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lationship between time availability and time invested in leisure activities in adolescents

청소년의 적극적 여가활동 시간가용성과 투자시간 관계 연구

  • Ryou, Bee (Sungkyunkwan University dept. social welfare BK 21 Plus team)
  • 유비 (성균관대학교 사회복지학과 BK 21 플러스 사업팀)
  • Received : 2017.09.30
  • Accepted : 2017.12.10
  • Published : 2017.12.31

Abstract

The effects of regular and active leisure activities on positive growth and development in adolescents are widely known. In our society, however, it is challenging to enjoy or expand such activities due to diverse constraints. Under unfavorable circumstances,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application of time availability for liberal leisure activities as a way to help adolescents engage in active leisure activities.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ime availability (both individual and structural) and the time invested in leisure activities at youth training centers which support such leisure activities. The study found the following results: As both individual and structural time availability expanded, the time invested in leisure activities increased as well.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policy and practice implications regarding the support of adolescents' leisure activities.

청소년들의 성장과 발달에 있어 정기적이고 적극적인 여가활동이 미치는 긍정적 영향은 널리 알려진 것이다. 그러나 우리사회 전반이 경험하고 있는 부족한 여가의 양과 이를 필두로 야기되는 다양한 여가제약 속에서, 그러한 활동의 영위 혹은 확대는 쉽게 확신하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적극적 여가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방안 중 하나로, 여가활동의 자유로운 수행을 의미하는 시간가용성의 적용을 가늠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청소년들의 여가활동을 지원하는 공공시설인 청소년 수련시설 이용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청소년 개인적 차원의 시간가용성과 시설이 가진 구조적 차원의 시간가용성이 해당 여가활동에 대한 개인들의 투자시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개인적 차원의 시간가용성은 물론, 여가활동이 발현되는 구조적 차원의 시간가용성이 높을수록 청소년들의 여가활동 투자시간의 양 역시 많았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들의 원활한 여가활동 지원에 관한 정책적 실천적 함의 등을 논의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