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the Residential Area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of Households on the Preference of Residential Location Factors

가구의 거주지역 및 인적 특성요인이 주거입지 선호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7.06.07
  • Published : 2017.06.30

Abstract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residential area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of households on the preference of residential location factor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considering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 can be seen that preference of location factors is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residential area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of households by individual location factors. Secondly, considering the results of b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t can be also elucidated that the preferred location factors ar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residential area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households. Therefore, it is judged that the residential area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of household and the location factors of the household are mutually influencing each other.

본 연구는 수도권, 부산 경남 및 대구 경북 지역에 거주하는 가구를 대상으로, 가구의 거주지역 및 인적 특성요인이 주거입지 선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가구의 거주지역 및 인적 특성요인이 개별 주거 입지요인의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를 통해, 개별 입지요인별로 가구의 거주지역 및 인적 특성에 따라 입지요인의 선호도가 차별적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로, 주거 입지요인이 가구의 거주지역 및 인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항로짓분석 결과를 통해, 역시 가구의 거주지역 및 인적 특성에 따라 선호하는 입지요인이 차별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가구의 거주지역 및 인적 특성과 입지요인은 상호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각각의 특성에 따라 차별적인 영향을 주고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재홍, 2006, "명시선호실험을 이용한 소득계층별 주거입지 속성가치의 격차 분석", 지역연구 22(2), pp. 3-26.
  2. 김준형.한정훈, 2012, "은퇴 이후의 주거입지-서울거주 인구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47(3), pp.159-173.
  3. 박원석, 2009, "미국 대학생들의 주택 및 입지요인 선호 특성에 관한 연구", 국토지리학회지 43(4), pp. 599-610.
  4. 박원석, 2010, "국내 대학생들의 임대 아파트에 대한 인식과 주거입지 선호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6(5), pp.559-571.
  5. 박원석, 2012, "한인 이주민의 주택 소유구조 및 주거입지 선호 특성-미국 워싱턴 주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5(4), pp.660-675.
  6. 박원석, 2014, "대구.경북 가구의 가구특성별 주거입지 선호요인 분석",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7(4), pp. 702-717.
  7. 박원석, 2015a, "수도권 가구의 가구특성별 주거입지 선호요인 분석",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1(3), pp.515-528.
  8. 박원석, 2015b, "부산.경남 가구의 가구특성별 주거입지 선호요인 분석", 국토지리학회지 21(3), pp.411-423.
  9. 박원석, 2015c, "미국 LA지역 한인 이주민의 정착경로 및 주거입지 특성",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8(1), pp.17-44.
  10. 박원석, 2015d, "런던지역 한인 이주민의 정착경로 및 주거입지 특성",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8(4), pp.467-491.
  11. 성현곤, 2012, "주거입지선택에서의 대중교통 접근성과 직주균형의 구조적 관계가 가구수준의 통행행태에 미치는 영향", 국토계획 47(4), pp.265-282.
  12. 이백진.서민호.김혜란.정일호, 2012, "주거입지 선호의식 분석-주거입지 요소별 한계수준과 가구특성별 격차를 중심으로", 국토연구 74, pp.17-33.
  13. 이충기.이주석, 2008, "주거환경이 주택유형과 주택규모 선택에 미치는 영향 분석-다항로짓모형을 활용하여", 경제학연구 56(3), pp.55-73,
  14. 이훈.안건혁.이소윤, 2013, "고령화 계층의 주거소비 및 주거입지 변화에 관한 연구-수도권 지역의 고령화 계층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지 14(5), pp.5-16.
  15. 전희정, 2015, "교차소득 주거입지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미국 오하이오주 프랜클린 카운티의 사례,"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8(4), pp.450-466.
  16. 한영은.이승철, 2012, "안양시 평촌 학원가의 교육 서비스 실태 및 공간 범위에 관한 연구",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5(4), pp.721-734.
  17. Bayoh, I., Irwin, E. G. and Haab, T., 2006, "Determinants of Residential Location Choice: How Important Are Local Public Goods in Attracting Homeowners to Central City Locations", Journal of Regional Science 46(1), pp.97-120. https://doi.org/10.1111/j.0022-4146.2006.00434.x
  18. Frenkel, A., Bendit, E. and Kaplan, S., 2013, "Residential location choice of knowledge-workers: The role of amenities, workplace and lifestyle", Cities 35, pp. 33-41. https://doi.org/10.1016/j.cities.2013.06.005
  19. Scott, D. M., Coomes, P. A. and Izyumove, A. I., 2005, "The Location Choice of Immigrants among U.S. Metro Areas", Journal of Regional Science 45 (1), pp.113-145. https://doi.org/10.1111/j.0022-4146.2005.00366.x
  20. Vejlin, R., 2013, "Residential Location, Job Location, and Wages: Theory and Empirics", Review of Labour Economics & Industrial Relations 27(2), pp.115-139.

Cited by

  1. 청년농업인의 거주지역 선택 결정요인 vol.26, pp.4, 2019, https://doi.org/10.12653/jecd.2019.26.4.01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