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maging effects and problems of recent labor law issues on the industrial workforce

최근 노동관계법 이슈가 산업인력에 미치는 영향과 과제

  • Lee, Sang-hee (Department of Consilience, Korea Polytechnic University)
  • 이상희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지식융합학부)
  • Received : 2014.12.08
  • Accepted : 2015.01.06
  • Published : 2015.01.31

Abstract

The recent increase of wages is considered to be the result of lawsuits on ordinary wage expansion and the reduction of working hours. This may enlarge the wage gap between enterprise and small business, and thus worsen the insufficient supply of workforce to small business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strategies to control the increase of wages in order to resolve the difficulty in the industrial workforce supply and to enforce the industrial competitiveness.

통상임금 확대 소송, 근로시간단축 추진, 사내하도급 근로자 보호법 제정 추진, 60세 정년연장 의무화의 전격 결정 등은 각각 임금상승 효과를 동반하기도 하지만, 짧은 기간내에 중첩적으로 추진될 경우 급격한 임금상승이 초래된다. 그런데 통상임금을 확대하는 정기상여금은 주로 대기업에서 발견되고, 근로시간단축으로 인한 소득감소는 중소기업에서 더 많이 발생하고, 사내하도급 근로자와 직영근로자 간 임금격차는 대기업에서 많으며, 순수 호봉 내지 연공제도 대기업 정규직에 많이 발견된다. 따라서 주요 노동이슈의 돌직구적인 추진은 대기업 부문의 급격한 임금상승을 초래하고 이 때문에 상대적으로 임금이 하락한 중소기업에서는 산업인력 수급난이 가중되어 산업경쟁력에 치명적일 수가 있다. 주요 노동이슈 처리시 급격한 임금상승 효과가 발생하지 않도록 임금조정 방안 모색이 필요하고, 임금상승을 동반하는 주요 이슈를 패키지딜로 처리할 수 있는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용노동부(2012), 고용형태별근로실태조사
  2. 고용노동부(2013). 2013년 상반기 직종별 사업체 노동력 조사
  3. 권혁(2014), 통상임금 판결에 대한 평가와 입법론적 제언, 노동법논총 제31집, 한국비교노동법학회
  4. 김소영(2012), 판례법리에 의한 통상임금 판단기준의 경향과 변화, 노동법논총 제25집, 한국비교노동법학회
  5. 김영문(2012), 금원의 통상임금 해당성 판단에 관한 기준의 비판적 고찰, 노동법학 제43호, 한국노동법학회
  6. 김동배(2012.10), 사내하도급 활용실태와 정책과제, 한국노사관계학회 2012 추계정책토론회 발표자료집
  7. 김희성(2014), 연장근로와 휴일근로의 관계-근로시간단축과 관련하여-, 노동법논총 제30집, 한국비교노동법학회
  8. 박은정(2014), 통상임금에 관한 대법원 판례 동향 분석, 법학논집 제18권2호,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9. 박지순(2012), 피견과 도급의 구별에 관한 법리-대법원 2010.7.22.선고 2009두4367 판결 및 2012.2.23.선고 2011두7076판결을 중심으로-, 안암법학 제38권, 안암법학회
  10. 박지순(2013), 통상임금의 개념 및 범위에 관한 판례법리의 평가, 안암법학 제42권, 안암법학회
  11. 변양규.우광호(2014.9), 근로시간단축과 영세사업장 인력부족 심화, Keri Brief 14-10, 한국경제연구원
  12. 변양규.우광호(2013.12), 정년연장의 안정적 시행을 위한 정부와 기업의 대응, Keri Brief 13-37, 힌국경제연구원
  13. 변양규.우광호(2014.4). 통상임금 범위 확대와 임금격차, Keri Brief 14-05, 한국경제연구원
  14. 조준모.이상희(2012), 노사관계선진화 성과와 과제, 고용노동부
  15. 조준모.이상희(2013), 통상임금소송에 관한 법경제학적 이해, 법문사
  16. 중소기업중앙회(2014.2), 휴일근로 중복할증의 문제와 쟁점
  17. 이상희(2014a), 생산가능인구 감소시대를 대비한 중장기 산업기술인력 미스매치 해소 방안 연구. 2014, 산업통상자원부
  18. 이상희(2014b), 사내하도급 불법파견 판단기준의 漸入佳境식 전개와 문제, 2014 경영판례연구회 판례 평석집, 전국경제인연합회
  19. 이정(2014), 정년연장에 따른 노동법상의 쟁점과 과제, 산업관계연구 제24권1호,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0. 통계청(2009.8월), 경제활동인구조사 부가조사 원시자료
  21. 한국노동법학회(2014), 통상임금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의 의미와 과제, 한국노동법학회 정책토론회 발표자료집
  22. 한국경제 2014.10.29.(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4111298121)