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함수율

Search Result 2,377,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Effects of Milling Conditions on the Adherence of Rice Germs (도정조건이 쌀의 배아부착에 미치는 영향)

  • 정종훈;엄천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2.02a
    • /
    • pp.289-296
    • /
    • 2002
  • 배아부착률이 높은 배아미를 생산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현미의 함수율과 입형정미기 축회전속도가 쌀 배아부착률, 싸래기율, 백도, 동할율 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축회전속도에 관계없이 현미의 함수율이 배아부착률에 큰 영향을 줌을 알 수 있었다. 쌀의 배아부착률은 함수율 13.2%에서는 약 70%∼76%이었고, 함수율 13.4∼14.5%에서 약 66∼67%, 함수율 15.2%에서 약 38∼46%, 함수율 15.4%에서는 약 9∼10%로서, 함수율이 증가함에 따라 배아부착률은 함수율 15.4%에서 급격히 감소하였다. 또한, 축회전속도 900rpm일 때의 배아부착률이 1100rpm일 때의 배아부착률보다 함수율 13.2%∼15.2% 범위에서 약 2∼8%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식미를 고려하고 높은 배아부착률을 갖기 위해서는 약 함수율 15.2% 이하에서 도정하는 것이 좋은 것으로 사료되었으며, 정미기 축회전속도의 감소로 함수율 15.2% 이하에서는 쌀의 배아부착률을 약 8%까지 높일 수 있었다. 2. 축회전속도에 관계없이 현미의 함수율 증가에 쌀의 백도는 약 23에서 40가지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함수율 약 15.2% 이상에서는 약 40까지 급격히 증가하였다. 함수율 13.2%∼15.4%에서 축회전속도 1100rpm에서의 백도가 900rpm일 때 보다 약 1.3∼4.0정도 약간 놀게 나타났으나, 함수율 약 16.7% 이상에서는 그 차이는 거의 없었다. 즉 쌀의 백도는 함수율에 따라 결정적인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었다. 3. 함수율이 정백공정중 싸래기율에 커다란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현미의 함수율 13.4%에서 16.7% 범위에서는 두 축회전속도에서 같은 경향으로 싸래기율이 약 3.5%에서 약 1%까지 점차로 감소하였다. 그러나 함수율이 16.7% 이상일 때부터 싸래기율이 증가하였다. 또한, 함수율 약 15.2%가지는 축회전속도 1100rpm에서의 싸래기율이 900rpm일 때 보다 약 0.6%∼1.0% 높게 나타났다. 4. 함수율 13.2%부터 16.2%까지는 함수율에 따라 배아미의 동할율은 거의 약 9% 이하로 일정하였다. 또한, 함수율 13.2%∼14.5% 사이와 17%이상에서는 1100rpm에서의 동할율이 900rpm일 때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축회전속도에 관계없이 함수율 16.7%에서는 동할율이 약 10%, 함수율 약 17%에서는 동할율이 약 20%까지 급격히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함수율이 쌀의 배아부착률, 백도, 싸래기율, 동할율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으며, 다음으로 입형정미기 축회전속도 역시 배아부착률, 백도, 싸래기율, 동할율 등의 물성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 PDF

Study on Stress Waves for Development of Glulam from Domestic Small Diameter Log(I) - Effect of MC on Stress Wave in Glulam Member - (국산 소경재를 이용한 집성재 개발을 위한 응력파 연구(I) - Glulam 부재의 응력파에 대한 함수율 영향 -)

  • Cha, Jae-Kyung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24 no.3
    • /
    • pp.90-100
    • /
    • 1996
  • 두께가 20mm 와 30mm 이고, 폭이 40mm 와 60mm인 600mm 길이의 낙엽송 제재목에 응력파 시험을 실시하였다. 모든 시험편은 생재 상태로 구입 후 함수율 27%, 22%, 17%과 12%조건으로 조습 처리하였다. 함수율 변화에 따른 응력파 속도와 영계수를 구하기 위한 응력파 시험을 4종류의 함수율 조건에서 실시하였다. 응력파 속도와 응력파 시험으로부터 구한 영계수는 시편의 함수율, 치수, 그리고 시험편의 옹이와 옹이 주변 목리의 상호작용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모든 함수율 및 각 함수율 조건에서 응력파 속도는 응력파에 의해 구한 영계수와 양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응력파 속도와 응력파 시험으로 구한 영계수는 함수율이 증가할 때 비선형적으로 감소하였으나, 함수율 25% 이상에서는 응력파에 의해 구한 영계수의 변화가 거의 없었다.

