 소집단에서 발문과 질문 강화 수업이 과학과목의 학업성취도와 태도에 미치는 효과.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금선, 염연경(2016). 생각의 근육 하브루타. 매일경제신문사.
  10. 김민경, 신영준(2016). 질문중심 STEAM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효과. 생물교육, 44(3), 352-363.
  11. 김세범(2015). '하브루타'를 통한 교수방법의 변화 가능성에 관한 연구. 신학과 목회.
  12. 박미정(2016). 질문이 있는 STEAM 프로그램을 통한 과학탐구능력 및 창의성 함양. 서울특별시교육감 지정연구교사 연구보고서.
  13. 박정인(2007). 소집단에서 발문과 질문강화 수업이 과학과목의 학업성취도와 태도에 미치는 효과.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양경윤(2016). 교실이 살아있는 질문 수업, 하브루타의 실제. 즐거운 학교.
  15. 윤미선, 김성일(2003). 중․고생의 교과흥미 구성요인 및 학업성취와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17(3), 271-290.
  16. 이연호 (2008). 학생들의 질문생성을 강화한 초등 과학 수업의 효과.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이종화(2015). 탈무드 동화책을 활용한 하브루타 활동이 언어표현력과 창의적 성격에 미치는 효과.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전성수(2012). 부모라면 유대인처럼 하브루타로 교육하라. 서울: 예담 friend.
  19. 전성수(2014). 최고의 공부법. 서울: 경향BP.
  20. 전성수, 양동일(2014). 질문하는 공부법 하브루타. 서울: 라이온북스.
  21. 정은영(2008). Squeak Etoys 기반 정보교육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지혜정(2017). 하브루타 질문수업을 적용한 과학수업이 초등학생들의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하브루타수업연구회(2015), 질문이 있는 교실. 서울: 경향BP.
  24. 한국과학창의재단(2015). 2015년 STEAM 프로그램 개발시범적용 만족도 조사. 서울: 한국과학창의재단.
  25. 한국교육개발원(2001). 간편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 개발 연구(I).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6.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12). TIMSS 수학 과학 성취도 평가 결과.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7. Sanders, M. (2009). STEM, STEM education, STEM mania. The Technology Teacher, 68(4), 20-26.
  28. Yakman, G. (2006). STEAM pedagogical commons for contextual learning. Unpublished class paper for EDCI 5774, Virginia Tech.
  29. Yakman, G. (2008). STEAM education. An overview of creation a model of integrative education. PAT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