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과학기술인력

Search Result 651,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지식산업시대의 여성 과학기술인력

  •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4 no.6 s.385
    • /
    • pp.45-69
    • /
    • 2001
  • 여성과학기술인력의 중요성/우리나라 여성 과학기술인력 현황/우리나라 여성 과학기술인력 양성 및 활용방안/여성 과학기술인력의 특성(뇌과학)/주요 선진국의 여성 과학기술인력 현황/대한여성과학기술인회

  • PDF

나의 주장 - 과학기술분야에서도 여성인력은 활용되어야 한다

  • Kim, Myeong-Ja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29 no.1 s.320
    • /
    • pp.10-11
    • /
    • 1996
  • 이제 우리나라도 과학기술현장에서 여성인력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 여성인력의 과학기술분야 진출을 위해서는 먼저 여성교육의 하부구조가 개편되어야 하며 수준높은 여성공학인력을 양성할 수 있는 방안도 모색되어야 한다. 또한 수요측면에서도 기존의 여성에 대한 차별관행이 불식돼야 하며 사회적 지원조치들이 뒷받침돼야 할 것이다.

  • PDF

Analysis of the Compensation Level and Portfolio for Advanced S&T Manpower (고급 과학기술인력의 보상 수준과 포트폴리오에 관한 분석)

  • Min, Chul-Koo
    •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 /
    • v.18 no.1
    • /
    • pp.219-245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the compensation model by analyzing the compensation level for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manpower.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dvanced S&T manpower has preferred not only economic rewards, but also non-economic rewards which comprises both social reputation, self-satisfaction for job and other aspects of life. Second, the way of what high grade human resources in S&T have preferred to be rewarded differs among agencies. While professors in universities prefer research environment, researchers working for GRIs(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want to have job stabilization and researchers in companies want to have higher monetary reward. Third, two main factors to change their occupation have been turned out to be monetary reward and social reputation. It means that the compensation system should satisfy what advanced S&T manpower at GRIs and companies need upgrading their social reputation.

  • PDF

An Exploration of Compensation Satisfaction Determinants and Influence Analysis on Job Commitment for S&T Manpower (과학기술인력 보상 만족도 결정요인 탐색과 근속에 대한 영향 분석)

  • Jeong, Kyoung-Ja;Lee, Joo-Ryang;Lee, Young-Min
    •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 /
    • v.18 no.2
    • /
    • pp.1-32
    • /
    • 2010
  • It is well known that compensation satisfaction of employees is closely related to work attitude, job commitment, and employees'intentions to stay on the job. These known facts can also be applied to the professionals engaged in science & technology as well. Many studies have concluded that the Korea's losing competitiveness in the area of science & technology was mainly attributed to the distorted compensation system. In this vein, this paper identifies the potential determinants that affect the compensation satisfaction of S&T professionals, and to empirically examines the determinants influences on job commitment and intention to stay. This was done by acquiring data from S&T professionals currently being employed in firms, universities, and institutions. Consequently, for professionals engaged in science & technology, the compensation satisfaction was demonstrated to be largely influenced by job accomplishment, monetary compensation, and social compensation in order. In conclusion, to improve compensation system for S&T professionals, firstly, it is recommended to enhance job accomplishment by endowing more discretionary authority to conduct research. Secondly, the relatively lower-valued labor forces in S&T area will necessitate more economic support and compensation. Finally, the social compensation should be strengthened by not only ameliorating social status, but also improving labor liquidity and job security.

