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곽영미, 현은자, 권영희, 이신애 (2014). 미국 다문화 그림책에 그려진 한국계 미국 어린이 이미지-한국계 미국 어린이가 주요 인물로 등장한 그림책을 중심으로.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5(3), 25-44.
- 교육인적자원부 (2007). 교사와 유아를 위한 유아사회교육 활동자료.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 권영희 (2012). 국내 가족 그림책에 부수적 인물로 나타난 노인 인물 분석. 한국사회학회 후기 사회학대회 자료집, 949-965.
- 김민정 (2003). 유아의 연령 및 선호하는 동화 장르에 따른 소망에 대한 믿음 연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김민정, 현은자, 정지영 (2014). 한국 스테디셀러 그림책의 특성.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5(3), 141-163.
- 김민진 (2013). 다문화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다문화 교육이 유아의 다문화 인식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8(5), 79-107.
- 김선옥, 윤정빈, 지은주, 유승희 (2006). 유아의 연령과 성에 따른 그림책 선호 경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1(6), 291-318.
- 김숙자, 박세영 (2011).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서에 나타난 다문화 교육내용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6(1), 307-334.
- 김숙자, 박세영 (2011). 유아 환경동화에 나타난 환경교육내용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6(6), 297-326.
- 김시내 (2003). 권장도서의 선정현황과 특성분석: 유아도서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김영옥, 서현, 박형신, 정상녀, 윤경선, 박미나, 이나영 (2011). 유아다문화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 김정원, 남규, 이정아 (2010). 유아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고양: 공동체.
- 김정화, 김봉선, 강은진 (2009). 그림책에 나타난 장애인물 분석: 장애인물의 역량과 사회적 태도를 중심으로. 아동교육, 18(4), 99-115.
- 김주희 (1998). 유아용 그림책에 나타난 성역할 고정관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김지선 (2008). 다문화도서를 통한 교육활동이 유아의 인종편견감소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나은숙, 김세희 (2003). 어린이 문학교육을 위한 패러디그림책의 분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4(2), 99-116.
- 대한출판문화협회 (2015). 2014년도 출판 현황. http://www.kpa21.or.kr/(출력일 2015년 6월 27일).
- 문명희 (2014). 다문화그림책을 활용한 교육활동이 유아의 편견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학논집, 18(4), 157-180.
- 민경록 (2008). 포스트모더니즘을 기반으로 한 패러디 그림책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 하계 학술발표회자료집, pp. 89-110.
- 서정숙, 정진 (2007). 한국 그림책에 나타난 조부모의 특성 분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8(2), 21-43.
- 선안나 (2010). 지난 10여년간 동화, 아동소설의 흐름과 장르문제. 아동청소년 문학연구, 6, 7-32.
- 신세니, 조희숙 (2009a). 그림책에 나타난 노인 이미지 분석. 유아교육연구, 29(5), 287-314.
- 신세니, 조희숙 (2009b). 비전통적 가족을 소재로 한 그림책 분석: 주제를 중심으로. 생태유아교육연구, 8(3), 51-75.
- 유순이, 구태미, 윤재희 (2014).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소개된 동화에 표현된 젠더에 관한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8(3), 453-475.
- 유향선 (2013). 그림책과 영상매체를 활용한 다문화 활동이 유아의 다문화 인식 및 인종편견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4(4), 137-164.
- 윤갑정, 지은주, 이혜은 (2009). 다문화 그램책에 대한 내용분석 및 유아반응: 국내 다문화가정을 반영한 그림책을 중심으로.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6(4), 45-72.
- 이계녀, 김용미 (2010). 다문화 그림책을 활용한 교육활동이 만3세 유아의 반편견 인식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19(3), 159-174.
- 이대균, 백경순, 송정원, 이현정 (2013). 유아문학교육. 공동체: 고양.
- 정대련 (2005). 페미니즘의 관점에서 본 유아그림책 분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6(1), 23-44.
- 정상녀, 이현경, 민순옥, 홍현이 (2007). 다문화 그림책을 활용한 문학활동이 유아의 타인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정기학술발표논문집, pp. 704-705.
- 정지현, 박선미 (2009). 다문화교육 접근법에 따른 그림책 분석: 인종과 타문화에 대한 내용을 중심으로. 어린이미디어연구, 8(1), 91-118.
- 조숙영 (2013). 3-5세 누리과정 교사용지도서에 나타난 다문화 관련 활동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7(4), 379-400.
- 현은자, 박성연 (2003). 그림책을 활용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인종 및 타문화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 어린이문학교육연구, 3(2), 101-124.
