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ative Analysis of Trade-Labor Linkage in FTAs of the US and EU

미국과 EU의 FTA에 나타난 무역-노동기준 연계에 관한 비교 분석

  • Received : 2016.05.20
  • Accepted : 2016.06.17
  • Published : 2016.06.30

Abstract

This study reviews international discussions about the trade-labor linkage and examines the labor chapters of FTAs enforced by the US and the EU from a comparative perspective. Since early 1990s, starting from the NAFTA, the US has included forceable labor provisions in its FTAs and this trend continues to the TPP which was concluded in October 2015. On the other hand, the EU's labor provisions in its FTAs have been composed of promotional elements on labor rights based on cooperations and dialogues. These different features of labor provisions in the US and European FTAs are mainly due to the motives of the FTAs of the US and the EU respectively as well as their domestic situations with regards to domestic law and institutional set-ups. The coordination of labor provisions involves a long-term institutional as well as regulatory convergence which triggers not only economic but also social changes, compared to a relatively short-term effect of tariff elimination. For Korea which has been a FTA partner country both with the US and the EU, it is significant to keep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the labor provisions in mind, particularly in the process of its implementation. Concerning the implementation of Korea-US FTA, it might be problematic if Korean law and its regulatory practice on labor-management relations do not comply with that of the US. The Korea-EU FTA case can also have an indirect impact on Korea's labor laws since it stipulates in its provisions that both parties should have discussions not only within each government but also with the civil communities including NGOs. Thus, Korea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the true meaning in labor provisions of both FTAs in order to promote its firms to be equipped with the right labor-management system in their operations abroad.

본 연구는 무역과 노동기준의 연계에 있어 미국과 EU의 FTA에 나타난 노동장(chapter)을 비교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비교적 단기간에 효과가 나타나는 관세철폐와 달리, 노동기준의 조율은 장기간에 걸친 제도변화 및 규제의 수렴현상을 일으킬 수 있으며, 경제뿐만 아니라, 사회적 변화까지 수반하기 마련이다. 미국은 북미자유무역협정 이후 양자 FTA를 추진함에 있어 위반 시 제소와 벌금부과까지 가능한 구속력 있는 노동조항을 포함시켜왔고, 이에 반해 EU가 체결한 FTA의 노동장은 대화 또는 협력에 기반을 둔 권고적 조항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왔다. 이와 같은 차이는 양측이 갖고 있는 FTA 추진의 목적, 국내법 및 운영체계와 같은 국내적 상황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다. 한국은 양측과 동시에 FTA를 발효시켰고, 한국기업의 해외노무관리가 점차 중요해짐에 따라 향후 국제적인 무역-노동기준 연계 논의에 더 많은 영향을 받게 될 것이다. 한·미 FTA의 이행을 살펴보면, 한국이 ILO 협약 등 국제기준을 대부분 준수하고 있다는 점에서 양측 간에 큰 문제가 불거질 것으로 예상되지는 않으나, 한국의 노사관계법과 노사관계 관행이 미국식과 맞지 않을 경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EU FTA는 이행과정에서 양측이 정부는 물론, NGO를 포함하는 시민사회 간의 대화를 실시할 것을 규정하고 있어서, 비록 구속력은 없으나, 지속적인 외압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할 때 한국은 FTA를 통해 미국과 EU의 노동규제로부터 끊임없이 직간접적인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