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the deviation from S&T workforce career-path in Korea

우리나라 과학기술인력의 경력이탈 현황 분석

  • Received : 2014.12.05
  • Accepted : 2015.01.06
  • Published : 2015.01.31

Abstract

This paper presumes the size and status of the deviation from S&T workforce career-path throughout the whole life cycle. For this purpose, we make a operational definition and analyzing framework for career departure of S&T workforce and then find out some results as followings. For example, the career departure is more serious in the utilization phase of S&T workforce than the training phase and the qualitative career departure is a still more important problem at both phase. Finally, we suggest some policy implications to solve these problems.

본 논문은 전 생애주기에 걸쳐 나타나는 우리나라 과학기술인력의 경력이탈 규모와 현황을 추정하는 데 일차적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과학기술인력의 경력이탈에 대한 조작적 정의를 내리고 이를 분석할 수 있는 기본틀을 크게 인재확보 단계와 활용단계로 구분하여 구축하였다. 이 틀에 입각하여 경력이탈 현황을 진단해 본 결과, 우리나라 과학기술인력의 경력이탈은 주로 활용단계에서 나타나고 양적 이탈보다는 창조경제시대를 이끌어갈 우수 인재의 이탈이라는 질적 이탈 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생산가능인구 감소시대를 맞이할 경우 이러한 질적 이탈 문제는 더욱 심각해질 수 있으므로, 좋은 일자리 확보와 경력개발 경로 구축 등의 정책을 우선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는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엄미정 외(2009). 과학기술인력의 진로와 경력,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 이영민 외(2010). 초, 중, 고등학교 학생의 이공계 분야 진학에 대한 인식 및 진로이행에 관한 실태분석, 과학기술정책연구원.숙명여자대학교.
  3. 이장우(2013). '창조경제에서 기업가 정신 제고와 경영혁신 방안', 창조경제 새로운 발전패러다임, 경제.인문사회 연구회.
  4. 정부 보도자료(2013.12). 'OECO 국제학업성취도평가(PISA) 2012 결과 발표'.
  5. 한국무역협회(2014). 국내 과학기술 고급인력 유출입 실태조사 보고서.
  6. 홍성민.조가원 외(2012). 2012년 이공계 인력의 국내외 유출입 수지와 실태, 교육과학기술부과학기술정책연구원.
  7. Florida, R.(2002). The Rise of Creative Class...And How it's Transforming Work, Leisure. Community and Everday Life, New York: Basic Books.
  8. Howkins, J.(2001). The Creative Economy. Berkley Pub Group.
  9. IMO(2014). World Competitiveness Yearbook 2014.
  10. 통계청, 지역별 고용조사 D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