- 현은자, 장혜미 (2011). 창작 그림책에 나타난 노인 등장인물 분석. 유아교육연구, 31(2), 189-206.
- 황순선 (2012). 레오리오니 우화그림책에 나타난 예술적 창의성연구. 일러스트레이션 포름, 30, 27-36.
- Baker-Sperry, L., & Grauersholz, L. (2013). The pervasiveness and persistence of the feminine beauty ideal in children's fairy tales. Gender & Society, 15(5), 711-726.
- Bishop, R. S. (1997). Selecting literature for a multicultural curriculum. In V. J. Harris (Eds.), Using multiethnic literature in the K-8 classroom (pp.1-20). Norwood, MA: Christopher-Gordon.
- Boutte, G. S., Hopkins, R., & Waklatsi, T. (2008). Perspectives, voices, and worldviews in frequently read children's books.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19(6), 941-962. https://doi.org/10.1080/10409280802206643
- Campbell, S. (2010). Windows and mirrors: A case for more multi cultural children's books on Illinois children's choice award lists. Illinois Reading Council Journal, 38(4), 33-38.
- Crisp, T., & Hiller, B. (2011). "Is this a boy or a girl?": Rethinking sex-role representation in Caldecott medal-winning picturebooks, 1938-2011. Children's Literature in Education, 42, 196-212. https://doi.org/10.1007/s10583-011-9128-1
- Derman-Sparks, L., & Edwards, J. O. (2010). Anti-bias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nd ourselves. Washington, DC: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 Dewitt, A. L., Cready, C. M., & Seward, R. (2013). Parental role portrayals in twentieth century children's picture books: More egalitarian or ongoing stereotyping? Sex Roles, 69 , 89-106. https://doi.org/10.1007/s11199-013-0285-0
- Mccabe, J., Fairchild, E., Grauerholz, L., Prescosolido, B. A., & Tope, D. (2011). Gender in twentieth-century children's books: Patterns of disparity in titles and central characters. Gender & Society, 25(2), 197-226. https://doi.org/10.1177/0891243211398358
- Mendoza, J., & Reese, D. (2001). Examining multicultural picture books for the early childhood classroom: Possibilities and pitfalls. Early Childhood Research & Practice, 3(2). Retrieved from http://ecrp.uiuc.edu/v3n2/mendoza.html.
- Morgan, H. (2009). Picture book biographies for young children; A way to teacher multiple perspectives.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37, 219-227. https://doi.org/10.1007/s10643-009-0339-7
- Nodelman, P. (2005). The pleasure of children's literature, 어린이 문학의 즐거움 (김서정 옮김). 서울: 시공주니어(원판 1996).
- O'Neil, K. (2010). Once upon today: Teaching for social justice with postmodern picturebooks. Children's Literature in Education, 41, 40-51. https://doi.org/10.1007/s10583-009-9097-9
- Roper, E., A., & Cliftobn, A. M. (2013). The representation of physically active girls in children's picture books. Research Quarterly for Excercise and Sports, 84, 147-156. https://doi.org/10.1080/02701367.2013.784844
- Singer, A. E. (2011). A novel approach: The sociology of literature, children's books, and social inequality. International Journal of Qualitative Method, 10(4), 307-302. https://doi.org/10.1177/160940691101000401
- Sipe, L., & Pantaleo, S. (2010). 포스트모던 그림책 (조희숙 역). 파주: 교문사. (원저 2008출간)
- Smith-D'Arezzo, W. M. (2003). Diversity in children's literature: Not just a black and white issue. Children's Literature in Education, 34(1), 75-94. https://doi.org/10.1023/A:1022511917336
- Yoo-Lee, E., Fowler, L., Adkins, D., Kim, K., & Davis, H. N. (2014). Evaluating cultural authenticity in multicultural picture books: A collaborative analysis for diversity education. Library Quarterly: Information, Community, Policy, 84(2), 324-347. https://doi.org/10.1086/676490
- Yoon, B., Simpson, A., & Haag, C. (2010). Assimilation ideology: Critically examining underlying messages in multicultural literature. Journal of Adolescent & Adult Literacy, 54(2), 109-118. https://doi.org/10.1598/JAAL.54.2.3
- Weitzman, L. J., Eifler, D., Hokada, E., & Ross, G. (1972). Sex-role socialization in picture books for preschool children.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77(6), 1125-1150. https://doi.org/10.1086/225261
Cited by
- 유아 그림책에 나타난 식사 및 식생활 교육 내용 분석 vol.26, pp.1, 2015, https://doi.org/10.17495/easdl.2016.2.26.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