  • PDF

Study on the Physical and Thermal Properties of Rice Kernels - Physical Properties - (벼의 물리적(物理的) 및 열적(熱的) 특성(特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물리적(物理的) 특성(特性)에 관(關)하여-)

  • Koh, Hak Kyun;Noh, Sang Ha;Chung, Jong Hoon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v.9 no.1
    • /
    • pp.34-45
    • /
    • 1984
  • 우리가 소비하는 식량의 확보는 단위 수량의 증대 뿐만 아니라, 생산이후 수확, 조제가공 및 건조 저장과정에서의 곡물 손실 방지 또는 감소로 인한 간접 증산으로도 이룩될 수 있는데,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수확 이후의 곡물 손실량이 전체 생산량의 약 11%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12). 여기서 식량의 중요 손실원으로 기계적 원인과 곡물 자체의 특성에 의한 두가지 요인을 고려할 수 있다. 따라서 쌀의 물리적 특성이 규명되면 각 과정에서 발생되는 기계적 손실을 더욱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는 벼의 물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특히 우리나라에 많이 보급되고 있는 통일계 품종은 관행 품종에 비하여 물리적 특성이 크게 다르다고 인정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벼와 현미의 특성을 기계적 및 유동학적 측면에서 함수율 및 품종별로 규명하여, 농업기계의 설계 및 작동조건, 그리고, 조제가공의 기초적 자료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준 정하중의 압축시험에서 함수율은 벼와 현미의 기계적 및 유동학적 특성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높은 함수율에서는 점성적인 특성이, 낮은 함수율에서는 탄성적인 특성이 나타났다. 2. 벼와 현미의 함수율이 24-12% (습량기준)의 범위에 있을 때 현미의 항복점은 2.0-7.2kg, 벼의 항복점은 2.5-7.6kg을 나타냈으며, 전반적으로 현미보다 벼의 항복점이 0.5-1kg 더 높았다. 또한 함수율이 18%(습량기준) 이하에서는 일반계 품종이 통일계 품종보다 압축 강도가 더 높았으나 18% 이상의 높은 함수율에서는 더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낮은 함수율에서 현미의 항복점은 현미 두께 대 길이의 비의 증가에 따라 직선적으로 감소하였다. 3. 현미의 최대압축 강도는 함수율 24-12%(습량기준)의 범위에서 2.94-10.4kg을 나타냈으며, 14% 수준의 낮은 함수율에서는 현미의 최대 압축 강도는 5.66-11.4kg으로 품종간에 높은 유의성이 있었다. 따라서 벼와 현미의 크기가 최대 압축 강도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4. 함수율 12-24%(습량기준)의 범위에서, 현미의 항복점에서 변형은 0.20-0.40mm를 나타냈으며, 함수율이 약 17%일 때 최소치를 보였다. 벼의 항복점에서 변형은 0.20-0.41mm 였으며 통일계 품종이 일반계 품종보다 변형이 더 많이 생겼다. 5. 함수율 24-12%(습량기준)의 범위에서, 일반계 품종의 레질리언스(resilience)는 $0.142-0.603kg{\cdot}mm$, 통일계 품종의 레질리언스는 $0.229-0.601kg{\cdot}mm$로 나타났다. 함수율이 19% 이하에서는 일반계 품종이 통일계 품종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19% 이상에서는 반대 현상이 일어났다. 또한 14%의 낮은 함수율에서, 현미의 레질리언스는 현미 두께 대 길이의 비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다. 벼의 레질리언스는 함수율의 감소에 따라 증가했으며, 그 범위는 $0.285-0.850kg{\cdot}mm$이었다. 6. 현미의 터프니스(toughness)는 함수율 24-12%(습량기준)의 범위에서 $0.841-2.795kg{\cdot}mm$이었다. 또한 일반계 품종과 통일계 품종 사이에는 유의성이 없었으나. 품종간에는 높은 유의성이 있었다. 7. 현미의 탄성계수와 스티프니스(stiffness)는 함수율의 감소에 따라 직선적으로 증가하였다. 현미의 함수율이 24-12%(습량기준)의 범위에 있을 때 탄성계수는 $7-40kg/mm^2$, 스티프니스는 8-34kg/mm를 나타냈다.

  • PDF

A Study on BTEX Removal Efficiency for Variation of Moistures by Microwave Process (유류오염토의 마이크로파 처리 시 토양의 함수율 변화에 따른 BTEX 제거특성에 관한 연구)

  • Ha, Sang-An;Yeom, Hae-Kyong;Yu, Mi-Yong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 /
    • v.12 no.2
    • /
    • pp.65-71
    • /
    • 2007
  • This study has been focused on an application of microwave pre-treatment of soil contaminated with volatile organic chemicals, and BTEX(benzene, toluene, ethylene, xylene). Microwav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under different power conditions (2 kW, 4 kW) using different moisture contents and BTEX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se results of this study, the most BTEX removal efficiency was with 20% moisture contents regardless of electric power. The result show that 2kW was determined to the optimum electric power at $10{\sim}30%$ moisture contents, but the optimum power was 4 kW at 50% of moisture content.

