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예비평연구
- Issue 46
- /
- Pages.187-217
- /
- 2015
- /
- 1226-7627(pISSN)
DOI QR Code
Study on 'Novels related to 'Agriculture-First Principles' in the end of Japanese Colonial Period - Centering around the effects and appropriation aspects of Japanese 'Agriculture-First Principles' -
일제 말기 농촌/농민문학에 나타난 일본 농본주의의 영향과 전유 양상에 관한 연구
- 차성연 (경희대학교)
- Published : 20150000
Abstract
Paying attention to the point that most of Korean literary workspublished in the end of Japanese colonial period showed the form ofagricultural/farmer literature, this paper analyzed the effects andappropriation aspects of Japanese agriculture-first principle on thoseworks.Though the concept named agriculture-first principles may be tooloose and wide, in this paper, the concept is intended to be used as thatcontaining nationalistic political nature discussing the place whereagriculture-first principles are changed and start by some politicalcontexts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in which agricultural villageswhich compose most of the national land are dissolved and the identityof farmers which compose most of the national people are threatened.Especially, Japanese agriculture-first principles are one of typicalright-wing ideas involved in unconsciousness of the Japanese people andwhich are related to the Emperor system functioning as Priest in ricefarming.Such an idea of agriculture-first principles had consistent andwidespread effects in the era of Japanese imperialism, but the timewhen direct influence can be confirmed is 1930s~1940s. Ruralenlightenment novels in 1930s represent farming villages as unpollutedspace and rediscover there the lost racial nature. The novels in the late 1930s and the early 1940s present narration of 'rehabilitation' morepredominantly than that of 'enlightenment'. The rural enlightenmentmovement did not continue until the end of 1930s, and as the effects ofrural area promotion movement become large, farmers voluntarily get tostress 'rehabilitation'. It can be said that while the ruralvillages/farmers literature in 1930s like 『The Earth』 of Lee Gwangsufocus on 'Enlightenment' activities for urban intellectuals and students,the rural villages/farmers novels like Lee Muyeong and LeeGeunyeong's novels in the end of the Japanese imperialism proposeethical human types among farmers as examples, showing mental'rehabilitation' processes of rural area through such figures.The novels based on the farming villages in Manchuria An Sugil'sand Lee Giyeong's works were clearly influenced by agriculture-firstprinciples and propose in detail designs in administrative, economic andcultural areas that must be prepared as an autonomous organization.That is because that the image of an ideal autonomous organization canbe more easily realized in Manchuria that seems to be newly generatedand undeveloped country than the literary works created in Joseon. Thispaper intends to point out that the works based on farming villages inManchuria such as An Sugil's 『Bukhyangbo』 or Lee Giyeong's 『Sonof the Earth』 show differences from works based on farming villagesin Joseon in that those in Manchuria present more clearly rehabilitationas 'people' and nationalistic directivity, and such national directivityaims at Japanese imperialism but 'other' nation. It means that becausethe area is not colonial Joseon but Manchuria, also because the writersare Koreans who have desires to escape from the Japanese imperialism,the agriculture-first principles created from An Sugil's or Lee Giyeong'sworks may be a state only for Koreans or a multi-racial state whichcould not be imagined in the colonial Joseon. This can be said to beappropriation aspects in Manchuria different from Japaneseagriculture-first principles novels and also from rural enlightenmentnovels in 1930s.
이 논문은 일제 말기에 발표된 한글 작품의 상당수가 농촌/농민문학의 형식을 띠었다는 점에 주목, 이러한 작품들에 미친 일본 농본주의의 영향과 전유 양상을 분석하였다. 농본주의라는 개념이 지나치게 느슨하고 광범위할 수 있으나 이 글에서는 국토의 대부분이었던 농촌이 해체되고 국민의 대다수였던 농민의 정체성이 위협받게 되는 근대화의 과정에서 어떤 정치적인 맥락에 의해 농본주의가 변용 발화되는 지점을 문제 삼으면서 국가주의적 정치성을 띠는 개념으로 사용하고자 한다. 특히 일본의 농본주의는 벼농사의 사제로 기능하는 천황제와 관련된, 일본인의 무의식에 깊이 관여하고 있는 대표적 우익사상 중 하나이다. 이러한 농본주의 사상은 식민지 시기 지속적이고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쳤으나 직접적인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는 시기는 1930~40년대이다. 1930년대 농촌계몽소설은 농촌을 오염되지 않은 공간으로 표상하면서 그곳에서 잃어버린 민족성을 재발견한다. 1930년대 후반과 1940년대 전반기의 소설에서는 ‘계몽’의 서사보다 ‘갱생’의 서사가 지배적이다. 농촌계몽운동은 1930년대 후반까지 이어지지 못 했고 오히려 일제의 농촌진흥운동의 영향이 더 짙어지면서 농민들 스스로의 ‘갱생’을 강조하게 된다. 이광수의『흙』과 같은 1930년대의 농촌/농민문학이 도시-지식인-학생층의 ‘계몽’ 활동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면, 이무영과 이근영 등의 일제말기 농촌/농민소설은 농민들 속의 윤리적 인간형이 귀감으로 제기되고 그러한 인물들을 통해 농촌의 정신적 ‘갱생’ 과정을 제시하고 있다. 안수길과 이기영의 작품들처럼 만주의 농촌을 배경으로 한 소설에는 농본주의의 영향이 더 뚜렷하고 자치조직으로서 갖추어야 할 행정적 경제적 문화적 영역에서의 구상이 세밀하게 제시되어 있다. 조선 내부에서 창작된 작품보다 신생국이자 미개지로서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던 만주에서 이상적 자치조직의 상을 구현할 수 있는 가능성이 더 컸기 때문일 것이다. 본고는 안수길의『북향보』나 이기영의『대지의 아들』과 같이 만주의 농촌을 배경으로 한 작품에서 이상적 농촌공동체에 대한 구상이 더 뚜렷하게 나타난다는 점에서 조선의 농촌을 배경으로 한 작품과 차이가 있는 한편, 그러한 국가 지향이 제국 일본이 아니라 ‘다른’ 국가일 수 있음을 지적하고자 한다. 식민지 조선이 아니라 만주이기 때문에, 또한 탈식민적 욕망을 내재한 조선인 작가이기 때문에 안수길이나 이기영의 작품에서 ‘재발명’된 농본주의는 식민지 조선에서는 상상할 수 없었던 조선인만의 국가이거나 다민족적 국가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이것이 일본의 농본주의와도, 1930년대의 농촌계몽소설과도, 또 일제 말기의 조선 내부 농촌을 배경으로 한 작품들과도 다른 만주에서의 전유 양상이라고 볼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