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nd Weathering Processes of Tafoni at Golgulsa Temple, Gyeongju, South Korea

경주 골굴사 타포니의 발달 특성과 풍화 과정

  • Shin, Jae Ryul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 Senior Researcher, Environmental and Regional Development Institut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Choo, Chang Oh (Department of Geolog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Lee, Jin Kook (Department of Geolog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Park, Kyung Geun (Gyeongsangbuk-do Dokdo Foundation)
  • 신재열 (경상대학교 지리교육과, 환경 및 지역발전연구소) ;
  • 추창오 (경북대학교 지질학과) ;
  • 이진국 (경북대학교 지질학과) ;
  • 박경근 (경상북도 독도재단)
  • Received : 2017.01.17
  • Accepted : 2017.02.12
  • Published : 2017.02.28

Abstract

In order to reveal formation factors and developmental processes of tafoni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petrological analysis including microscopic observation, measurement of water content and water analysis at Golgulsa temple in Gyeongju, South Korea. The direction of the entrance to tafoni at Golgulsa temple tends to coincide with the direction of slope, and this is thought to be related to the direction of wind flow and water supply. Tafoni's initial developmental processes is judged to have grown as a result of a breakaway of rock fragments along with beddings and cracks in rock. Then, tafoni have been enlarged along at the spots that sufficiently accommodate water supply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wind. The results of water analysis of the stagnant water in gnamma implies that a high meltage of Na and Cl compared to other inland areas can be from the adjacent shore. The effects of such saline substances on rock weathering and development of taponi are currently under way through electronic microscopy and geochemical analysis.

본 연구는 타포니의 형성 요인 및 발달 과정을 밝히기 위해 경주시 골굴사 일대에 발달하고 있는 타포니를 대상으로 그 분포 특징을 파악하고 광학현미경 관찰을 포함한 암석학적 분석, 함수율 측정, 수질 분석을 실시하였다. 현무암질 응회암류에 발달하고 있는 연구지역 내의 타포니는 입구의 경사 방향이 사면향과 일치하여 발달하고 있으며 이는 풍향 및 그에 따른 수분 공급과 관련이 깊은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타포니의 초기 발달 과정에 있어서는 층리 및 암석 내 균열을 따라 응회암 내 암편들이 이탈한 지점을 중심으로 발달하였으며 이후 풍향에 따라 수분 공급이 충분한 지점들을 중심으로 타포니가 성장하였다. 연구지역 내 나마에 고인 정체수의 수질 분석 결과는 다른 내륙지역에 비해 높은 Na, Cl 용해량을 보이며 이는 인접한 해안으로부터 공급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염류가 암석 풍화 및 타포니 발달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에 대해서는 전자현미경 분석 및 지화학적 연구가 현재 진행 중에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수진.이민성.김원사.이수재, 1994. 서울 지역의 자연환경 변화에 관한 연구: 남산 화강암의 풍화에 관한 환경 광물학적 연구, 지질학회지 30(3), 284-296.
  2. 박경근, 2012, 암석의 수분값에 따른 풍화미지형 발달과 석조문화재 풍화 특성, 경북대학교 지리학과 박사학위 논문.
  3. 성효현, 1983, 마이산 일대에 나타나는 미지형의 기후지형학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녹우회보 24, 63-86.
  4. 손문.김인수.이동호.이준동.김진섭.백인성, 울산단층일원에 대한 지역지질 특성연구: 제3기 마이오세와읍분지의 지질구조와 대자율비등방성(AMS), 지질학회지 36(3), 195-216.
  5. 윤성효.황인호, 1990, 경주 남산 일대의 화강암의 암석학 및 지구화학의 특성, 한국지구과학회지 11(1), 51-66.
  6. 이석훈.김수진, 2004, 주기적으로 침수되는 퇴적암의 풍화특성, 한국광물학회지 17(1), 23-35.
  7. 이영준.김영석.이민희.한준희.김민수, 석조문화재의 풍화지수 산정을 위한 초음파속도의 평가 및 보정, 한국지구과학회지 33(2), 126-138. https://doi.org/10.5467/JKESS.2012.33.2.126
  8. 장태우.정재혁.장천중, 2007, 한반도 동남부 제3기 어일분지 및 와읍분지의 지구조운동, 지질공학회지 17(1), 27-40.
  9. 정창희.김길성, 1966, 능주도폭 1:50,000, 국립지질조사소.
  10. 황상일.박경근.윤순옥, 2010, 반구대 암각화의 주기적인 침수와 구성암석의 풍화특성, 대한지리학회지 45(3), 342-359.
  11. Hill, S.M., 1996, The differential weathering of granitic rocks in Victoria, Australia. Journal of Australian Geology and Geophysics, 16(3), 271-276.
  12. Stefansson, A., Gislason, S.R., and Arnorsson, S., 2001, Dissolution of primary minerals in natural waters II, Mineral saturation state, Chemical Geology, 172, 251-276. https://doi.org/10.1016/S0009-2541(00)00262-X
  13. Tateiwa, I., 1924, Geological Survey of Korea, No. 2, Ennichi, Kyuryuho and Choyo Sheets, Geological Survey of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