A Study on the Measurement of Water Content in Hydrogel Contact Lens by Gravimetric Method (중량측정법에 의한 하이드로젤 콘택트렌즈의 함수율 측정에 관한 연구)

  • Kim, Tae-Hun;Ye, Ki-Hun;Sung, A-Young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 /
    • v.13 no.4
    • /
    • pp.59-63
    • /
    • 200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 relation of water content measurement with two different method, water removal method and dry method. Methods: 72 hydrogel contact lens containing various water content (ranged from 47% to 58%) were measured by the gravimetric method at 20$^{\circ}C$and 21% of the humidity. We weighed the dried test specimen at room temperature for 30 min after cooling. Results: In dry blotting method, the water content was measured to 47.43${\pm}$8.48%. The water contents was measured to 48.15${\pm}$8.36% with wet blotting condition. It was found that wet blotting method showed the higher water content of about 7% than dry blotting method. In water content with two dry methods, each of results was measured by 47.89${\pm}$8.06% and 49.56${\pm}$7.06%. In case of microwave method, the water content was measured significantly higher water content of about 1.67% than vacuum oven method. However, no statistical difference was found (p>0.05). Conclusions: In water removal method (Dry blotting method and Wet blotting method) to weigh hydrated test specimen, wet blotting method showed significantly higher water content than dry blotting method. Also in case of dry methods (vacuum oven and microwave) to weigh dry test specimen, water content of microwave method showed higher water content than vacuum oven method, but it should be noted that microwave oven method must be used carefully to measure accurateness on the specimen position and wave power.

  • PDF

The Effect of Final Moisture Content of Mat on the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UF-bonded MDF (매트의 최종함수율이 요소수지 제조 MDF의 물리·기계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

  • Lee, Hwa-Hyoung;Maloney, Thomas M.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23 no.4
    • /
    • pp.85-90
    • /
    • 1995
  • 목질보드 제조에 있어 매트의 최종함수율은 에너지가 필요한 목질 엘리먼트의 초기 건조공정이나 열압싸이클공정, 목질보드의 균질정합성, 목질재료의 물리 기계적 성질 및 치수안정에 지대한 영향을 주기 때문에 대단히 중요하다. 지금까지 PB에 대한 최종매트의 함수율에 대한 연구는 많이 보고되어 있으나 요소수지로 제조되는 MDF에 대한 연구보고는 없으며 미국과 한국을 위시한 각국이 MDF의 최종함수율을 PB에 준하여 8~11%로 조정하여 MDF를 제조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국산 침엽수 혼합수종으로부터 제조된 가압 해섬섬유와 요소수지로 제조된 MDF의 물리 기계적 성질에 관련된 적정 최종매트 함수율을 규명하고자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혼합 침엽수 원료로부터 제조된 요소수지제조 MDF의 적정 최종 매트 함수율은 13% 부근으로서 현재 MDF공장에서 적용되고 있는 8~11%보다 높았다. 2 평판이 시작되는 최종매트 함수율은 15.4%였다.

  • PDF

Safe Storage Period of Paddy under Different Temperature and Moisture Content Conditions (벼의 안전저장기간)

  • 김의웅;김동철
    • Food Science and Preservation
    • /
    • v.11 no.2
    • /
    • pp.257-262
    • /
    • 200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moisture contents and storage temperatures of paddy, and to predict safe storage period for paddy. Germination rate, fat acidity and appearance of paddy samples with different moisture contents of 16.1%, 17.7%, 20.6%, and 22.2% stored at different temperature rooms of 10$^{\circ}C$, 20$^{\circ}C$, and 30$^{\circ}C$ were measured as factors of safe storage period. Germination rate of paddy was decreased with increasing of storage temperature and moisture content. And both fatty acidity of paddy and the ratios of colored and contaminated kernels were increased with increasing of storage temperature and moisture content. Safe storage period was determined based on germination rate, fat acidity and appearance depending on storage time, temperature and moisture content of paddy. Paddy with 16% moisture content could be safely stored for 1.5 years at least at 10$^{\circ}C$.

