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udy on the Adjustment Methods for Investment Strategies of Government R&D in Field of Drug Development: Focusing on R&D Investment Effects

신약개발 분야 정부 연구개발 투자전략 조정방안 연구: R&D 투자효과를 중심으로

  • 문관식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생명복지사업실) ;
  • 홍미영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생명복지사업실) ;
  • 김은정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생명복지사업실)
  • Received : 2015.06.16
  • Accepted : 2015.08.27
  • Published : 2015.09.30

Abstract

Government has accounted an R&D investment on drug development for the highest share among biotechnology sector. Since competitive investments between each agencies, issues on efficiency or effectiveness of the duplicate investments have been raised continuously. In this research, we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of the investment through analysis of portfolio on drug development R&D, journals, patents, and performance of the each process. As a result, reliable technology for current market demands could not compute productive outcome at the early process of the development. On the other hand, grants which support non-clinical process of the development has produced the high-quality patents for active utilization. Moreover, analysis of the performance of the process, which affects rate of success on the drug development, showed decreased efficiency compared to global average. Therefore, we proposed the strategies of reflecting the market demands and bridging between stages without interruption for maximizing th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n investment of drug development R&D. Furthermore, strategies for concentrated support on each process should be prepared for the success of final drug development.

신약개발 분야의 투자는 바이오 분야 전체 정부 R&D 투자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해 왔다. 수행 주체간의 경쟁적인 투자로 인한 유사중복 등 투자효과성 효율성에 대한 이슈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신약개발 R&D 투자포트폴리오, 논문 특허, 그리고 단계이행률 등의 분석을 통해 그 간의 투자의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시장수요가 확실한 기술들이 개발 초기단계에서 성과로 산출되지 못하고 있는 반면에 비임상 이후 단계를 지원하는 과제에서 활용성이 높은 우수특허들이 산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약개발 성공률을 좌우하는 단계이행률 분석에서 세계평균과 비교했을 때 효율성이 떨어지는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신약개발 분야의 R&D 투자 효과성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전략으로 신약개발 초기 연구단계에서부터 시장의 수요를 반영함과 발생된 성과를 단절없이 다음 단계로 연계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기술개발 성공률을 높이기 위한 단계별 집중지원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영곤 (2010), 의약품 R&D성과의 경제적.사회적 효과 분석, 서울: 식품의약품안전처.
  2. 김원규.김진웅 (2013), "산업연관관계에 기초한 대분류산업간 생산성 파급효과 분석", 산업경제연구, 26(6): 2547-2564.
  3. 김은중 (2010), 국내 신약개발 R&D 활성화를 위한 신약개발 현황 및 신약개발비 분석, 대전: 생명공학정책연구원.
  4. 김태기.장선미 (2003), "기업의 R&D투자와 생산성 변화", 한국경제연구학회, 11: 45-70.
  5. 류영수 (2013),연구개발 정책의 효과성 분석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6. 박승규 외 (2012), "제조업 성장에 대한 R&D 투자의 경제적 기여도 분석", 지역연구, 28(1): 81-95.
  7. 배용호 (2007), 국가연구개발사업 투자방향 설정을 위한 포트폴리오 분석, 충남: 한국과학기술정책연구원.
  8. 변순천 (2007),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한 추적평가 실시방안 연구, 서울: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9. 서규원 외 (2014), 국가연구개발사업 질적 성과지표의 세부 측정 방법론, 서울: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10. 성지은 (2014), 연구개발사업의 사업적 파급효과 분석 가능성과 과제, 충남: 한국과학기술정책연구원.
  11. 신태영 (2005), R&D 투자가 경제의 성장 및 분배에 미치는 영향분석 및 정책시사점, 충남: 한국과학기술정책연구원.
  12. 심승범 (2007), "정보통신기술산업에서 R&D투자가 총요소생산성에 미치는 파급효과 분석",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3. 양창준.홍정식.고상원 (2008), "정보통신산업 공공 연구개발(R&D)투자의 파급효과 분석", 대한산업공학회.한국경영과학회 춘계공동학술대회 발표논문집.