  • PDF

연구개발의 세계화와 외국인 연구 인력의 활용 전략

  • 임덕순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1999.11c
    • /
    • pp.521-543
    • /
    • 1999
  • 최근 과학기술 혁신 활동의 세계화 현상과 함께 한국의 연구개발 활동도 점차 세계화되고 있다. 그러나 한국의 연구개발 활동의 세계화 현상 및 바람직한 방향에 관한 연구는 별로 없다. 세계화에 따라 국내 연구개발 자원의 유출현상도 발생하지만, 해외 연구개발 자원을 활용할 수 있는 기회도 증가한다. 본 논문에서는 연구개발 활동의 세계화에 관한 흐름 및 개념을 제시하고, 국내 외국인 연구 인력의 활용 현황 및 활용성과 영향 요인을 조사하여 외국인 연구인력 활용 방안을 탐색하였다. 외국과의 연구자 교류는 1996년 현재 유입이 약 4,300명, 유출이 약 16,000명으로 유출이 크지만, 많은 규모는 아니다. 국내 활용 외국인 연구자의 경우 1998년에는 주춤하였지만 꾸준한 증가 추세에 있다. 외국인은 비선진국, 특히 러시아 및 중국의 연구자들을 많이 활용되고 있다. 활용 분야는, 기초, 응용, 개발 연구별로 고루 분포되어 있으며, 상대적으로 정보 전자통신, 에너지 및 자원 분야에서 활용을 많이 하고 있었다. 외국인 연구자들이 참가한 프로젝트는 한국에서 기술도입기나 기술성장기에 해당하는 프로젝트들이 거의 대부분이었다. 월평균 급여는 1,500,000원부터 2,300,000원 정도의 범위에 속했다. 활용 기간을 보면 50%이상이 1년 미만이었으며 2년 이상은 약 10%정도 수준으로 단기간 활용을 위주로 하고 있는 편이다. 외국인 연구자 활용의 이유로써는 외국인 연구자가 가지고 있는 과학기술 지식을 흡수하거나 공동으로 신기술 지식을 개발하려는 목적 등이 지원제도 이용 차원이나, 해외 연구 네트워크 구축, 단순한 연구인력 충원 차원 등의 목적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초과학 수준이 높은 북방권 국가들의 과학자들이 주로 활용되고 있다는 점에서도 잘 알 수 있으며 우리의 과학기술 약점을 보완하는 원천으로써 외국인 연구 인력이 대안이 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연구 조직에서 일하는 외국인 연구자들의 동기 및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많은 요인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관관계, 분산분석, 회귀분석 등을 통해 활용 성과에 미치는 영향 요인들을 도출하였다. 설문 분석을 통하여 동기 및 성과 사이에는 강한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전통적인 동기 이론들과 부합한다. 대부분의 변수가 동기 및 성과에 동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그중에서도 조직 협력 문화, 외국인 연구자의 의사소통 및 협력성, 외국인 연구자의 연구 능력 관련 변수들 및 연구 프로젝트의 기술수명주기, 외국인 연구자의 기존 기술지식의 흡수 등이 가장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이는 우리가 주로 중국 및 러시아 과학자들을 활용하여 상업화하는 외국인 연구인력 활용 패턴과도 일치하는 결과이다. 즉 우호적인 조직문화를 가지고 있는 연구 조직에서, 이미 과학기술 지식을 많이 가지고 있고 연구 능력도 높은 외국인 과학기술자를, 한국에서 기술이 태동 또는 성장하고 있는 연구 분야에서 활용하는 것이 가장 성과가 좋다는 사실을 확인시켜 주고 있다. 국내에서 최초로 수행된 본 연구는 외국인 연구 인력의 활용 성과가 매우 높으며, 우리의 과학기술혁신시스템을 보완하는 유효한 수단으로써 외국인 연구 인력이 중요한 대안이 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외국인 연구 인력을 잘 활용하기 위하여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활용 환경, 연구 인력이 중요한 대안이 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외국인 연구 인력을 잘 활용하기 위하여 문제점 및 개선 방안을 활용 환경, 연구 인력관리. 인력 교류사업, 외국인 과학자 지원 창구 등으로 나누어서 정리하였다. 연구시설, 주거시설 등의 하드웨어적 환경에 대한 개선도 중요하지만 연구 인력의 관리 능력 제고, 인력 교류 사업의 개선, 정보 제공 등 소프트웨어적인 활용 능력을 제고하는데 정책적인 관심을 기울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 PDF

A Needs Analysis for the Development of Re-Education & Continuous Education Programs for R&D Human Resources (과학기술인력의 재교육·계속교육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요구분석)

  • Cho, Hyunjung;Kim, Byung-Keun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for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 /
    • v.2 no.2
    • /
    • pp.137-146
    • /
    • 2010
  •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1)to analyze a needs of re-education & continuous education for R&D human resources 2)to systemize the existing education program and 3)to provide useful implications to help the politics for re-education & continuous education for R&D human resources. The survey to R&D human resources in universities, government-supported research institutes and industries was conducted for analyzing the needs of R&D human resources for the existing education programs through investigation for the current state and importance & satisfaction level for the existing program. For proposing the effective education program, the barrier and improvement factors of re-education program were examined as well. In addition, the needs for the government support policies for re-education program were also analyz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