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olescent club activity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22초

오케스트라 동아리 참여 대학생의 성취도 및 만족도 조사 - 통계적 방법과 오피니언 마이닝의 융합적 측면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research of the undergraduate orchestra club activities - A convergent aspects of statistical method and opinion mining)

  • 최수이;최경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25-31
    • /
    • 2015
  • 일반적으로 학생 오케스트라 활동은 창의력과 감수성을 개발시켜 청소년기의 학생들에게 올바른 취미생활을 제공함으로써 사회적 정서적 불안감을 해소시켜 주고 소속감을 갖는 등 안정감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에게도 오케스트라 동아리 활동이 비슷한 결과를 야기하는지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그 결과 청소년기의 학생들과는 달리, 오케스트라 동아리 활동 자체에 대한 성취도는 높으나, 사회성이나 자신감 향상에는 크게 도움이 되지는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긍정적인 요소들도 있고 또한 빅데이터를 활용한 인식분석(오피니언 마이닝) 등을 통해 보았을 때 분명히 긍정적인 요소가 있는 만큼, 대학생 오케스트라 활동에 대해서도 국가차원의 지원이 있어야 하겠다.

청소년의 적극적 여가활동 시간가용성과 투자시간 관계 연구 (Relationship between time availability and time invested in leisure activities in adolescents)

  • 유비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60호
    • /
    • pp.25-57
    • /
    • 2017
  • 청소년들의 성장과 발달에 있어 정기적이고 적극적인 여가활동이 미치는 긍정적 영향은 널리 알려진 것이다. 그러나 우리사회 전반이 경험하고 있는 부족한 여가의 양과 이를 필두로 야기되는 다양한 여가제약 속에서, 그러한 활동의 영위 혹은 확대는 쉽게 확신하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적극적 여가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방안 중 하나로, 여가활동의 자유로운 수행을 의미하는 시간가용성의 적용을 가늠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청소년들의 여가활동을 지원하는 공공시설인 청소년 수련시설 이용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청소년 개인적 차원의 시간가용성과 시설이 가진 구조적 차원의 시간가용성이 해당 여가활동에 대한 개인들의 투자시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개인적 차원의 시간가용성은 물론, 여가활동이 발현되는 구조적 차원의 시간가용성이 높을수록 청소년들의 여가활동 투자시간의 양 역시 많았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들의 원활한 여가활동 지원에 관한 정책적 실천적 함의 등을 논의하였다.

일부 여자 중학생 대상 사회인지이론기반 영양교육 프로그램의 적용 및 효과 (Application and the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Social Cognitive Theory Among Middle School Girls)

  • 김지혜;우태정;이경애;이승민;이경혜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497-508
    • /
    • 2016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using materials based on social cognitive theory. Education topics focused on improving health-related and dietary self-awareness and behavior capability in adolescents. Methods: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a middle school for girls; 67 students (educated group, n=34 and control group, n=33) participated. The education group received 12 lessons in club activity class. Self-administered surveys were conducted for each group before and after the nutrition education program. The questionnaires consisted of variables such as self-efficacy, outcome expectation, outcome expectancy, knowledge, and dietary practices based on the social cognitive theory. Education satisfaction was evaluated using a five-point Likert scale for two sections: a) teaching and learning and b) education result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 t-test and Chi Square-test (significance level: p < 0.05). Results: In the education group, post-educa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efficacy (p < 0.05), knowledge (p < 0.01), and dietary practices (p < 0.05), whereas outcome expectation and expectancy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None of the variables showed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ntrol group. Educational satisfaction scores were $4.38{\pm}0.12$ (teaching and learning) and $4.14{\pm}0.15$ (education results).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that improving adolescent's awareness and behavior capability has a positive effect on their dietary practices. Moreover, this study suggested that a theory-based determinant should be considered to improve dietary behavior among adolesc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