  14. 염재호 (2001), 정부 R&D 투자전환과 Portfolio 재구성 방안, 과학기술부.
  15. 유승준 (2013), 신약개발 분야 사례분석 및 모형개발을 통한 전략적 예산배분 연구, 서울: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16. 이경석 외 (2006), "시차분석을 통한 정보통신산업 연구개발투자가 총요소생산성에 미치는 효과 연구", 한국통신학회논문지, 31(2B): 154-163.
  17. 이장재 (2011), 기초연구의 성과 정의 및 성과평가 관리 방안 연구, 대전: 한국연구재단.
  18. 장인성 (2013), 총요소생산성의 추이와 성장률 변화요인 분석, 서울: 국회예산정책처.
  19. 전성한 (2013), 신약개발 파이프라인 분석.예측, 충북: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 전현곤 (2009),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파급효과 추정방안에 대한 제언, 서울: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1. 전현곤 (2014), 연구개발활동의 주요 산출물에 대한 거시적 파급효과 추정방법론 개발에 대한 제언, 서울: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2. 최대승 (2014), 기업에 대한 정부 R&D 투자지원의 정책효과 분석 연구, 서울: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3. 허정은.김해도.조영돈.조석민.조순로 (2008),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과학적 성과분석을 위한 새로운 계량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기술혁신학회지, 11(3): 376-399.
  24. Banzi, R., Moja, L., Pistotti, V., Facchini, A. and Liberati, A (2011), "Conceptual Frameworks and Empirical Approaches Used to Assess the Impact of Health Research", Health Research Policy and Systems, 9-26.
  25. Bernstein, J. I. and Nadiri, M. I. (1988), "Interindustry R&D Spillovers, Rates of Return, and Production in High-tech Industries", American Economic Review Papers and Proceedings, 429-434.
  26. Bornmann, L. (2012), "Measuring the Societal Impact of Research", European Molecular Biology Organization, 13(8): 673-676.
  27. Canadian Academy of Health Sciences (2009), Making and Impact: A preferred Framework and Indicators to Measure Returns on Investment in Health Research, Canadian Academy of Health Sciences.
  28. Council of Canadian Academies (2013), Innovation Impacts: Measurement And Assessment, Library and Archives Canada Cataloging in Publication.
  29. Denison, E. (1962), Sources of Economic Growth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Alternatives before US, Committe for Economic Development, N.Y.
  30. Donovan, C. (2011), "State of the Art in Assessing Research Impact: Introduction to a Special Issue", Research Evaluation, 20(3): 175-179. https://doi.org/10.3152/095820211X13118583635918
  31. European Science Foundation (2012), The Challenges of Impact Assessment Working Group 2: Impact Assessment, European Science Foundation.
  32. Griliches, Z. (1979), "Issues in Assessing the Contribution of Research and Development to Productivity Growth", Bell Journal of Economics, 10(1): 92-116. https://doi.org/10.2307/3003321
  33. Ismail, K. and Landis, J. (2004), "Can the Pharmaceutical Industry Reduce Attrition Rates?", Nature Reviews Drug Discovery, 3: 711-716. https://doi.org/10.1038/nrd1470
  34. Levin, R. C. and Reiss, P. C. (1984), Tests of a Schumpeterian model of R&D and market structur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5. Nadiri, M. I. (1980), "Sectional Productivity Slowdown", American Economic Review, 70(2): 349-352.
  36. Rosenberg, N. (1974), "Science, Invention, and Economic Growth", Economic Journal, 84: 90-108. https://doi.org/10.2307/2230485
  37. Solow, R. (1957), "Technical Change and the Aggregate Production Function",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39(3): 312-320. https://doi.org/10.2307/1926047
  38. Spence, M. (1984), "Cost Reduction, Competition and Industry Performance", Econometrica, 52(1): 101-122. https://doi.org/10.2307/1911463
  39. Steven, M. (2010), "How to Improve R&D Productivity: The Pharmaceutical Industry's Grand Challenge", Nature Reviews Drug Discovery, 9: 203-214. https://doi.org/10.1038/nrd30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