Effect of Air Circulation Velocity on the Rate of Lumber Drying in a Small Compartment Wood Drying Kiln (소형 목재인공건조실에 있어서 공기순환속도가 목재건조율에 미치는 영향)

  • Chung, Byung-Jae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2 no.2
    • /
    • pp.5-7
    • /
    • 1974
  • 1. This study indicates that above the fiber saturation point the drying rate can be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velocity of the air circutation, i.e., the drying rate of sample boards is proportional to the air velocity, but below the fiber saturation point, the effect of the velocity of air circulation is very low as shown in Figs. 1 and 2. 2. Under the controlled temperature and humidity in the kiln, the more the sample boards have moisture, the higher drying rate of it can be obtained. In other words, this means that even though in the case of drying various moisture content of wood, at the final drying stage, approximately the same percentage of moisture content of wood can be secured by employing the higher velocity of air circulation. 3. This study shows that the rate of drying in kiln changes distinctly at the fiber saturation point, i, e., above the fiber saturation point, the drying curve shows concave aginst the X axsis, but below the fiber saturation point, in the range from 30 percent of moisture content to 20 percent of moisture content, the curve shows convex as shown in Fig. 3. As the drying progresses, however, the drying curve shows concave again below 20 percent of moisture content. This means that inflection point of drying curve may be located clearly at the fiber saturation point, i.e., 30 percent of moisture content. As mentioned above, the 30 percent of moisture content of wood at which the inflectional point appears can be recognized as a critical point, i. e., the fiber saturation point at which all free water was removed from wood. The existence of inflectional point indicates that the evaporation of hygroscopic water in a cell wall is more difficult than the evaporation of free water in a cell cavity and the minor space of cell wall. The convex curve in the range of moisture content from 30 percent to 20 percent means that the evaporation of capillary condensed water has a tendency of the same rates of drying approximately, but as approaching to the 20 percent of moisture, the transfusion of moisture from wood becomes difficult because of having less moisture in cell wall. Below 20 percent of moisture content, the drying curve shows concave again, which means that it is difficult to remove the moisture located nearer to the surface of cellulose molecules and the surface bound water. These relations were revealed in Fig. 4. In comparison AC curve which does not have the two inflection points with BD curve which has two inflection points, i.e., Band D, they are mentioned already, by existence of the inflection points, the curve BD shows that the change of drying rate in the interval from 20 percent of moisture content to 30 percent of moisture content is not greater than in the case of the curve AC in the same interval. At the inflection point of 30 percent of moisture content, it can be noticed that the changing of the drying rate is very conspicuous. This phenomenon also can be recognized, as it is noticed by the Fig. 3, the drying rate from green to 30 percent of moisture content is very great. But the inclination of the curve is very slow from 30 percent of moisture content to 20 percent of moisture content, i.e., the inclination of the curve becomes almost horizontal lines. Acknowledgments Gratitude is expressed to Fred E. Dickinson, Professor of 'Wood Technology, School of Natural Resources, University of Michigan, USA for his suggestion to carry out this study.

  • PDF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xplosive Spalling Properties of Concrete according to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and Moisture rate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및 함수율에 따른 폭렬특성에 관한 연구)

  • Lee, Jae-Young;Kim, Dong-Jun;Kwon, Young-Jin;Harada, Kazunori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9.04a
    • /
    • pp.147-154
    • /
    • 2009
  • 화재와 같은 고온의 환경에서 콘크리트의 고강도화는 폭렬(Explosive Spalling)이라는 큰 위험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폭렬의 원인으로는 콘크리트 내부의 수증기압이 가장 큰 원인으로 제기되고 있다. 본 논문은 콘크리트의 폭렬발생 있어서 압축강도 및 함수율이 초기 폭렬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적으로 검토하기위하여 건축구조물의 화재 온도조건인 ISO834 화재온도이력곡선을 15분, 30분 적용하여 콘크리트의 초기 폭렬특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압축강도 가열시간 함수율이 증가할수록 폭렬발생 및 폭렬현상이 증대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15분, 30분 가열시간에 따른 잔존강도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압축강도 및 함수율에 따른 폭렬발생영역을 분석하였으며, 압축강도 50${\sim}$100 MPa의 경우 함수율 3%이하, 100 MPa이상의 경우는 1%이하로 제어할 경우 폭렬현상이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Desorption EMC/ERH of Soybean (콩의 탈습 평형함수율/평형상대습도)

  • Choi, Byoung-Min
    • Food Science and Preservation
    • /
    • v.15 no.1
    • /
    • pp.74-78
    • /
    • 2008
  • Desorption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on soybean (Taegwang) at 5, 15, 25, 35, $45^{\circ}C$ for moisture contents between 6.74 and 28.87%(db). The method employed was to measure the equilibrium relative humidity (ERH) of air in contact with the grain under static conditions, using an electronic hygrometer. The effects of temperature and moisture contents were investigated, and the measured values were fitted to the modified Henderson, the modified Chung-Pfost, the modified Halsey, the modified Oswin and the modified GAB model. The ERHs of soybean under the moiture content of 16.67%(db) decreased with an decrease in moisture content and temperature, but the ERH of the moisture content of 28.87%(db) material decreased with an increase of temperature. The modified GAB model was the best in describing the EMC/ERH of soybe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